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아ST가 지난해 외형 성장에 성공했지만, 수익성 측면에서 아쉬움을 남겼다.
동아ST는 지난해 영업이익 325억 원을 기록해 전년 대비 0.8% 감소했다고 10일 공시했다. 같은 기간 매출액은 6407억 원으로 5.9% 증가했다.
매출은 전문의약품(ETC) 부문과 해외사업 부문에 힘입어 성장했다. ETC 부문은 인성장호르몬제 '그로트로핀'이 1189억
올해 3분기 실적 시즌이 막바지에 어느덧 막바지에 이르렀다. 제약업계가 대체로 양호한 성적표를 받은 가운데 연매출 5000억~6000억 원대 중견 제약사들은 수익성 측면에서 엇갈린 기록을 남겼다.
동아ST는 외형과 수익성 동반성장에 성공했다. 12일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에 따르면 동아ST는 별도기준 3분기 영업이익 198억 원을 달성해 지난해 3분
동아ST가 3분기 외형과 수익성 동반성장을 달성했다.
동아ST는 별도기준 올해 3분기 영업이익 198억 원을 기록해 전년동기 대비 51.4% 증가했다고 1일 공시했다. 같은 기간 매출액은 1795억 원으로 19.5% 늘었다.
본업인 전문의약품(ETC) 부문이 순항하는 가운데 해외사업이 성장하면서 호실적을 이끌었다.
해외사업 부문 매출은 캄보디아 지
동아에스티가 올해 1분기 연구·개발(R&D) 비용 증가로 수익성이 후퇴했다.
동아에스티는 1분기 매출액 1401억 원을 기록해 전년동기 대비 3.7% 증가했다고 2일 공시했다. 같은 기간 영업이익은 7억 원으로 89.0% 줄었다.
전문의약품사업과 해외사업이 외형 성장을 이끌었다.
전문의약품사업 부문에서는 인성장호르몬 '그로트로핀' 매출이 266억
동아에스티가 올해 2분기 수익성 개선에 성공했다.
동아에스티는 2분기 영업이익 88억 원으로 전년동기 대비 102.7% 증가했다고 27일 공시했다. 같은 기간 매출은 1541억 원으로 3.8% 줄었다.
전문의약품(ETC) 부문은 인성장호르몬제 그로트로핀의 매출 확대로 5.0% 늘어난 1025억 원을 기록했다.
해외사업 부문은 캔박카스와 다베포에틴알
동아에스티는 수출용 캔 박카스로 2030 부산세계박람회(이하 2030 부산엑스포) 유치 홍보 활동을 지원한다고 26일 밝혔다.
동아에스티는 2030 부산엑스포 유치 성공에 힘을 보태기 위해 ‘월드 엑스포 2030 부산, 코리아(World EXPO 2030 Busan, Korea)’란 홍보 메시지를 담은 수출용 스페셜 에디션 캔 박카스를 캄보디아 등 아
경기 침체 속에도 제약·바이오업계는 대형·중견 기업을 중심으로 올해 1분기 양호한 실적을 쓰고 있다. 이런 분위기 속에서 드물게 성장세가 후퇴하거나, 적자로 돌아선 기업들은 눈길을 끌기 마련이다. 1분기 부진한 성적표를 내놓은 이들은 ‘상저하고’를 실현하기 위해 분주한 상반기를 보내는 중이다.
적자로 돌아섰다…GC녹십자·SK바사
8일 금융감독원 전자공
동아에스티가 3년 만에 매출 신기록을 썼다. ‘캔박카스’를 필두로 해외사업이 순항하면서 외형 성장을 이끌었다. 회사는 연구·개발(R&D) 투자도 늘리며 글로벌 기업으로 도약에 속도를 내고 있다.
14일 본지 취재를 종합하면 동아에스티의 최대 수출 품목인 캔박카스는 지난해 957억 원의 매출을 올려 사상 최대치를 달성했다. 전년(818억 원) 대비 17.0
동아에스티가 2013년 지주사 체제 전환 이래 사상 최대 매출을 경신했다.
동아에스티는 지난해 매출 6358억 원을 기록해 전년 대비 7.7% 증가했다고 13일 공시했다. 2019년 6122억 원 이후 최대 규모다.
같은 기간 영업이익은 325억 원, 순이익은 263억 원으로 각각 110.0%, 120.1% 늘었다.
전문의약품(ETC)과 해외사업,
전통 제약사들이 미래 성장을 위한 발판으로 디지털 헬스케어를 주목하고 있다. 유망 기업과 손을 잡거나 기존 강점에 디지털 헬스케어 사업을 접목하는 등의 전략으로 시장 진입에 나섰다.
2일 본지 취재를 종합하면 전통 제약사들이 글로벌 디지털 헬스케어 시장의 급격한 성장세에 발맞춰 기회를 찾느라 분주하다.
시장조사기관 GIA(Global Industry
국내 주요 제약사들의 상반기 호실적 달성에 대표 제품 매출 상승이 효자 역할을 한 것으로 나타났다. 전문의약품(처방약)의 국내외 처방이 증가한 데다, 코로나19 영향에 감기약 제품류 매출도 급증했다. 또한 거리두기 해제에 따른 리오프닝(경제활동 재개)으로 유산균과 비타민 제품 매출이 늘어난 것도 실적 상승에 도움이 됐다. 이에 따라 제약사들의 하반기 실적
동아에스티는 27일 공시를 통해 별도기준 1분기 영업실적을 잠정 집계한 결과 매출 1535억 원, 영업이익 79억 원을 달성했다고 밝혔다.
영업이익은 지난해 48억 원 적자에서 흑자 전환돼 820.1% 상승했다. 매출도 지난해 1분기 대비 9.0% 증가했다. 1분기 당기순이익은 전년 동기 대비 209.7% 증가한 20억 원이었다.
회사 측은 올해 1분기
동아에스티는 지난해 매출액은 전년 대비 0.6% 증가한 5901억 원을 기록했다고 8일 밝혔다. 영업이익은 전년 대비 54.5% 감소한 155억 원으로, 당기순이익은 전년 대비 85.9% 감소한 39억 원으로 집계됐다.
ETC(전문의약품) 부문은 자사 개발 의약품 모티리톤, 슈가논, 그로트로핀, 도입품목 가스터, 주블리아, 이달비, 제네릭 의약품 플라비
동아ST는 3일 올해 3분기 매출 1519억원, 영업이익 116억원, 순이익 113억원으로 전년동기 대비 각각 4.3%, 73%, 170.4% 증가했다고 밝혔다.
이같은 실적은 전문의약품(ETC) 부문의 성장에 따른 것이라고 회사측은 설명했다. 코로나19 팬데믹 등 비우호적인 시장환경에도 불구 회사가 자체 개발한 슈가논, 모티리톤, 그로트로핀, 가스터
동아에스티는 올 3분기 별도 기준 매출액이 전년 동기 대비 4.3% 증가한 1519억원, 영업이익은 73% 증가한 116억원을 기록했다고 2일 밝혔다. 당기순이익은 170.4% 증가한 113억원이다.
ETC 부문은 코로나19 재확산 이슈 등 비우호적인 시장 환경이 지속 중임에도 자사 개발의약품 ‘슈가논’ ‘모티리톤’ ‘그로트로핀’ ‘가스터’, 도입품목
동아에스티가 ETC(전문의약품) 실적 부진으로 매출과 영업이익이 동반 하락한 실적을 받아들었다.
동아에스티는 올해 1분기 매출이 전년 대비 30% 줄어든 1409억 원, 영업이익은 98.4% 감소한 9억 원을 기록했다고 28일 밝혔다. 같은 기간 당기순이익은 전년 대비 98.4% 줄어든 7억 원에 그쳤다.
회사 측은 “1분기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E
동아에스티가 코로나19 여파에 박카스 수출ㆍ기술수출 수수료 감소 등으로 아쉬운 실적을 받아들었다.
동아에스티는 2020년 매출이 전년 대비 4.2% 감소한 5866억 원, 영업이익은 39% 줄어든 348억 원을 기록했다고 3일 밝혔다. 같은 기간 당기순이익은 전년 대기 75.1% 하락한 161억 원에 그쳤다.
동아에스티는 ETC(전문의약품) 부문은 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