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달 초 국내 누적 판매량 200만 병 돌파가성비 전략·높은 접근성이 인기 배경
종합주류기업 아영FBC는 디아블로의 연간 국내 누적 판매량이 200만 병을 돌파했다고 7일 밝혔다.
단일 브랜드에서 만든 와인으로서는 디아블로가 유일하게 연간 판매량 200만 병을 넘어섰다.
디아블로는 2019년 약 100만 병을 처음 넘은 이후 2020년 151만
롯데칠성음료는 ‘새로’ 출시 22개월 만인 7월 누적 판매량 4억 병을 돌파했다고 12일 밝혔다. 새로는 2022년 9월 중순 첫 선을 보여 이달 출시 2주년을 맞았다.
새로는 출시 되자마자 국내 주류 시장에서 폭발적인 인기를 끌며, 판매량이 빠르게 증가했다. 출시 이후 4개월 만에 누적 판매량 5000만 병을 달성한 데 이어, 7개월 만에 1억 병이
경상남도 기반의 주류업체 무학의 소주 브랜드 ‘좋은데이’가 저도수 경쟁에 합류했다. 최근 불고 있는 저도수 트렌드를 제품에 반영해 MZ 소비자 공략에 나선다는 계획이다.
11일 주류업계에 따르면 무학은 좋은데이 소주의 알코올 도수를 기존 16.5도에서 0.5도 내린 16도로 새로 출시했다. 이번 도수 변경은 좋은데이 병(360㎖)과 페트병(640㎖·1
폐기물 철거 트럭 거리 곳곳에‘쓰레기 무단 투기’ 문제도 심각동네 주민 “열심히 짓고 며칠 후에 철거”
팝업스토어, 끝나니 '예쁜 쓰레기'가 우수수
1일 서울시 성동구 2호선 성수역 4번 출구를 나와 '팝업스토어의 성지'로 불리는 연무장길로 들어서자마자 한 건물 앞에 길게 늘어선 대기줄이 눈에 띄었다. 이 줄의 정체는 화장품 브랜드 롬앤이 운영 중인 '2
하이트진로는 21일 경남 마산공장에서 쌀 100% 증류원액 소주 ‘진로골드’ 첫 출고기념식을 진행했다.
진로골드는 전국 대형마트, 농협, 편의점 등 가정채널과 음식점, 유흥업소 등 유흥 채널에서 동시 판매될 예정이다.
하이트진로는 가볍게 마시는 음주문화의 확산으로 다양해진 소비자 입맛과 저도주 트렌드를 반영해 진로골드를 출시하게 됐다고 설명했다.
하이트진로는 기존 ‘진로’의 정통성을 살리면서도 차별화된 주질 및 패키지로 완성한 신제품 ‘진로골드’를 선보인다고 15일 밝혔다.
하이트진로는 가볍게 마시는 음주문화의 확산으로 다양해진 소비자 입맛과 저도주 트렌드를 반영해, 더욱 다양한 소비자층의 니즈를 충족시키기 위해 신제품을 출시하게 됐다. 진로골드를 국내 No.1 소주 브랜드 참이슬, 제로슈거 N
와인, 올 상반기 수입량 전년비比 10.8%↓…시장 위축 '고육지책'고도수의 희석식 소주, 트렌드와 반대라 성공 불투명신세계L&B “한정수량 기획 판매하는 상품” 선긋기
신세계L&B가 과거 실패한 경험이 있는 소주 사업을 다시 꺼내들었다. 와인 시장 침체가 길어지자 소주로 반전을 노리고 있는 것. 다만 과거 실패작인 ‘제주 푸른밤’과 유사한 희석식 소주
하이트진로는 2022년 소주 수출액이 약 1억2000만 달러로 전년 대비 16.4% 늘었다고 27일 밝혔다. 역대 최대 소주 수출액으로, 하이트진로의 소주 수출액은 최근 5년간 평균 17.1% 증가하는 등 매년 늘고 있다.
지난해 소주 수출 실적은 미주 지역 82.4%, 유럽·아프리카 지역이 39.4%로 높은 성장률을 기록했다.
하이트진로는 전략 국가
국순당은 프리미엄급 막걸리 ‘옛날막걸리 古’의 누적 판매량이 1000만 병을 돌파했다고 10일 밝혔다.
‘옛날막걸리 古’는 2012년 5월에 일반막걸리 보다 2배 가량 비싼 프리미엄급 막걸리로 출시됐다. 국순당은 10년 동안 꾸준하게 인기를 누리며 우리나라 막걸리 시장에서 프리미엄 막걸리 시장 정착에 기여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고 설명했다.
국순당에
편의점 업계의 주류 경쟁이 뜨겁다 못해 유명 보이그룹의 가사 말처럼 불타오르고 있다. 증류식 소주부터 맥주, 위스키, 와인, 막걸리 등 주종을 가리지 않고 제품을 출시하는가 하면 유명 연예인과 협업한 주류를 선보이며 소비자의 눈길을 끌고 있다.
26일 업계에 따르면 편의점 4사 모두 지난해 주류 매출이 전년 대비 두 자릿수 신장률을 기록했다. 구체적으로
편의점 CU(씨유)가 딸기를 이용한 주류를 출시한다. 지난해 말 업계 최초로 주류 전담 부서인 주류TFT를 신설해 소주, 맥주 외에도 다양한 주종으로 차별화 상품 개발에 박차를 가하는 CU에서 독점 판매하는 차별화 상품이다.
BGF리테일이 운영하는 편의점 CU는 딸기 주류 알딸딸 딸기 맥주, 딸기 셀처, 에스더버니 딸기 샤르르 3종을 선보인다고 19일
롯데칠성음료는 작년 4월 출시한 ‘별빛청하’가 꾸준한 소비자들의 호응을 얻으며 출시 8개월여 만에 누적 판매량 1000만 병을 달성했다고 5일 밝혔다.
별빛청하는 ‘청하’에 화이트 와인과 탄산을 블렌딩한 제품으로, 청하의 깔끔함과 탄산의 청량감을 느낄 수 있다. 알코올 도수 7도로 저도주 애호가들도 부담 없이 즐길 수 있다. 밤하늘에 빛나는 별들을 탄산
최근 경영 일선에 다시 복귀한 박용수 ㈜골든블루 회장이 해외 시장 공략 등 향후 경영 방향에 대한 포부를 공개했다.
㈜골든블루는 대한민국 1등 위스키로 자리 잡은 ‘골든블루’가 3일 출시 13주년 맞았다고 8일 밝혔다.
㈜골든블루는 다년간의 소비자 음용 트렌드 분석과 끊임없는 연구·개발을 통해 한국인의 입맛에 최적화된 국내 최초 36.5도 위스키 ‘골
하이트진로는 신제품 ‘매화수 화이트’를 출시한다고 17일 밝혔다. ‘매화수 화이트’는 대한민국 대표 과실주 ‘매화수’의 두 번째 브랜드이다.
매화수 화이트는 화이트 와인과 청매실 원액을 최적의 비율로 블렌딩해 상큼한 맛이 가장 큰 특징이다. 기존 매화수 대비 당도를 낮추고 화이트와인 함량을 높였다.
패키지는 그린 컬러를 사용해 상큼함을 강조했다.
코로나19에 “부어라 마셔라” 식의 음주 문화는 옛말이 됐다. 술도 맛있어야 찾는 시대다. ‘짜파구리(짜파게티+너구리)’등 라면에서 시작된 ‘모디슈머(modify+comsumer)’ 바람이 주류업계를 강타하고 있다.
주류업계의 대표적인 모디슈머 제품은 롯데칠성음료의 ‘맥사’가 꼽힌다. 맥주와 사이다를 섞어 먹는 것이 유행이 되면서 지난 2월 롯데칠성은
하이트진로의 소주 제품이 해외에서 또 한번 인정받았다.
하이트진로는 소주 통칭 브랜드 진로(JINRO)가 영국 주류전문매체 ‘드링크 인터내셔널(Drink Internationals)’에서 21년 연속 ‘세계에서 가장 많이 팔리는 증류주’로 선정됐다고 21일 밝혔다.
하이트진로는 2021년 한 해 동안 전세계에서 참이슬 등 소주 제품을 9450만 상자(상자
롯데칠성음료는 지난 4월 말 선보인 ‘별빛 청하’가 출시 50일 만에 누적 판매 150만 병을 돌파했다고 27일 밝혔다.
별빛 청하는 청하에 화이트 와인과 탄산을 블렌딩한 제품이다. 청하의 깔끔함과 탄산의 청량감을 느낄 수 있고, 알코올 도수 7도로 저도주 애호가들도 부담 없이 즐길 수 있다. 맛과 함께 술자리 분위기를 연출하는 데 좋은 병 모양도 제
막걸리가 수출 호조세를 보이며 또 하나의 'K드링크' 주역으로 떠오르고 있다. 코로나19 바이러스 여파로 전세계적으로 건강이 화두가 되면서 글로벌 주류 시장에서도 저도주를 내세운 K막걸리가 K뷰티ㆍK푸드 등에 이은 대표 수출품목 리스트에 오르고 있다. 저도주 트렌드와 함께 오징어게임, BTS(방탄소년단) 등 K컬처의 선전도 막걸리 수출에 한몫한 것으로 풀이
하이트진로가 지난해 최대 소주 수출 성장률을 기록했다.
27일 하이트진로는 2021년 소주 수출액 1억200만 달러를 기록해 전년대비 약 36.3% 늘어났다고 밝혔다. 이는 역대 최대 성장이며, 코로나 이전인 2019년 대비 약 2배 성장한 수치다.
지난해 하이트진로의 소주수출 실적은 대륙별로 고른 고성장률을 기록했다. 중화권이 47.6% 성장한 255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