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 순이동 인구 수가 지난 10년간 100만 명이 넘은 것으로 나타났다. 인구가 몰리면서 아파트 입주율과 입주전망지수 또한 오름세를 보인다. 경기 지역에서 신도시 개발 사업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는 가운데 ‘탈서울’ 현상에 가속도가 붙으면서 경기지역으로 수요자들이 몰렸다는 분석이다.
16일 리얼투데이가 한국부동산원 ‘국내인구이동통계’ 자료를 분석
경기와 인천에 사는 이들이 서울 집합건물(아파트·오피스텔·다세대주택)을 매수할 때 지리적으로 인접한 지역 위주의 부동산을 선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직장, 학교 등 기존의 생활권을 어느 정도 유지하며 거주 지역에서 멀지 않은 곳을 중심으로 매수를 고려한다는 의미다.
18일 프롭테크 업체 ‘직방’이 대법원 등기정보광장의 자료를 살펴본 결과 경기·인천 거주
서울의 인구 유출이 10년 만에 멈췄다.
통계청이 27일 발표한 ‘2월 국내인구이동’ 자료에 따르면, 2월 서울의 인구는 총전입 14만6401명, 총전출 14만3367명으로 3034명 순유입됐다. 순이동률(100명당 이동자 수)은 0.4%였다. 2009년 3월부터 올해 1월까지 서울의 인구는 9년 11개월 연속 순유출되던 상황이었다.
통계청
서울의 인구 유출이 가속화하는 추세다.
통계청이 25일 발표한 ‘6월 국내인구동향’에 따르면, 올해 2분기 서울의 인구는 34만3860명이 전입하고 37만3747명이 전출해 2만9887명 순전출을 기록했다. 지난해 2분기와 비교해 순전출 규모는 1만877명 확대됐다. 순이동률도 –1.2%로 전년 동기(-0.8%) 대비 0.4%포인트(P) 하락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