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뷰티 열풍이 지속하면서 뷰티 플랫폼의 약진이 두드러지고 있다. 글로벌 사업 확장에도 속도를 내고 있다.
27일 스타트업 업계에 따르면 버드뷰는 올해 글로벌 웹 일본어 버전을 출시하고 글로벌 인플루언서와 브랜드 간의 협업을 위한 마케팅 사업을 론칭하는 등 글로벌 사업 확장에 집중할 계획이다.
버드뷰는 데이터와 인공지능(AI) 기술을 기반으로 뷰티 플랫
블리몽키즈, 인도 이어 내년 1월 중동 6개국 진출지바이크, 아프리카 가나에서 전동킥보드 서비스 시작
북미, 유럽, 중국 등이 아닌 곳에서 성장 잠재력을 보고 과감한 결단을 내려 글로벌 도약 기회를 찾는 국내 스타트업이 주목받고 있다.
22일 스타트업 업계에 따르면 인도 K뷰티 플랫폼 ‘마카롱’을 운영하는 블리몽키즈는 인도에 이어 내년 1월 중동 6개국
12월 한 달 간 진행...“10년 역사=K뷰티 변천사”세계적 K뷰티 인기 반영 ‘글로벌 트렌드’ 부문 신설전국 13개 매장서 ‘명예의 전당’ 브랜드 팝업 운영
올 한 해 최고의 뷰티상품을 결산하는 ‘올리브영 어워즈’가 10주년을 맞았다. 첫 해였던 2015년 1000만 건이던 연간 구매 건수는 10년 새 1억6000만 건으로 16배가 급증했다. 그간
올해 11월까지 화장품 누적 수출 실적이 역대 최고치를 경신한 가운데 윤상현 콜마그룹 부회장이 K뷰티 확산을 위해 적극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한국콜마에 따르면 2일 오유경 식품의약품안전처장이 한국콜마 종합기술원을 방문해 간담회를 열었다. 오 처장은 화장품 수출 업계 애로사항을 듣고, 해외 진출 확대를 위한 지원 방안을 논의했다.
간담회에는 윤상현 콜마
쇼피ㆍ라자다 등 동남아 온라인 플랫폼 유통 채널도 확보
중국 현지 완구사업과 유아의류 사업을 벌이고 있는 헝셩그룹이 올해 신사업으로 추진 중인 화장품 사업에서 성과를 이뤄내고 있다. 특히 조선미녀, 그레이멜린, 뷰애드 등 브랜드로 시작해 롬엔, 미려, 에뛰드 등 현재 총 13개 브랜드 화장품을 중국 티몰, 징동몰 등 온라인 플랫폼 유통에 나섰다.
2
이탈리아 로마 백화점 '명품 브랜드' 사이에 'K 인디 브랜드' 비치한국콜마ㆍ실리콘투 등 제조ㆍ유통사 역할 '톡톡'…현지 수출 '쑥'
발길ㆍ눈길 닿는 곳마다 유명 유적지와 예술작품, 명품이 일상인 이탈리아 로마. 그 중에서도 영화 '로마의 휴일' 주요 배경지인 스페인계단과 트레비분수 사이에 위치한 라 리나센테(la Rinascente) 백화점은 크지
미래에셋자산운용은 ‘TIGER 화장품 상장지수펀드(ETF)’ 순자산이 2000억 원을 돌파했다고 3일 밝혔다.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전날 종가 기준 TIGER 화장품 ETF의 순자산은 2155억 원이다. 이는 국내 상장된 미용·의료기기 관련 ETF 중 최대 규모다.
TIGER 화장품 ETF는 글로벌 화장품 시장에서 ‘K-뷰티’를 이끄는 ‘인디 브랜드(
CJ올리브영(올리브영)은 30일부터 9월 5일까지 900여 개 브랜드의 상품 1만4000여 종을 최대 70% 할인하는 올영세일을 진행한다고 28일 밝혔다.
올영세일은 연간 네 번(3월, 6월, 9월, 12월) 열리는 올리브영 대표 정기 세일 행사다.
이번 올영세일은 색조 화장품 수요가 늘어나는 초가을에 열리는 만큼 5000종에 육박하는 색조 화장품
롯데홈쇼핑이 국내 시장 점유율 1위 로봇 청소기 브랜드 '로보락' 신제품을 멀티 판매 채널을 통해 동시에 판매한다.
롯데홈쇼핑은 11일 공식 유튜브 채널 '롯튜브'를 통해 로보락 'S8맥스 울트라' 숏폼 콘텐츠를 공개한 후 TV홈쇼핑 생방송과 모바일 라이브방송을 통해 동시 판매한다고 6일 밝혔다.
신제품은 진공 및 물걸레 청소 기능과 함께 모서리 공
스타 쇼호스트와 단독 상품 강화 효과로 롯데홈쇼핑의 뷰티 상품 전체 주문액이 크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롯데홈쇼핑은 4월 28일부터 7월 16일까지 뷰티 상품 전체 주문액이 전년 동기 대비 약 30% 증가했다고 22일 밝혔다.
롯데홈쇼핑은 올해 패션, 뷰티 등 고효율 상품 판매를 통한 수익성 개선을 위해 스타 쇼호스트 영입을 늘리고 단독 상품을 강
조선미녀ㆍ스킨1004ㆍ코스알엑스 등 주목“까다로워진 미국 진출…전문가 지원 필요”
국내 화장품 업계 대표 수출국으로 꼽혔던 중국 시장이 비실거린 가운데 미국, 일본 등에서는 K뷰티가 약진하고 있다. 특히 아마존 등 온라인 채널을 통해 국내 중소 브랜드들이 조용한 입소문을 타고 있다.
14일 관세청 무역통계에 따르면 올해 5월까지 화장품류 누적 수출액은
라카코스메틱스는 '조선미녀' 운영사 구다이글로벌이 라카코스메틱스 지분 약 88%를 425억 원에 인수했다고 17일 밝혔다. 라카코스메틱스는 색조 뷰티 브랜드 '라카(Laka)'를 운영한다.
라카코스메틱스는 광고 디렉터 출신 이민미 대표가 창업한 회사로, 이번 지분 인수로 브랜드 창립 7년 만에 보유 지분 전량을 297억 원에 매각했다. 이 대표는 이후에
유안타증권은 실리콘투에 대해 글로벌 시장 진출을 키울 것으로 전망했다. 투자의견은 ‘매수’, 목표주가는 6만 원을 신규 커버리지 개시했다. 전 거래일 기준 종가는 4만1500원이다.
7일 이승은 유안타증권 연구원은 “실리콘투는 K-뷰티 브랜드 제품을 자사 플랫폼인 스타일코리안닷컴을 통해 전 세계 160여 개의 국가에 이커머스 역직구 판매 및 기업 고객
CJ온스타일에서 기능성 뷰티 신상 완판 행렬이 이어지고 있다.
CJ온스타일은 1월 1일부터 4월 30일까지 뷰티 매출을 분석한 결과 고기능성 프리미엄 뷰티 브랜드 매출이 전년 대비 139% 증가했다고 23일 밝혔다.
특히 뷰티 큰 손 3040세대를 중심으로 빠르게 성장하고 있다. 같은 기간 뷰티 전체 매출에서 3040세대 신장률은 18%에 달한다. 이
아모레, 프리미엄 라인 이익 개선...매출 감소에도 영업익 13% 늘어더페이스샵ㆍ이니스프리 등 로드숍 부진...“채널 다변화로 활로 모색”
국내 화장품 업계 양대 산맥인 LG생활건강과 아모레퍼시픽이 오랜 부진을 털고 실적 기지개를 켜고 있다. LG생활건강은 대표 브랜드인 '더후', 아모레퍼시픽은 '설화수'와 '헤라'가 각각 실적 개선을 이끌었다. 다만
무신사, 100억 돌파 신진·중소 디자이너 브랜드 36% ↑급변하는 트렌드·SNS 마케팅 및 유통 채널 다각화 효과
국내외 중소형 인디브랜드들이 급성장하면서 패션·뷰티업계에 지각 변동이 일어나고 있다. 대형 패션·뷰티기업이 실적 부진에서 빠져나오지 못하고 있는 가운데 중소 브랜드들은 호황을 누리면서 시장 재편 움직임이 활발해지고 있다.
5일 업계에
롯데홈쇼핑은 12일 미국 아마존 선크림 1위 K뷰티 브랜드 ‘조선미녀’를 업계 최초로 선보인다고 11일 밝혔다.
조선미녀'는 한방 원료를 현대인에게 맞게 재해석한 브랜드로, 2022년 아마존 블랙프라이데이 기간 선크림 부문 1위를 기록하기도 했다.
롯데홈쇼핑은 올해 1분기 뷰티 주문 건수가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20% 이상, 2030 세대 주문건수가
프리미엄 대신 가성비 중소 브랜드 인기↑올리브영 판매 상위 품목 10개 중 8개 중소 제품
“오하이오·니하오!”
27일 오전 서울 중구 명동 'VT코스메틱 명동점'에 들어서자 직원이 대뜸 외국어로 인사를 건넸다. 외국인 관광객이 주요 고객인 탓에 한국어가 오히려 생소할 정도다. 매장을 찾은 고객도 외국인이 대부분이었다. 직원은 "아무래도 관광 상권이라 주
롯데마트가 ‘그로서리 특화 매장’이라는 한국의 성공 모델을 인도네시아에 이식하며 인도네시아 리테일 시장의 새기준을 제시한다.
롯데마트는 3개월간 진행된 인도네시아 간다리아점의 재단장을 K푸드 중심의 ‘그로서리 전문점’으로 새롭게 문을 열었다고 28일 밝혔다.
인도네시아 롯데마트 중 최초의 그로서리 혁신 점포로 식료품 매장의 면적을 기존대비 20%이상
미국 SNS서 언급…브랜드 급부상지난해 연매출 1400억 원 달성
“글로벌에선 ‘조선미녀’ 브랜드가 팬시(fancy, 색다른)한 이미지가 있는데, 국내에선 ‘촌스럽다’라는 이미지가 있는 게 사실입니다. 국내 소비자를 상대로도 세련된 이미지를 구축하는 게 올해 제일 큰 목표입니다.”
16일 서울 영등포구 문래동 사옥에서 만난 천주혁(37) 구다이글로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