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달 20일부터 친환경 선박 인증이 기자재까지 확대된다. 인증받은 기자재는 홍보를 위해 공인 인증마크를 사용할 수 있고 보조금, 취득세 감면 등 지원도 받는다.
해양수산부는 친환경 선박 기자재 인증 기준을 새롭게 마련해 전면 개정한 환경친화적 선박 및 기자재 인증제도 운영요령(고시)을 20일부터 시행한다고 밝혔다.
친환경 기자재는 해양 및 대기 환경
김동관 한화그룹 부회장이 아랍에미리트(UAE)에서 방산부터 우주, 해양, 에너지 등까지 아우르는 경제 협력 구축에 나선다.
한화에어로스페이스는 17~21일(현지시간) UAE 아부다비에서 열리는 방산 전시회인 ‘IDEX 2025’에 김 부회장이 참석했다고 17일 밝혔다.
김 부회장은 글로벌 방산 기업 관계자, UAE 정부 관계자 등과 만나 국방과학연구
KIAT, '2025년 상반기 주요 업종 일자리 전망' 발표기계·전자·철강·디스플레이·금속가공·석유화학은 유지
올해 상반기 조선·반도체·자동차 분야 일자리는 늘고, 섬유 업종 일자리는 줄어들 것이라는 전망이다. 기계·전자·철강·디스플레이·금속가공·석유화학 업종은 지난해 고용 수준을 유지할 것으로 보인다.
한국산업기술진흥원(KIAT)과 한국고용정보원은
친환경선 운반·추진 기술, 디지털전환 등 투자…전년 대비 40% 증액세계 최초 암모니아 연료 공급 전용 선박 건조 사업도 착수
정부가 K-조선 산업의 초격차 기술 경쟁력 확보를 위해 역대 최고인 2600억 원의 예산을 투입한다. 친환경선 운반·추진 기술, 디지털전환은 물론 세계 최초로 암모니아 연료 공급 전용 선박 건조 사업도 착수한다.
산업통상자원부는
한국IR협의회는 11일 산업용 파이프 피팅 전문 기업 태광에 대해 외국발 액화천연가스(LNG) 발주가 늘어나고, 국내 조선사 친환경 선박 수주가 급증해 올해 기록적인 실적을 기록할 수 있다고 분석했다.
이원재 한국IR협의회 연구원은 "국내 용접용 피팅시장은 성광벤드와 태광이 양분하고 있는 시장으로 태광은 수출시장에서 부동의 글로벌 1위 지위를 유지하고
지난해 영업익 전년 대비 408% 증가2019년 중간지주사 출범 후 최대 실적LNG선 등 고부가 선박 확대하며 美함정 MRO 공략
HD한국조선해양이 2019년 조선 중간 지주사 체제 이후 최대 실적을 거뒀다. 작년 한 해에만 3년 치 일감을 쌓아두며 연간 영업이익 1조 원을 돌파했다. 올해도 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의 에너지 수출 정책, 자국 조선업
HD현대는 지난해 연결 매출 67조7656억 원, 영업이익 2조9832억 원으로 전년 대비 10.5%, 46.8% 각각 증가했다고 6일 밝혔다.
조선·해양 부문 중간 지주사 HD한국조선해양은 고부가가치 친환경 선박의 수주량 확대와 생산 효율화를 통한 건조 물량 증가로 호실적을 거뒀다. 작년 매출은 전년 대비 19.9% 늘어난 25조5386억 원, 영업
HD현대마린솔루션은 지난해 매출 1조7455억 원, 영업이익 2717억 원을 기록했다고 4일 밝혔다. 전년 대비 매출은 22%, 영업이익은 35% 증가했다.
주력 사업인 선박 부품 및 서비스 관련 AM(애프터마켓) 사업 매출이 2023년 대비 33% 증가하며 실적 성장을 견인했다.
회사는 최근 신조 선박 인도 물량이 증가하고 친환경 이중연료 엔진의
정부가 올해 2223억 원을 투자해 81척의 친환경선박 건조ㆍ전환을 추진한다.
해양수산부는 제1차 친환경선박 개발·보급 기본계획(2021∼2030년)에 따라 이 같은 내용을 담은 ‘2025년 친환경선박 보급 시행계획’을 마련했다고 30일 밝혔다.
정부는 2018년 환경친화적 선박의 개발 및 보급촉진에 관한 법률을 제정해 공공부문에서는 선박 건조 시 친
한국산업은행은 항만 인프라 전반을 종합적으로 지원하기 위해 출시한 ‘KDB 스마트 오션인프라 펀드 프로그램’의 2호 사업인 '울산항 액체 화물 저장시설'에 대한 승인을 마쳤다고 23일 밝혔다.
KDB 스마트 오션 인프라 펀드 프로그램은 항만의 친환경·스마트화, 항만 배후단지 및 스마트 물류센터 구축 등을 지원하기 위해 지난 2023년 6월 출시됐다. 현
박정석 신임 한국해운협회장은 16일 "우수 선ㆍ화주 제도 확대를 통해 대량화물 수송 역량을 강화하고, 친환경 선박 대체를 위한 선박금융 확대를 도모하겠다"고 말했다.
한국해운협회는 이날 서울 여의도에서 2025년도 정기총회를 개최하고 제34대 회장으로 박정석 고려해운 회장을 선임했다고 밝혔다. 임기는 이날부터 3년이다.
박 회장은 취임사에서 "현재
‘미국 우선주의(America First)’를 넘어 ‘미국 유일주의(America Only)’ 정책을 표방하는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20일 공식 취임한다. ‘트럼프 노믹스’ 시즌2가 현실화한 것이다. 트럼프 1기 때 미·중 무역갈등으로 시작된 자유 무역주의 쇠퇴가 가속화하고, 글로벌 무역전쟁은 더 격화될 것으로 전망된다. 보호무역주의 기조와 중국 견
2045년 세계 최대 항만을 목표로 부산항 진해신항이 본격 착공하고 복합해양레저관광도시 2곳을 선정해 연안지역의 활력을 높인다.
해양수산부는 13일 최상목 대통령 권한대행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 주재로 주요현안 해법회의(경제2 분야)를 열고 이 같은 내용을 담은 ‘2025년 업무 추진계획’을 발표했다.
해수부는 ‘민생에 온기를, 경제에 활력을 더하
2030년까지 1조 원 규모로 조성해 친환경 선박연료 전환을 지원하는 친환경 선박연료 인프라 펀드가 출범한다.
해양수산부와 한국해양진흥공사는 14일 콘래드 서울 호텔에서 친환경 선박연료 인프라 펀드 출범 및 1호 펀드 투자 서명식을 개최한다.
행사에는 강도형 해수부 장관 임석하에 해양진흥공사, 한국산업은행, 교보생명, 우리자산운용, 현대오일터미널 등
윤희성 수출입은행장이 올해 적극적인 선박금융 지원을 약속했다.
6일 윤 행장은 울산 HD현대미포에서 열린 친환경 선박 명명식에 참석해 "K-조선의 기술적 우위를 지속적으로 확보하기 위해 끊임없는 신기술 개발과 이를 통한 시장선점의 선순환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그는 "수은은 친환경·고부가 선박 발주를 통해 국내 조선사의 경쟁력 확보에 기여하는 해외
정부, '2025년 경제정책방향' 발표…산업경쟁력 강화 추진반도체 패권 확보 위해 2%대 저리 대출 등 14조 정책금융 지원조선, MRO 수요 확대 대응…1분기 한·미 협력 패키지 발표친환경차 전환 속도…석화산업 사업재편 지원체계 구축
정부가 반도체와 자동차, 이차전지, 조선 등 우리 주력 산업의 글로벌 경쟁 심화에 대응해 산업별 맞춤형 지원에 나선다.
HJ중공업은 영국 로이드선급(LR)으로부터 8만8000㎥급 차세대 친환경 초대형 암모니아 운반선(VLAC)에 대한 설계 개념 승인(AP)을 획득했다고 30일 밝혔다.
HJ중공업과 로이드선급은 지난 7월 차세대 초대형 암모니아 운반선을 공동 개발하는 내용의 양해각서(MOU)를 체결하고 약 6개월간 연구 활동을 진행했다.
HJ중공업은 암모니아 운반선의
한화그룹이 미국 조선소를 인수하며 세계 최고 조선 해양방산 기업으로서 위상을 높였다. 국내 기업 중 미국 조선소를 인수한 것은 한화그룹이 처음이다.
한화그룹은 미국 필라델피아에 있는 필리 조선소(Philly Shipyard) 인수를 위한 제반 절차를 최종 완료했다고 20일 밝혔다.
이번 인수 완료는 6월 모회사인 노르웨이 아커(Aker)와 본계약 체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