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년 3분기 단기차입금 비중 26%글로벌 금융위기 수준 넘어은행 대출 의존도 0.2%p 높아져
은행 창구에서 급전을 빌리는 기업들이 늘고 있다. 대내외 불확실성이 고조되면서 침체된 기업 경기가 은행의 자산 건전성에 연쇄적으로 악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11일 한국은행에 따르면 지난해 9월 말 기준 기업(비금융기업)의 단기차입금은 682조2
시공능력평가 58위인 신동아건설이 법정관리(기업회생절차) 수순에 돌입한 가운데 중견건설사의 부채 비율이 위험 수준을 넘어서면서 재무 건전성에 경고등이 켜졌다. 올해 건설 경기가 최악의 보릿고개를 넘길 것이란 전망이 나오는 만큼 업계 내 위기감이 고조되는 양상이다.
9일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에 따르면 시공능력평가 상위 20~40위 중견건설사 중 20
유례 없는 탄핵 정국으로 국내외 불확실성이 커진 가운데 원·달러 환율 급증으로 건설업계가 긴장하고 있다. 다수의 원자재를 수입에 의존하는 업계 특성상 환율 안정화에 따라 분양가 추가 인상 여부와 중소 건설업체 유동성이 달라질 것으로 보인다.
31일 서울 외환시장에 따르면 전일 원·달러 환율 종가(오후 3시 30분 기준)는 전 거래일 대비 5.0원 오른
실적 악화를 직면한 건설업계가 보릿고개를 겪고 있다. 공사비와 인건비의 동반 상승으로 원가율이 높아지며 내년에도 역성장이 예고된다.
24일 한국은행의 ‘2024년 3분기 기업경영분석’ 보고서에 따르면 3분기 건설업 매출액 세전 순이익률은 2.75%로 전년 동기(4.16%) 대비 1.41%포인트(p) 하락했다. 같은 기간 매출액 대비 영업이익률도 3.85
한은, 17일 ‘3분기 기업경영분석 결과’ 발표수익성지표 업종 대부분 하락했지만…운송장비·반도체 상승으로 상쇄성장성지표도 기계·전기전자 및 석유화학 중심 대부분 업종 하락
기업들의 경영 상황이 여전히 안갯속에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수익성 지표는 반도체, 자동차 등 일부 업종을 제외하고 대부분 부진했다. 성장성 지표 역시 대부분 하락했다.
한국은행이
한국기업평가는 17일 한화솔루션의 선순위 무보증사채 신용등급 전망을 기존 '안정적'에서 '부정적'으로 하향 조정한다고 밝혔다. 신용등급은 'AA-', 기업어음 등급은 'A1'을 유지한다.
이번 등급전망 변경은 주력 사업의 실적 부진, 확대된 투자 등에 따른 재무안정성이 저하가 반영됐다. 한화솔루션의 순차입금/EBITDA는 2023년 5.9배에서 지난
한신공영은 오너 2세인 최문규 대표이사가 경영 전면에 나선지 올해로 8년 차에 접어들었다. 포트폴리오 다각화를 통한 안정적인 수주 잔고를 확보하며 업종 불황을 타개하고 있지만, 수익성 악화와 외부 차입금 증가로 유동성 부담이 커진 점은 개선해야 할 과제다. 지배구조 상 최 대표이사의 입지가 완전하지 않다는 점에서 수익성 개선이 절실하다.
1950년 설
대방건설이 올해 수도권 분양시장에서 준수한 성적표를 받아들며 지난해 저조했던 분양수익을 메꿀 수 있을 것이라는 기대를 모았다. 그러나 계열사와의 내부거래가 사실상 매출의 대다수를 차지하며 향후 성장을 담보하기 쉽지 않다는 평가가 이어지고 있다.
26일 건설업계에 따르면 대방건설은 올 하반기 수도권에서 진행한 청약에서 잇따라 완판을 기록했다.
실제 이달
오너 2세인 이석준 우미건설 부회장 체제에서 종합 디벨로퍼로 변신을 꾀하고 있는 우미건설은 포트폴리오 다각화를 진행하며 외형 성장세를 유지하고 있다. 프롭테크, 스마트 기술 투자에 선제적으로 뛰어들어 성과도 내고 있다. 하지만 수익성 악화와 외부에서 수혈한 차입금 급증으로 재무건전성이 크게 흔들리는 상황이다. 여기에 '벌떼입찰' 관련 국세청과 공정거래위
한은, 23일 ‘2023년 연간 기업경영분석 결과’ 발표매출액증가율, 마이너스 전환…2010년 편제 후 최저치이자보상비율 191.1%…2009년 편제 후 최저치이자보상비율 100% 미만 기업 비중 42.3%…역대 최고치 전년과 같아“삼성전자, SK하이닉스 등 주요 대기업 수익성 지표 안좋아”
작년에 기업 10곳 중 4곳이 금융이자를 제대로 갚지 못한 취약
두 달 앞으로 다가온 미국 대선과 현실화한 빅컷(금리 0.5%포인트 인하), 인공지능(AI) 거품론, 전기차 캐즘(일시적 수요 둔화), 중국발 공급 과잉까지 국내 주력 산업 전반에 안개가 한 가득이다. 이에 기업들도 현금 곳간 채우기에 나서고 있다. 그러나 삼성·SK·현대차·LG 등 10대 그룹 중 절반은 현금 사정이 악화하는 것으로 파악됐다.
22일
국내 7대 그룹의 수익성이 3년 연속 악화하고 있다. 삼성, SK, 포스코, LG 등 대형 그룹사 위주로 수익성이 대폭 하락해 그룹 합산 EBITDA는 내리막길을 걷고 있다. EBITDA는 기업이 영업활동을 통해 벌어들인 현금창출능력을 나타내는 수익성 지표를 말한다.
29일 한국기업평가는 그룹 분석 웹세미나를 열고 국내 주요 7대 그룹사의 재무역량과
대한전선이 2일 서울 여의도 NH금융타워에서 열린 기업설명회(IR)에서 2분기 말 기준 수주 잔고가 2조55억 원으로 역대 가장 높은 수준을 기록하고 있다고 밝혔다.
대한전선은 올해 미국에서만 약 5200억 원의 신규 프로젝트를 수주했다. 2000년대 초 북미에 진출한 이후 최고의 성과를 내고 있다.
대한전선의 2분기 연결기준 매출은 8643억 원,
지난해 국내 기업의 회생 및 파산 신청이 통계 작성 이후 최고치를 경신한 것으로 나타났다.
삼정KPMG는 23일 ‘기업회생시장 동향과 전망‘ 보고서를 통해 기업회생 및 파산 신청 현황과 관련 주요 정책, 회생시장 전망 등을 분석하며 이같이 밝혔다.
2023년 기업회생 신청은 전년 대비 54.9% 증가한 1024건으로 과거 최고치(2009년 1003건
‘안정적(Stable)’으로 등급 전망한기평도 ‘긍정적(Positive)’ 상향
대한전선은 나이스신용평가(나신평)의 기업신용등급(ICR)이 2022년 'A-'에서 2년 만에 'A'로 상향됐다고 26일 밝혔다.
나신평은 대한전선의 등급 전망도 '안정적(Stable)'으로 평가했다.
기업신용등급은 기업의 전반적인 사업 수익성 및 채무 상환 능력을 평가
SK이노베이션과 SK E&S의 합병은 에너지 사업의 시너지 외에도 10분기 연속 적자를 내고 있는 SK온을 살리기 위한 불가피한 결정으로 해석된다. 매년 1조 원의 영업이익을 내는 ‘알짜’ 회사인 SK E&S의 자금력을 바탕으로 SK온의 재무구조를 개선하겠다는 구상이다.
2021년 10월 SK이노베이션에서 분사한 SK온은 출범 이후 10개 분기 연속
DL이앤씨가 회사채 발행 수요예측에서 총 8050억 원 규모의 주문을 접수했다고 3일 밝혔다.
이날 DL이앤씨에 따르면 애초 2년물 600억 원, 3년 물 400억 원 등 총 1000억 원 규모로 회사채 수요예측을 진행했는데 2년물 5200억 원, 3년물 2850억 원 등 계획 대비 약 8배의 물량이 접수됐다. 최근 부동산 경기 침체에 따른 건설업 전
DL이앤씨는 한국신용평가, 한국기업평가, 나이스신용평가로부터 건설업계 최고 수준인 'AA-(안정적)' 회사채 신용등급을 부여받았다고 2일 밝혔다. 이로써 2019년부터 6년 연속 AA- 등급을 유지했다.
3대 신용평가사는 평가보고서를 통해 △우수한 시장 지위와 시공 경험에 기반한 사업경쟁력 △다양한 포트폴리오와 풍부한 수주 잔고가 뒷받침된 안정적 사업
DL이앤씨가 3년 만에 회사채 시장에 복귀한다. 지난해부터 이어진 부동산 프로젝트 파이낸싱(PF) 부실 우려로 건설채에 대한 관심이 시들한 상황이지만, DL이앤씨는 신용등급이 높은 데다 현금창출력이 뛰어난 것으로 평가돼 괜찮은 성적표를 내놓을 수 있다는 관측이 나온다. 다만 큰 흥행은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
1일 금융투자(IB)업계에 따르면 DL이앤씨는
한국기업평가는 신용등급 A인 HD현대케미칼의 등급 전망을 '부정적'으로 하향 조정한다고 26일 밝혔다.
'부정적' 등급 전망은 향후 6개월 이내 HD현대케미칼의 신용등급이 'A-'로 하향할 가능성이 높다는 의미다. 정유와 석유화학 사업을 영위 중인 HD현대케미칼은 HD현대오일뱅크와 롯데케미칼이 각각 60%, 40%씩 지분을 보유하고 있다.
등급 전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