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켓컬리(이하 컬리)는 ‘겨울방학 먹거리 대전’을 18일까지 진행한다고 10일 밝혔다.
이번 기획전에서는 주먹밥부터 미니 붕어빵까지 200여 개가 넘는 상품들을 최대 30% 할인 판매한다. ‘전주 베테랑’ 칼국수, ‘뚝심’ 진한 갈비탕 등 국물 밀키트들도 할인된 가격에 만나볼 수 있다.
겨울 계절 간식으로는 ‘모노키친’ 미니미 알감자 구이, ‘밀클레버
3분기 누적 매출 전년 동기 대비 21% 성장기존 B2B 위주 사업 구조 코로나19 여파로 타격 받아위기 벗어나고자 HMR 등 B2C 사업 강화LF푸드, B2C 사업 비중 40%까지 끌어올릴 계획
코로나19 여파로 어려움을 겪었던 LF푸드가 최근 반등에 성공했다. 기존 기업 간 거래(B2B) 위주 사업 구조에서 벗어나 가정간편식(HMR) 등 기업과 소비
홈플러스는 30일부터 내달 6일까지 일주일간 상반기 결산 ‘2022 베스트 상품 대전’을 개최한다고 29일 밝혔다.
과일, 축산을 비롯한 신선식품을 필두로 주방용품, 일상용품, 패션까지 2022년 상반기 동안 고객들의 사랑을 받은 제품을 총망라해 다양한 혜택으로 선보인다.
대표 신선식품인 과일은 ‘신선농장’ 브랜드를 통해 고품질을 보장하는 국내산 과일부터
여름 국수 신상품이 대거 등장하면서 계절면 전쟁 제2라운드 서막이 올랐다. 비빔면 업계 맏형 '팔도'가 앞장선 이래 오뚜기 진비빔면, 농심의 배홍동 등 라면 업계 위주로 판이 짜여왔던 여름 계절면 시장에 최근 맵지 않은 국수가 출시돼 새 바람이 불고 있다. 들기름 막국수 등 유명 외식업체가 선보인 레스토랑 간편식(RMR)에 이어 냉모밀, 소바 등이 '라면화
코로나 바이러스가 외식업 패러다임도 바꾸고 있다.
코로나 이후 급속히 늘어난 배달 시장이 위드코로나 이후 다소 위축되는 대신 외식과 집밥을 합친 레스토랑 간편식(RMR)으로 진화하고 있다는 분석이다. 그간 서서히 기지개를 켜기 시작한 외식업과 집밥 시장을 차지해온 온오프라인 유통사의 융합을 통해 RMR 성장 모멘텀이 이어질 것으로 업계는 전망한다.
28일
신세계사이먼 여주 프리미엄 아울렛이 27일 프리미엄 푸드코트 ‘테이스트 빌리지(TASTE VILLAGE)’를 선보인다고 25일 밝혔다.
‘테이스트 빌리지(TASTE VILLAGE)’는 이국적 분위기 속에서 다양한 장르의 전국 유명 맛집을 경험할 수 있는 신세계사이먼 프리미엄 아울렛만의 차별화된 F&B 공간이다. 2017년 시흥 프리미엄 아울렛 오픈과
라이프스타일 전문기업으로의 성장을 꾀하는 LF가 연이은 인수합병(M&A)로 포트폴리오 영역을 넓히고 있다. LF가 국내 3위 부동산 신탁회사 코람코자산신탁 주식 111만8618주를 1898억원에 인수한 것. LG그룹에서 독립한 2007년 이후 10여 년간 치뤄낸 30여 건의 인수·합병(M&A) 가운데 최대 규모다. 이는 식품, 화장품, 가구, 리빙 등 비패
구본걸 LF 회장이 잇따른 인수합병(M&A)을 통해 비(非)패션 사업의 포트폴리오 전략에 속도를 내고 있다. 패션업계 전반의 불황 속에 외식과 호텔, 화장품, 식품 등 다양한 영역으로 진출한 데 이어 부동산 금융업에까지 진출키로 한 것. 이러한 구 회장의 다각화 전략이 주효해 LF의 실적 상승도 견인하고 있다.
24일 투자은행(IB) 업계에 따르면 L
경기침체로 업종 전반이 불황을 겪으면 이에 속한 기업들은 본연의 경쟁력을 높여 어려움을 이겨내거나 이종 사업으로의 진출을 꾀하곤 한다. 패션업계 역시 마찬가지. 리빙 사업 진출 외에 본래 사업과 연관성이 적더라도 유망한 사업으로의 진출을 통해 신성장 동력을 찾고 있다.
이러한 행보에 가장 적극적인 것이 LF(옛 LG패션)이다. LF가 진출한 신사업 부
다음커뮤니케이션은 신용카드와·체크카드에 다양한 멤버십을 연결할 수 있는 안드로이드 버전‘마이원 모바일 월렛’ 앱을 출시했다고 18일 밝혔다.
마이원 모바일 월렛은 기존 신용카드에 다양한 멤버십을 연결해 신용카드 한장으로 결제와 포인트 적립을 할 수 있는 모바일 앱이다.
앱에서 신용카드 번호를 입력한후, 원하는 제휴사 멤버십을 선택하면 바로 이용할 수 있
LF푸드는 하코야와 마키노차야에서 연말 고객감사 이벤트로 와인을 이용하는 모든 고객에게 선물용으로 좋은 고급 포장와인 1병을 서비스로 제공한다고 20일 밝혔다.
‘안티구아스 레세르바스 까베르네 쇼비뇽’을 시중보다 저렴한 3만8000원에 서비스하고 ‘1825 카베르네 쇼비농‘을 선물로 증정하는 이벤트다.
안티구아스 레세르바스 까베르네 쇼비뇽은 4년 연
원조는 있지만 영원한 승자는 없다. 프랜차이즈 업계에서도 예외는 아니다. 원조를 뛰어넘어 원조가 되버린‘미투’때문이다. 초기 선점 효과는 얻지 못했지만 마케팅 노력과 개선 작업은 소비자들로부터 인정을 받았다. ‘미투’라는 꼬리표가 아닌 당당한‘최고’라는 타이틀을 받은 그들 이다.
일본 라멘 시장에서 라멘만땅을 누르고 시장 점유율 35%를 차지한 LF푸드
팝티머니카드가 전국형 외식프랜차이즈 가맹점에서 30% 파격적인 할인 이벤트를 선보여 눈길을 끌고 있다.
팝티머니는 △ 티머니 교통카드에 △미스터도넛, GS주유소 편의점 등에서 적용되는 GS멤버쉽 포인트 적립, △ 파리바게뜨, 던킨도넛 등에서 적용가능한 해피포인트 적립이 동시에 가능하다. 이어 기타외식프랜차이즈, 코스메틱 등 사용처를 확대하는 한편 각종
4·11 총선 이후 정치권의 ‘대기업 옥죄기’는 더욱 강화될 전망이다. 여론도 이같은 정치권의 움직임을 반기는 모습이다. 이는 대기업이 규모에 걸맞은 사회적 책임을 이행해야 함에도 ‘덩칫값’을 못하고 있는 상황이라는 점에 대한 반증일 것이다.
최근 대기업들이 막강한 자본력과 대규모의 시설, 종업원을 바탕으로 중소기업들이 진출하기 힘든 자동차, 철강 등 다
연간 5만개의 골목 영세식당이 문을 닫고 있다.
한국외식업중앙회(전 한국음식업중앙회)는 폐업 식당이 2009년 2만9000여곳에서 2010년 4만7000여곳으로 크게 늘어난 데 이어 지난해에는 5만개가 사라진 것으로 관측된다고 30일 밝혔다. 지난해 상반기에만 2만6615개가 점포가 문을 닫았을 정도로 폐업하는 식당의 수가 급증하고 있다.
창업 점포
‘꽃미남라면가게’ 제작지원을 하고 있는 일본 정통 생라멘&돈부리 하코야는 오는 8일 오후 3시 서울 역삼동에 위치한 GS타워점에서 사업설명회를 진행한다고 5일 밝혔다.
일본 정통 생라멘의 맛을 잘 살린 하코야는 현재 중심상권이나 주요 쇼핑몰 등에 입점해 선전하고 있다. 약 90여개점을 확보하고 있는 국내 1위 일본 정통 생라멘 브랜드다.
일본 정통 생라
일본 정통 생라멘&돈부리 하코야는 정일우·이청아 주연의 꽃미남라면가게 제작지원 기념 시식권 증정 이벤트를 진행한다고 2일 밝혔다.
오는 7일부터 내달 5일까지 진행되는 이번 이벤트는 하코야 전 매장에서 일본 정통 라멘인 오이타 또는 하카타 메뉴를 시식한 뒤 간단한 시식평을 자신의 블로그에 남기고 링크를 하코야 홈페이지에 남기면 된다.
200명에게 총
하코야는 최근 플래그십 개념의 매장을 서울 역삼동 GS타워에 오픈 했다고 11일 밝혔다.
GS타워점은 40여평의 중대형 매장으로 인테리어를 카페형태로 구축했다. 지금까지 대부분의 라멘전문점들이 일본식 선술집 인테리어를 표방했다는 점을 감안하면 획기적인 시도다.
테이블과 의자는 긴 카페를 표방해 유선형의 긴 쇼파부터 다양한 디자인 적용했으며 벽면도 도서관
예비창업자들이 가장 쉽게 창업을 할 수 있는 방법은 프랜차이즈 업체를 통한 가맹점 개설이다.
하지만 프랜차이즈 사업에 대한 좋지 않은 선입견도 많을 뿐만 아니라, 어떤 프랜차이즈 본사가 좋은 곳인지 예비창업자들은 쉽게 알지 못하는 것이 현실이다.
창업전문가들은 "우수 프랜차이즈 브랜드들은 가맹점주와 소비자의 욕구를 동시에 간파하고 있다는 공통
무시됐던 비주류의 힘을 새롭게 이용하는 '롱테일(Long-tail) 법칙'이 창업시장의 새로운 전략으로 부상하고 있다.
롱테일 법칙이란 非인기상품(꼬리)의 매출을 모두 합하면 인기상품(몸통)만큼 커지는 현상을 일컫는 말로, 전체의 20%가 나머지 80%를 이끈다는 '파레토 법칙'에 반대된다는 개념에서 '逆파레토 법칙'이라고도 불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