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g.etoday.co.kr/pto_db/2015/07/20150707104207_670293_400_284.jpg)
국회는 6일 오후 본회의를 열어 박근혜 대통령이 거부권을 행사한 국회법 개정안을 재의에 붙였지만 의결정족수 미달로 투표가 성립되지 않았다. 개정안은 정부의 시행령 등에 대한 국회의 수정 권한을 강화한 내용으로, 박 대통령은 ‘위헌’ 소지가 크다며 반대해왔다.
이번 일로 애초 개정안 협상을 주도했던 새누리당 유승민 원내대표는 친박계로부터 책임을 져야 한다는 압력을 받으며 정치적 위기에 놓였다.
반면 개정안을 거부한 박 대통령은 오히려 지지율 상승세를 이어가며 국정 동력을 회복하는 모양새다.
개정안이 만들어졌을 땐 ‘정당하다’는 여론이 확실히 우세했다. 그러나 박 대통령이 여러 차례에 걸쳐 개정안의 부당성을 설명한 것이 일부 국민을 설득하는 데 성공했고, 보수층도 다시 결집하면서 거부권을 행사한 이후부터 지지율이 크게 반등했다.
리얼미터가 6일 발표한 7월 1주차 여론조사에 따르면 박 대통령의 지지율은 전주 대비 3.7%포인트 상승한 37.3%를 기록했다. ‘국정수행을 잘못하고 있다’는 부정평가는 같은 기간보다 3.2%포인트 떨어진 57.1%였다.
박 대통령은 지난달 25일 국무회의에서 거부권을 행사한 직후 지지율이 7.5%포인트 오른 데 이어 주간 지지율도 상승세를 이어가고 있다. 부산·경남·울산(5.5%p↑), 서울(5.3%p↑), 30대(6.6%p↑), 60대 이상(4.8%p↑), 보수층(7.4%p↑) 등에서 지난주보다 상승했다.
리얼미터 측은 “국회법 거부권 행사 이후 보수층의 결집과 메르스 진정세 등의 요인으로 박근혜 대통령, 새누리당, 김무성 대표의 지지율이 상승한 것으로 보인다”고 분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