포스코엠텍이 최대주주 포스코와 1700억 규모 공급 계약 체결 소식에 급등하고 있다.
10일 오전 9시 39분 현재 포스코엠텍은 전 거래일 대비 14.82% 상승한 1만4720원에 거래 중이다.
전날 장 마감 후 포스코엠텍은 포스코와 1732억 원 규모 포항·광양제철소 제품 포장 외주작업 계약을 체결했다고 공시했다.
이는 2023년 매출액 대비
△LG에너지솔루션, 지난해 4분기 잠정실적 발표
△세아베스틸지주, 약 1580억 원 시설 자금 조달 목적으로 종속회사 대상 제3자 배정 유증 결정
△신세계, 지난해 4분기 실적잠정치 발표
△스틱인베스트먼트, 외국 법인 미리 스트래터직 이머징 마켓츠 펀드 엘피 5만1000주 장내 매수
△HL D&I, 한국전력공사와 1170억 원 규모 공사수주 계약 체
첨단 로봇자동화 전문기업 유일로보틱스는 포스코엠텍과 철강코일 포장라인시스템에 적용되는 '포장설비 로봇자동화' 공정을 위한 설계 계약을 체결했다고 7일 밝혔다.
이번 계약은 지난해 6월 양사가 포스코엠텍 자동화R&D센터에서 '포장설비 로봇자동화 기술 개발 업무협약'을 체결 후 약 6개월 만에 이루어진 계약이다.
이번 계약은 포스코엠텍의 철강코일 포장라
중소벤처기업부(중기부)는 오영주 중기부 장관이 2일 경기도 화성시에 소재한 넥스틴과 한양엠텍을 방문했다고 밝혔다.
넥스틴은 반도체 검사장비 전문 제조기업이며, 한양엠텍은 주형 및 금형 제조업을 영위하는 뿌리기술 전문기업이다.
이번 현장방문은 고환율, 트럼프 행정부 2기 출범 등 대외환경의 불확실성이 커지는 상황에서 수출 중소기업 지원을 위한 현장 목
포스코그룹이 23일 2025년도 임원 정기인사를 발표했다. 이번 인사는 그룹 7대 핵심사업의 중장기 성장전략에 맞춰 그룹 내 인적역량을 적재적소에 재배치하고 혁신을 도모하는 것에 초점을 맞췄다. 전체 임원의 15%를 축소하는 한편, 1963년 이전 출생 임원들이 물러났다.
포스코홀딩스는 ‘본부제’를 도입해 의사 결정 단계를 간소화한다. 기존 ‘총괄제(
포스코그룹은 23일 '2025년 정기 조직개편 및 임원인사'를 통해 이희근 포스코 대표이사 사장을 신규 선임했다고 밝혔다.
◇프로필
△이희근 포스코 대표이사 사장
△1962년생
△전북대 금속학졸
△주요 경력
- 2018년 포스코 포항제철소 선강담당 부소장
- 2021년 포스코엠텍 사장
- 2023년 포스코 안전환경본부장
- 2024년 포스코 사내이사
코스닥 지수는 한 주간 25.42포인트 내린 668.31에 거래를 마쳤다. 코스피와 마찬가지로 개인 홀로 순매수(6390억 원)했고, 외국인과 기관은 각각 3310억 원, 2390억 원어치를 순매도했다.
한국첨단소재, 양자 얽힘 광자 쌍생성 기술 이전 완료에 강세
코스닥 시장에서 가장 많이 오른 종목은 한국첨단소재(66.39%)였다. 지난 18일 한
강남물류센터 확보해, 서울 강남 3구 시범운영고객 반응에 따라 대상지역 확대
블루엠텍은 서울 강남구 소재 우수의약품유통관리기준(KGSP) 인증 물류시설인 강남물류센터를 기반으로 강남 3구 지역 의약품 근거리 당일배송 서비스를 9일부터 시작한다고 밝혔다.
당일배송 서비스는 의약품 배송시간을 획기적으로 줄여 진료 차질이 발생하지 않도록 돕기 위한 것이
◇기아
인베스터 데이와 연계해서 본 기업가치 제고계획 시사점
2025년~27년 매출 CAGR+10%, 컨센서스(8%) +2%P 상회, 이를 위해서는 26년 EV 판매와 PBV가 관건
2025년~2027년 영업이익률 10% 이상, 시장 컨센서스(25~27년 평균 영업이익률 11.1%) 부합
총주주환원율(TSR: (배당총액+자사주 매입·소각액)/지배순익) '
외국인 매도세에 코스피 하락, 코스닥 강보합 출발했다.
28일 오전 9시 8분 기준 코스피 지수는 전일 대비 0.19%(4.75포인트) 내린 2498.31에 거래 중이다.
개인과 기관은 각각 396억 원, 216억 원어치를 순매수, 외국인 홀로 602억 원을 팔아치우고 있다. 외국인투자자는 25일부터 4거래일 연속 순매도 중이다.
오전 9시 12분
20일 유가증권시장(코스피)에서 상한가를 기록한 종목은 팜스코였다. 하한가를 기록한 종목은 없었다.
팜스코는 29.85% 상승한 2675원을 기록했다. 특별한 호재성 공시나 이슈는 없었던 것으로 파악된다.
같은 날 코스닥 시장에서 상한가를 기록한 종목은 CJ바이오사이언스, 라파스, 셀리드, 아이윈플러스, 얼라인드, 파커스다.
CJ바이오사이언스는
상승 출발한 양대 지수가 강보합, 약보합 전환했다.
20일 오전 9시 47분 기준 코스피 지수는 전일보다 0.15%(3.65포인트) 오른 2475.60에 거래 중이다.
개인 홀로 697억 원어치를 순매수, 외국인과 기관투자자는 각각 523억 원, 328억 원어치를 순매도 중이다.
오전 9시 41분 기준 서울 외환시장에서 원·달러 환율은 전장보다 1
오는 18일 코스닥 글로벌 세그먼트가 출범 2주년이 된다. 이제 겨우 2년 차를 맞은 신생 지수지만, 시장의 관심에서는 민망하리만치 멀어져 있다. 올 들어 뜨거웠던 ‘코리아 밸류업 지수’와 코스닥 시장 침체가 겹친 영향이다. 코스피와 함께 국내 대표 지수인 코스닥의 올해 연간 낙폭은 21%에 달한다. 증권가에서는 코스닥 시장 침체가 지속되는 한 코스닥 글로
루닛 AI 희귀암 면역치료 예측 연구, SITC 100대 초록 선정
루닛은 미국 휴스턴에서 열린 ‘2024 미국면역항암학회(SITC 2024)’에서 AI 바이오마커 ‘루닛 스코프 IO’를 활용한 희귀암 환자 대상 면역항암제 치료반응 예측 연구결과를 발표했다고 11일 밝혔다. 이번 연구는 루닛 스코프 IO를 활용해 500건 이상의 생검 조직에 대한 종양
삼영엠텍이 조선업 호황에 10년 만에 매출 1000억 원대 달성을 무난히 달성할 전망이다.
선박 엔진 제작에 필수적인 구조재, 조선기자재를 비롯해 전략 광물 철광석 소결 공정에 쓰이는 파레트카 수주가 증가하면서 3분기 누적 매출이 891억 원인 삼영엠텍은 잇따른 추가 수주로 수주잔고도 900억 원대로 진입했다.
13일 본지 취재를 종합하면 삼영엠텍은
블루엠텍이 비대면 헬스케어 플랫폼 사업을 운영하는 엠디스퀘어의 지분 16.4%를 인수했다고 13일 밝혔다.
블루엠텍은 엠디스퀘어의 2대 주주가 됐다. 이를 계기로 디지털헬스케어 역량 강화에 나설 계획이다.
엠디스퀘어는 비대면 헬스케어 전문기업으로 비대면 진료 전 과정을 원스톱으로 구현한 플랫폼인 ‘엠디톡’, 개인 맞춤형 건강관리가 가능한 비대면 플랫폼
한국IR협의회는 6일 블루엠텍에 대해 디지털 기반으로 의약품 유통을 혁신하고 있으며, 위고비 매출 등의 영향으로 2025년 영업이익이 흑자전환 할 것이라고 분석했다.
블루엠텍은 의약품 온라인 유통플랫폼 전문기업으로, 전문의약품을 전자상거래 플랫폼을 통해 판매하고 있다. 동사는 2020년 SK바이오사이언스의 백신 공급을 시작으로 2021년 노보노디스크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