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강북구가 올해도 ‘강북 IT 희망나눔사업’을 추진한다고 31일 밝혔다.
‘강북 IT 희망나눔사업’은 행정업무용으로 사용하다가 회수된 정보사무기기 중 재활용이 가능한 컴퓨터를 정비해 정보소외계층에게 보급하는 사업이다.
보급 대상은 강북구 기초생활수급자, 차상위계층, 장애인, 한부모가정, 다문화가정, 국가유공자 및 사회복지시설 등 정보사무기기 보유
2차 대금 지급 완료SSD·다롄 팹 인수
SK하이닉스가 인텔 낸드 사업부에 대한 2차 대금을 납입하며 인수계약이 최종 마무리됐다.
28일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에 따르면 SK하이닉스는 인텔 낸드 사업부 인수와 관련해 “2차 대금 납입과 영업양수가 최종 완료됨에 따라 거래가 종료됐다”고 밝혔다.
이번 영업양수는 SK하이닉스가 인텔 낸드 사업부문 전체를 인
제77기 정기 주주총회창사 이래 최대 실적D램·HBM 효자 제품으로딥시크·CXMT 우려에도“고성능·고용량 트렌드 계속된다”
곽노정 SK하이닉스 대표이사 사장이 27일 “시가총액은 계속 우상향해 지난해 연중 170조 원을 돌파하는 역사를 기록하며 국민주로서 시장 인정을 받았다”고 밝혔다.
실제로 SK하이닉스는 인공지능(AI)용 메모리 제품의 경쟁력을
제77기 정기 주주총회창사 이래 최대 실적D램·HBM 효자 제품으로
곽노정 SK하이닉스 대표이사 사장이 27일 “시가총액은 계속 우상향해 지난해 연중 170조 원을 돌파하는 역사를 기록하며 국민주로서 시장 인정을 받았다”고 밝혔다.
곽 사장은 이날 오전 경기도 이천시 SK하이닉스에서 열린 제77기 정기 주주총회에서 “지난해 회사는 뛰어난 인공지능(A
고대역폭메모리(HBM) 등 인공지능(AI) 반도체 시장 초기 대응 늦었다. 기술 리더십 부족에 따른 주가 부진 문제를 보이지 않기 위해 내부 역량을 지속 강화하겠다.(전영현 삼성전자 디바이스솔루션(DS)부문장 부회장)
삼성전자가 초기 HBM 시장 대응 지연에 관해 주주들 앞에서 공식으로 사과했다. 삼성전자는 실수를 되풀이하지 않기 위해 차세대 제품을 적
전영현 삼성전자 디바이스솔루션(DS)부문장 부회장이 인공지능(AI) 반도체인 고대역폭메모리(HBM) 시장 초기 대응에 늦은 점을 공식으로 사과했다. 삼성전자는 HBM3E(5세대), HBM4(6세대), 커스텀 HBM 등 차세대 시장에서는 실수를 되풀이하지 않고, 적기에 대응하겠다는 목표다.
전 부회장은 19일 수원컨벤션센터에서 열린 제56기 삼성전자 정
파두가 중국과 대만에서 열리는 기술전시회에서 차세대 솔루션 ‘플렉스 SSD’를 선보이며 아시아시장 공략에 박차를 가한다고 13일 밝혔다.
플렉스 SSD는 고객의 필요에 맞게 양산 규모, 브랜드, 펌웨어 및 하드웨어를 자유롭게 선택할 수 있는 것이 특징이다.
이외에도 차세대 SSD 컨트롤러 ‘Gen6’도 소개했다.
엠디바이스가 고대역폭메모리(HBM) 적층 방법을 개선해 용량과 데이터 처리 속도를 획기적으로 개선할 수 있는 하이브리드 본딩 기술을 개발했다는 소식에 상승세다.
특허 출원과 제조라인 설치를 완료한 엠디바이스는 SK하이닉스와 삼성전자에 HBM 제조를 위한 업체 등록을 진행하고 있다.
10일 오후 2시 2분 현재 엠디바이스는 전일 대비 1210원(10.
반도체 스토리지 전문 기업 엠디바이스가 코스닥 시장 상장 첫날 강세다.
7일 오전 9시 49분 기준 엠디바이스는 공모가(8350원) 대비 80.00%(6680원) 오른 1만5030원에 거래 중이다. 개장 직후 100% 넘게 오른 주가는 1만8500원을 넘기며 공모가 2배(따블)를 기록하기도 했다.
엠디바이스는 대표적인 컴퓨터의 데이터 저장 장치 '솔
△LG, 자사주 6만249주 소각해 주주가치 제고
△클리오, 작년 영업익 246억300만 원…전년 대비 27% 감소
△포스코인터내셔널, 3월 24일 주주총회 소집
△포스코인터내셔널, 업무상 배임죄 또는 업무상 횡령죄 발생
△파두, 해외 낸드플래시 메모리 제조사와 기업용 SSD 컨트롤러 공급 계약 체결…30억 1961만 원
△한국선재, 작년 영업
메리츠증권은 티엘비에 대해 기술적 선점 효과가 올해 나타날 것으로 전망했다. 투자의견은 ‘매수’ 유지, 목표주가는 기존 2만3000원에서 2만5000원으로 상향 조정했다. 전 거래일 기준 종가는 2만1950원이다.
19일 양승수 메리츠증권 연구원은 “지난해 4분기 연결 실적은 매출액 498억 원, 영업이익 9억 원”이라며 “매출액은 당사 추정치를 소폭
글로벌 반도체 스토리지 전문 기업새로운 표준 SSD의 주요 플레이어공모가 7200~8500원내달 7일 코스닥 상장 예정
엠디바이스는 글로벌 시장 진출을 시작했다. 기술 혁신으로 지속적인 성장이 가능한 저장 장치 전문 기업으로 성장하겠다.
코스닥 상장을 추진 중인 조호경 엠비다이스 대표(CEO)는 18일 서울 여의도에서 기업공개(IPO) 간담회를 열고
파두가 삼성전자 출신 김태균 부사장을 최고사업개발책임자(CBO)로 영입했다고 13일 밝혔다.
김 부사장은 30년 이상 반도체 업계 경력을 보유했다. 삼성전자 DS부문 전략기획, 사업분석 리더 등을 역임했다. 고객맞춤형 솔리드스테이트드라이브(SSD) 사업에 박차를 가할 계획이다.
파두는 해외영업 부문 임직원들에게 성과에 따른 파격적 보상제도 도입했다.
작년보다 일렀던 설 연휴로 인해 우리나라의 1월 수출이 소폭 감소했다. 주력 상품인 반도체 수출은 9개월 연속 100억 달러를 넘어서는 견조한 실적을 이어갔다.
산업통상자원부는 1일 이 같은 내용의 1월 수출입 동향을 발표했다.
1월 수출액은 491억2000만 달러로 작년 동기 대비 10.3% 감소했다.
대한민국의 수출은 2023년 10월 전년 동월
작년보다 이른 설 연휴로 조업일수가 줄어드는 등의 영향으로 한국의 1월 수출이 소폭 감소하며 15개월간 이어졌던 ‘수출 플러스’ 행진이 멈췄다. 주력 상품인 반도체 수출은 9개월 연속 100억 달러를 넘어 견조한 실적을 이어갔으나, 조업일수 감소의 영향을 크게 받은 자동차 수출은 약 20% 가까이 감소했다.
산업통상자원부는 1일 이 같은 내용의 1월 수
SK하이닉스가 사상 최대 실적에도 약세를 보이고 있다.
23일 오전 9시 42분 기준 SK하이닉스는 전일보다 3.77%(8500원) 내린 21만7000원에 거래 중이다. 같은 시각 삼성전자도 1.29% 내린 5만3600원에 거래 중이다. 삼성전자의 지난해 4분기 실적은 어닝쇼크를 기록했다.
SK하이닉스는 지난해 연간 매출액이 66조1930억 원으로
HBM, eSSD 등 AI 메모리 판매 확대매출, 영업이익 모두 분기 및 연간 역대 최고 실적 달성
SK하이닉스가 고대역폭 메모리(HBM) 시장 우위에 힘입어 지난해 창사 이래 최대 매출과 영업이익 기록을 세웠다.
SK하이닉스는 23일 지난해 매출액 66조1930억 원, 영업이익 23조4673억 원(영업이익률 35%), 순이익 19조7969억 원(순이익
HBM, eSSD 등 AI 메모리 판매 확대매출, 영업이익 모두 분기 및 연간 역대 최고 실적 달성
SK하이닉스가 고대역폭메모리(HBM)에 힘입어 지난해 사상 최대 실적을 올렸다.
SK하이닉스는 지난해 매출액 66조1930억 원, 영업이익 23조4673억 원(영업이익률 35%)을 기록했다고 23일 밝혔다. 역대 최대 성과다.
매출은 기존 최고였던 2
반도체 스토리지 전문 기업 엠디바이스가 금융위원회에 증권신고서를 제출하고 코스닥 상장을 위한 공모 절차에 나선다고 21일 밝혔다.
엠디바이스는 솔리드스테이트드라이브(SSD)를 설계하고 제작하는 기업이다. 2017년 세계에서 네 번째로 BGA SSD(PCB 기판 없이 하나의 패키지에 컨트롤러, 낸드플래시, D램을 탑재한 초소형 SSD) 독자 개발에 성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