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월간 연세’ 프로젝트로 ‘딸기 바나나’ 등 매달 신제품 선봬“편의점에 없을 것 같은 새로운 디저트 출시가 목표”
“유행하는 맛을 쫓지 않아요. ‘연세우유 생크림빵’이 트렌드를 만드는 새로운 맛이 됐으면 해요.”
김고니 BGF리테일 스낵식품팀 상품기획자(MD)는 24일 본지와의 인터뷰에서 편의점 CU의 메가히트 상품 연세우유 생크림빵(연세우유빵)의
2024년 한 해 동안 CU 편의점을 가장 많이 방문한 고객은 하루도 빼놓지 않고 매일 점포를 찾은 것으로 나타났다. 하루에도 수 차례 편의점 문턱을 넘어 일 평균 방문 횟수만 5.4회에 달한다. 또 CU 대표 먹거리 상품인 연세우유 생크림빵 최다 구입 고객은 1200개 이상을 구입했고, CU 모바일앱에서 경쟁사인 GS25 상품을 검색한 고객도 있었다.
'흑백요리사' 열풍으로 연일 완판 행진 중인 ‘밤 티라미수’가 전국 CU 점포에 풀린다.
편의점 CU를 운영하는 BGF리테일은 24일부터 전국 오프라인 점포에 밤 티라미수를 판매한다고 23일 밝혔다.
CU의 밤 티라미수는 매일 전국 1만8000여 개 점포에 입고 예정이다. 24일 오전 8시부터 CU의 O4O앱 포켓CU를 통해 재고 조회를 할 수 있다.
맛밤·연세우유 생크림빵 매출↑...나폴리 맛피아 ‘밤 티라미수’ 출시GS25, 세븐일레븐 등 경쟁사도 잇따라 간편식 강화
넷플릭스 예능 프로그램 ‘흑백요리사: 요리 계급 전쟁(흑백요리사)’ 열풍에 국내 편의점이 함박웃음을 짓고 있다. 특히 흑백요리사 미션 대결 중 편의점 재료를 협찬한 CU가 편의점 4사 중 가장 큰 특수를 누리고 있다.
8일 편의점업
올해 유통업계에서는 ‘디토소비’가 하나의 소비 트렌드로 떠오를 전망이다.
디토소비는 ‘마찬가지’, ‘나도’라는 뜻을 가진 디토(Ditto)와 소비가 합쳐진 용어로, 특정 인물이나 콘텐츠, 유통 채널 등을 추종해 제품을 구매하는 소비 트렌드다.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에서 화제가 된 상품이나 인기있는 레시피를 따라 요리를 하는 것들이 대표적이다. 시간
편의점 CU를 운영하는 BGF리테일이 2분기에도 양호한 실적을 기록했다. 고물가로 소비가 위축되고 있는 상황에서 '단독 상품'으로 승부를 본 것이 주효했다.
BGF리테일은 올해 2분기 연결 기준 영업이익이 781억 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10.3% 증가했다고 3일 잠정 공시했다. 매출액은 2조982억 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9.4% 늘었다.
판매된
“반갈샷이 예뻐야 산다”
12일 편의점 업계에 따르면 CU가 쏘아올린 연세우유생크림빵 인기가 업계 전반으로 퍼지면서 디저트 경쟁이 본격화하고 있다. 일명 ‘연대빵’으로 재미를 본 CU가 후속작 ‘고대빵’인 페스츄리, 맘모스빵까지 내놓으며 열기를 잇자 업계는 빵 속을 바꾸거나 트렌디한 식재료로 채워 넣는 등 변주를 거듭하는 데 주력하고 있다.
GS25는 익
지난달 CU ‘연세우유 생크림빵’ 판매량 전 월보다 2.5배 상승GS25 '브레디크' 매출 36.7% 상승…세븐일레븐 '브레다움' 30% 성장자체 품질 향상이 매출에 영향…PB 신제품 계속 선보일 예정
편의점 자체 브랜드(PB) 빵의 인기가 심상치 않다. 판매량이 한 달 만에 최대 2.5배 이상 상승해서다. 올해 초부터 선풍적 인기를 끌고 있는 ‘포켓