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12월 고용지표 충격이 올해 1~2월에도 이어질 전망이다.
18일 고용노동부와 통계청에 따르면, 지난해 12월 취업자 수는 전년 동월보다 5만2000명 감소했다. 특히 청년층(15~29세) 고용난이 심화하고 있다. 전체 고용률은 61.4%로 0.3%포인트(p) 하락에 그쳤지만, 청년층은 44.7%로 1.3%p 급락했다. 건설업과 제조업 부진,
임금 둔화가 장기화하는 양상이다. 임시·일용직 임금은 상대적으로 임금수준이 높은 건설업 임시·일용직이 줄면서 2개월 연속 감소했다.
고용노동부는 30일 발표한 ‘11월 사업체노동력조사(10월 근로실태)’ 결과에서 10월 상용직 1인 이상 사업체의 전체 근로자 1인당 임금총액이 392만2000원으로 전년 동월보다 3.4% 늘었다고 밝혔다. 임금 증가율이
비상계엄 사태 이후 자영업자들이 비자발적 구조조정에 내몰리고 있다. 내수 부진에 따른 업황 악화로 자영업자가 줄던 상황에서 계엄 사태가 구조조정을 앞당기는 기름이 된 모습이다.
자영업이 무너지기 시작한 건 올해 초부터다. 23일 통계청 국가통계포털(KOSIS)에 따르면, 지난해 3월부터 8월까지 6개월간 ‘고용원 있는 자영업자’와 ‘고용원 없는 자영업자
일자리 감소세가 가파르다. 구직자 2명당 일자리가 1개도 안 되는 상황이다.
고용노동부가 9일 발표한 ‘11월 고용행정 통계로 본 노동시장 동향’을 보면, 지난달 구인배수는 0.46으로 지난해 11월(0.63) 대비 0.17포인트(p) 하락했다. 구인배수는 워크넷을 바탕으로 신규 구직인원을 신규 구인인원으로 나눈 값으로, 구직자 1명당 일자리 수를 의
한은, 3일 ‘BoK 이슈노트 ’최근 1인 가구 확산의 경제적 영향 평가‘ 발간“전체 가구 중 1인 가구 비중 35.5%…증가 속도 팬데믹 이후 매우 빨라”“연령별로 보면 청년층은 주거비 부담…고령층은 고용안정성 취약”“경제전체 소비회복에 부정적 영향…연령대별 정책 대응 필요”
우리나라의 1인 가구 증가가 해외 주요 국가와 비교해도 빠른 속도로 증가하고
9월 명목임금이 감소하면서 실질임금도 6개월 만에 ‘마이너스’를 기록했다. 특별급여 지급시기 변경에 따른 기저효과이지만, 이를 차치해도 임금 증가율은 추세적으로 둔화하고 있다.
고용노동부는 28일 발표한 ‘10월 사업체노동력조사(9월 근로실태조사)’ 결과에서 9월 상용근로자 1인 이상 사업체의 전체 근로자 1인당 임금총액(명목임금)이 430만1000원
소비자물가지수 상승률 둔화에 실질임금이 5개월 연속 ‘플러스’를 기록했다. 다만, 명목임금 증가율은 둔화세를 지속하고 있다.
고용노동부는 31일 발표한 ‘9월 사업체노동력조사(8월 근로실태조사)’ 결과에서 8월 상용근로자 1인 이상 사업체의 전체 근로자 1인당 임금총액이 387만 원으로 전년 동월보다 3.4%(12만8000원) 증가했다고 밝혔다. 종사상
임금단체협상(임단협) 타결 효과에 7월 임금 증가율이 대폭 확대됐다.
고용노동부는 30일 발표한 ‘8월 사업체노동력조사(7월 근로실태조사)’ 결과에서 7월 상용근로자 1인 이상 사업체의 전체 근로자 1인당 임금총액이 425만7000원으로 전년 동월보다 29만4000원(7.4%) 증가했다고 밝혔다.
종사상 지위별로 상용직의 1인당 임금총액은 452만4
물가 둔화에도 실질임금 증가율이 0%대에 정체됐다. 명목임금 증가율이 함께 둔화한 탓이다.
고용노동부는 29일 발표한 ‘7월 사업체노동력조사(6월 근로실태조사)’ 결과에서 6월 상용근로자 1인 이상 사업체의 전체 근로자 1인당 임금총액이 386만1000원으로 전년 동월보다 12만4000원(3.3%) 증가했다고 밝혔다.
종사상 지위별로 임시·일용직(1
고용절벽이 현실화하고 있다. 사업체 종사자 증가 폭이 38개월 만에 최소치를 기록한 데 더해, 채용은 줄고 비자발적 이직은 느는 고용시장 불황이 심화하고 있다.
고용노동부가 30일 발표한 ‘6월 사업체노동력조사(5월 근로실태조사)’ 결과를 보면, 지난달 종사자 1인 이상 사업체 종사자는 2012만2000명으로 전년 동월보다 12만8000명 늘었다. 신
국내 대기업 취업자 증가 폭이 5년여 만에 가장 작은 것으로 나타났다. 어제 통계청에 따르면 6월 기준 근로자 300인 이상 사업장 취업자는 311만5000명으로 1년 전보다 4000명 느는 데 그쳤다. 2019년 4월 이후 최저다. 전체 취업자 2890만7000명 중 대기업 취업자 비중은 10.8%로 감소세로 전환했다.
우리 사회의 미래 기둥인 청년층
실질임금이 1개월 만에 증가로 전환됐다. 다만 임금 증가는 300인 이상 사업체에 집중됐다.
고용노동부가 27일 발표한 ‘5월 사업체노동력조사(4월 근로실태조사)’ 결과를 보면, 4월 상용근로자 1인 이상 사업체의 전체 근로자 1인당 임금총액은 386만6000원으로 전년 동월보다 4.3% 증가했다. 상용직 임금은 특별급여가 10.8% 늘며 410만 원
실질임금이 1개월 만에 ‘마이너스’로 전환됐다. 그나마 고용은 회복 조짐을 보인다.
고용노동부는 30일 발표한 ‘4월 사업체노동력조사(3월 근로실태조사)’ 결과에서 올해 3월 상용근로자 1인 이상 사업체의 전체 근로자 1인당 임금총액이 401만 원으로 전년 동월보다 2.9% 증가했다고 밝혔다. 임금 증가율이 같은 달 소비자물가지수 상승률(3.1%)에
최근 주4일 근무제에 관한 관심이 커지는 가운데 직장인 10명 중 9명은 주4일 근무제를 긍정적으로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27일 사람인이 직장인 3576명을 대상으로 ‘주4일 근무제에 대한 생각’을 설문한 결과에 따르면 86.7%가 ‘긍정적’이라고 밝혔다. 직급별로 대리급(91.2%), 과장급(88.7%), 사원급(88%), 부장급(82%)은 긍정
부산지역의 처분가능소득 대비 가계대출 비율이 서울을 제외하고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은행 부산지역본부가 최근에 발간한 ‘고빈도 자료를 활용한 최근 부산지역 가계소비 흐름 평가’에 따르면 올해 1~2월 기준 부산지역의 개인 처분가능소득(2022년 기준) 대비 가계대출 비율은 119%로 집계됐다. 서울(219%)을 제외하고 대도시 중 최고 수준인
2월 실질임금이 설 상여금 효과로 ‘반짝’ 증가했다.
고용노동부는 30일 발표한 ‘3월 사업체노동력조사(2월 근로실태조사)’ 결과에서 2월 상용근로자 1인 이상 사업체의 전체 근로자 1인당 임금총액이 435만1000원으로 전년 동월보다 11.5%(45만 원) 증가했다고 밝혔다. 종사상 지위별로 상용직은 463만2000원으로 11.9%(49만 원), 임
1월 근로자 1인당 월평균 임금총액이 8.6%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설 명절 이동으로 지난해 1월이었던 상여금 지급이 올해는 2월로 미뤄져서다.
고용노동부는 28일 발표한 ‘2월 사업체노동력조사(1월 근로실태조사)’ 결과에서 1월 상용근로자 1인 이상 사업체의 전체 근로자 1인당 임금총액이 428만9000원으로 전년 동월보다 40만5000원(8.6
3개월간 이어졌던 실질임금 증가세가 종료됐다. 정액급여 증가율이 둔화한 데 더해 특별급여 지급시기 변경에 따른 기저효과가 소멸해서다.
고용노동부는 29일 발표한 ‘2024년 1월 사업체노동력조사(2023년 12월 근로실태조사)’ 결과에서 지난해 12월 상용근로자 1인 이상 사업체의 전체 근로자 1인당 임금총액이 443만3000원으로 전년 동월과 같았다고
사업체 종사자 증가세 둔화가 6개월째 이어졌다. 실질임금은 3개월 연속 증가했으나, 연간 누계로는 여전히 ‘마이너스’다.
고용노동부는 30일 발표한 ‘2023년 12월 사업체노동력조사(11월 근로실태조사)’ 결과에서 지난해 12월 종사자 1인 이상 사업체의 종사자가 1983만3000명으로 전년 동월보다 26만1000명(1.3%) 증가했다고 밝혔다. 종
정부가 점진적으로 ‘저출산’ 용어를 ‘저출생’으로 대체하는 추세다.
17일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인 대한민국 정책브리핑에 따르면, 지난해 1월 30일(교육부)부터 이날까지 기획재정부와 교육부, 행정안전부, 국무조정실, 보건복지부, 고용노동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질병관리청, 저출산·고령사회위원회, 경제사회노동위원회 등 10개 정부기관이 총 54회 공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