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스코SPS가 기존 철강가공업에서 친환경 모빌리티 소재ㆍ부품 기업으로 사업을 확장하기 위해 포스코모빌리티솔루션으로 사명을 바꾼다.
포스코SPS는 지난해 12월 29일 임시주주총회를 열고 포스코모빌리티솔루션으로 사명을 변경하는 안건을 의결했다고 3일 밝혔다. 사명은 이달 1일부로 변경됐다.
사명 변경을 위해 지난 9월 임직원을 대상으로 신규사명 사내
포스코인터내셔널이 멕시코에 친환경차 구동모터코아 생산법인을 설립한다고 21일 밝혔다.
전날 포스코인터내셔널은 이사회를 열고 북미 지역 구동모터코아 생산의 현지화를 위한 멕시코 생산법인 설립 투자에 대한 안건을 의결했다.
포스코인터내셔널이 80%를, 100% 자회사인 포스코SPS가 20%를 지분 투자한다.
이번 이사회에서 승인된 투자비는 약 520억
포스코인터내셔널ㆍ포스코건설 등 8개 그룹사 동참1999년부터 올해까지 누적 출연금 1720억 원취약 계층 자립 지원 및 탄소중립 등에 사용
포스코그룹이 이웃 돕기 성금 100억 원을 사회복지공동모금회에 기탁했다.
포스코는 13일 서울 중구 사회복지공동모금회관에서 성금 전달식을 가졌다. 이날 전달식에는 양원준 포스코 경영지원본부장, 조흥식 사회복지공
포스코인터내셔널은 연결기준 3분기 영업이익이 1485억 원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38.7% 증가했다고 22일 공시했다.
3분기 매출액은 9조1515억 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80.6% 증가한 동시에 분기 사상 최대 매출을 달성했다.
특히, 매출은 이번 분기에 처음으로 9조원대에 진입했다. 3분기까지 누계 실적은 매출 24조7630억 원, 영업이익
국내 최대 수소 경제 박람회 ‘2021 수소모빌리티+쇼’가 나흘간의 일정을 끝으로 오늘 막을 내린다.
경기 고양시 킨텍스에서 2회째 열린 이번 행사엔 △수소모빌리티 △수소충전인프라 △수소에너지 분야의 전 세계 12개국, 154개 기업ㆍ기관이 참가해 다채로운 볼거리를 선사했다.
모빌리티, 충전 인프라, 생산, 저장, 이동 등 생태계 전반의 기업이 참여했고
포스코SPS의 ‘연료전지 분리판용 정밀압연 및 성형 제조기술’이 ‘2021 수소모빌리티+쇼’ 최고의 혁신기술에 선정됐다.
한국자동차산업협회(KAMA)는 9일 고양 킨텍스에서 ‘H2 이노베이션 어워드(H2 어워드)'를 열었다.
앞서 예선을 통과한 수소모빌리티 부문 3개사(빈센ㆍ현대모비스ㆍ호에비거), 수소충전인프라 부문 4개사(동화엔텍ㆍ마그마ㆍ삼정이엔씨
수소산업 분야의 최고 혁신기업을 뽑는 ‘H2 이노베이션 어워드’ 본선 발표회가 열렸다. 이날 ‘‘수소에너지’ 부문에서 본선에 진출한 △비케이엠(한국) △크래프트파워콘(스웨덴) △포스코에스피에스(한국)는 각자 확보한 수소 관련 기술을 선보였다.
정밀금형 산업에서 친환경 에너지 분야로 사업을 확장하고 있는 ‘비케이엠’은 ‘연료전지의 내구성과 신뢰성을 높이
포스코그룹이 '2021 수소모빌리티+쇼'에 참가해 수소사업 비전을 제시한다.
포스코그룹은 8일부터 11일까지 경기도 고양시 일산 킨텍스에서 열리는 '2021 수소모비리티+쇼'에서 포스코를 비롯해 △포스코인터내셔널 △포스코건설 △포스코에너지 △포스코SPS △포항산업과학연구원(RIST) 등 총 6개 그룹사가 참여한다고 5일 밝혔다.
포스코그룹 전시 부스
㈜두산의 100% 자회사인 두산로보틱스와 DMI(두산모빌리티이노베이션), DLS(두산로지스틱스솔루션)이 올해 상반기 주목할만한 성과를 거뒀다.
연이은 수주로 매출이 작년 같은 기간보다 3배 가까이 증가했다.
채권단 관리 조기 졸업을 앞둔 두산은 세 회사의 성장을 기반으로 정상화 속도를 앞당긴다.
㈜두산 자회사 3총사, 올해 상반기 매출 194%↑
종합상사에서 종합사업회사로 전환을 시도하는 포스코인터내셔널의 투자 사업이 식량, 친환경차 부품 등의 분야에서 열매를 맺었다.
포스코인터내셔널은 2분기 실적발표에서 상반기 투자법인 영업이익이 832억 원으로, 전년 상반기 214억 대비 약 289% 증가했다고 5일 밝혔다.
투자사업의 매출과 영업이익은 꾸준히 상승하고 있다. 투자법인의 매출액은 2019
9월 열리는 '2021 수소모빌리티+쇼'에 국내외 140여 개 기업이 참가해 수소 연료전지와 수소 드론, 보트, 건설기계 등 수소 관련 제품과 기술을 뽐낸다.
수소모빌리티+쇼 조직위원회는 참가 업체 중 수소모빌리티 분야 기업이 32%로 가장 많고 수소 충전 인프라 분야가 30%, 수소에너지 분야가 16%, 기관과 단체가 22%를 차지한다고 4일 밝혔다
포스코인터내셔널은 26일 이사회를 열고 중국 소주시에 있는 모터코아 생산법인 'POSCO-CORE(포스코아)'의 신주 유상증자에 참여하기로 했다고 27일 밝혔다.
포스코가 대주주로 있는 포스코아가 발행하는 신주를 포스코인터내셔널과 포스코SPS가 인수하는 방식이다.
투자비는 약 586억 원으로 포스코인터내셔널이 410억 원, 자회사인 포스코SPS가 1
포스코인터내셔널은 21일 2분기 잠정 매출액이 8조5245억 원을 기록했다고 밝혔다. 지난 분기에 이어 또다시 최고 기록을 경신했다.
지난해 같은 기간과 비교하면 매출액은 원자재 가격 상승 등에 힘입어 62% 늘었다.
영업이익은 26% 증가한 1700억 원을 기록했다.
상반기 기준으로는 매출액 15조6115억 원, 영업이익 2969억 원을 시현했다
포스코인터내셔널은 28일 자회사 포스코SPS의 공장이 있는 천안과 포항에 약 229억 원을 투자해 구동모터코아 생산공장을 신축한다고 밝혔다. 신규 공장 건설을 마치면 포스코인터내셔널은 국내 200만 대 공급 생산체제를 갖추게 된다. 국내 최대 수준이다.
연산 66만 대인 국내 생산능력을 2025년까지 200만 대로 확대해 친환경 차 시장 수요에 대한
포스코가 독보적인 철강 기술력을 통해 ‘그린&모빌리티’ 중심의 철강제품과 이용기술을 선보이며 친환경 사업을 선도하고 있다.
최정우 포스코 회장은 최근 “그룹 사업구조를 그린&모빌리티 중심으로 전환해야 한다”며 “저탄소ㆍ친환경으로 대변되는 메가트렌드 전환 국면에서 포스코그룹은 철강을 넘어 전기차 강재 및 부품, 이차전지소재, 수소 등 친환경 사업의 선도
두산모빌리티이노베이션(DMI)이 그룹 핵심 계열사로 거듭나기 위한 준비를 착착 진행하고 있다.
드론 시장 주도권을 확실히 장악하기 위해 신제품을 출시한 것이다.
두산그룹이 주요 계열사 매각으로 어려운 상황에 부닥친 만큼 DMI는 하루라도 빨리 성장하기 위해 신기술을 개발한다.
14일 DMI에 따르면 이 회사는 오는 29일부터 내달 1일까지 부산 벡
포스코가 그룹 내 다양한 친환경차 역량을 기반으로 ‘그린 & 모빌리티’ 중심의 사업구조 전환을 추진한다.
1일 포스코 최정우 회장은 창립 53주년을 맞아 임직원들에게 보낸 메시지를 통해 “그룹 사업구조를 ‘그린 & 모빌리티’ 중심으로 전환해야 한다”며 “저탄소ㆍ친환경으로 대변되는 메가트렌드 전환 국면에서 포스코그룹은 철강을 넘어 전기차 강재 및 부품,
두산모빌리티이노베이션(이하 DMI)이 24일 포스코SPS와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고 25일 밝혔다.
협약을 통해 양사는 수소드론용 연료전지에 들어갈 20μm(마이크로미터, 100만분의 1m) 두께의 초극박 금속분리판 개발에 나선다.
연료전지를 구성하는 핵심부품 중 하나인 금속분리판은 수소ㆍ산소ㆍ냉각수를 막전극접합체 전면에 균일 분배∙공급하는 역
포스코인터내셔널이 수소드론용 금속분리판 개발에 나선다.
포스코인터내셔널은 자회사 포스코SPS와 두산모빌리티이노베이션(DMI)이 24일 용인 두산기술원에서 ‘수소드론 연료전지용 초극박 금속분리판 개발 업무협약(MOU)’을 맺었다고 25일 밝혔다.
협약식에는 김학용 포스코SPS 대표와 이두순 DMI 대표 등이 참석했다.
양사는 20μm(마이크로미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