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원감축과 연계한 정부의 대학 특성화 사업에 지방 80개 대학, 수도권 28개 대학 등 총 108개 대학이 선정됐다. 이에 따라 오는 2017학년도까지 입학정원을 1만9085명 감축키로 했다.
교육부와 한국연구재단은 2014년부터 새롭게 추진되는 '지방대 육성 및 대학 특성화를 위한 CK 사업'의 최종 선정결과를 30일 발표했다.
교육부는 수도권-지방
교육부가 지방대 특성화 사업에 이어 전문대학 육성을 위해 올해부터 2018년까지 총 1조 5000억원의 예산을 투입한다.
교육부는 이 같은 내용을 담은 ‘전문대학 육성사업 시행계획’을 19일 확정해 발표했다.
이번 사업은 박근혜 정부의 주요 국정과제인 핵심과제의 일환으로 지난해 7월 ‘전문대학 육성방안’ 법률제정에 이어 나온 조치다.
올해 2963억
박근혜 대통령은 19일 대학교 총장들과 만나 구조조정 정책에 대한 협조 요청에 나선다. 최근 정부의 강도높은 공공기관 개혁 추진 기조에 합류하는 대학들의 의견을 수렴하는 자리가 될 전망이다.
청와대는 박 대통령이 이날 오후 6시 전국 200여개 대학 총장들을 청와대로 초청해 만찬 간담회를 가진다고 밝혔다.
박 대통령은 간담회에서 교육부가 추진하고 있는
정부가 5일 지방대학의 경쟁력 제고를 위해 발표한 '지방대 특성화 사업계획'은 정원을 감축하는 대학에게 가산점을 부여 하는 등 사실상 지방대 구조개혁의 일환으로 볼 수 있다.
이번 계획을 통해 경쟁력있는 지방대는 적극 육성하고 그렇지 못한 대학은 제외시키면서 교육의 질을 높이고 수도권 지역의 대학과 경쟁해도 뒤지지 않는 대학 생태계를 조성한다는 계획이
지방대학이 특성화를 위해 내년부터 5년간 1조원 가량 지원된다. 또 2015학년도부터 '지역인재 전형'이 시행된다. 이는 비(非)수도권 지방대 모집정원의 일정 비율을 해당 지역 고등학교 졸업자로 선발하는 것을 말한다.
교육부는 권역별 공청회, 전문가 협의회, 관계부처 의견조회 등을 거쳐 이 같은 내용의 '지방대학 육성방안'을 확정해 3일 발표했다.
교육
앞으로 지방 의대나 법대의 정원 일부는 해장 지역 고교 출신자들로 채우게 된다. 이는 현재 고등학교 2학년이 대학에 진학하는 2015학년도부터 적용된다.
또한 5급 공무원에 이어 7급 공무원 임용에도 지역인재 채용목표제가 적용되고 공공기관도 지역인재를 별도로 뽑는 채용할당제를 확대한다.
교육부는 이 같은 내용이 담긴 지방대학 육성방안을 지난달 31일 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