文 26.1%ㆍ潘 22.2% … 潘, 대권 행보에 격차 줄여

입력 2017-01-16 10:36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반기문, 오후 문재인 정치적 고향 부산 공략

반기문 전 유엔 사무총장이 귀국 이후 대권행보를 본격화하면서 문재인 더불어민주당 전 대표와의 차기 대선후보 지지율 격차가 좁혀졌다.

리얼미터가 9~13일 전국 성인 2526명을 대상으로 실시해 16일 발표한 1월 2주 차 주간 여론조사 집계에 따르면 차기 대선 다자구도에서 문 전 대표의 지지율은 26.1%, 반 전 총장은 22.2%로 나타났다. 문 전 대표는 지난주 대비 0.7%포인트 떨어진 반면, 반 전 총장은 0.7%포인트 올랐다.

반 전 총장이 12일 귀국 직후 대국민 메시지를 발표하고, 민생행보에 나선 것이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리얼미터 측은 “‘정치교체’를 주장하며 귀국한 반 전 사무총장은 언론 보도량 급증으로 반등하며 문 전 대표와의 격차를 소폭 줄였다”고 밝혔다.

특히 반 전 총장은 문 전 대표의 정치적 고향인 부산 민심을 공략할 계획이어서 주목된다. 이날 오전에 경남 거제에 있는 대우조선해양 현장을 방문해 협력사 협의회 대표단 간담회를 연 반 전 총장은 오후 부산으로 이동해 유엔 기념공원 방문 및 대학생과 타운홀 미팅, 깡통시장, 국제시장, 자갈치시장 등 구석구석을 누빈다.

재벌개혁을 매개로 연일 문 전 대표와 대립각을 세우고 있는 이재명 성남시장은 소폭 하락해 11.7%를 기록했다. 이어 안철수 국민의당 전 대표 7.0%, 안희정 충남지사 4.9%, 박원순 서울시장 4.4%, 손학규 전 민주당 고문 2.3%, 유승민 바른정당 의원 2.2%, 홍준표 경남지사 1.3%, 남경필 경기지사 1.2%를 기록했다.

그러나 각 정당별로 1명씩 대선주자가 나오는 상황에서 반 전 총장이 무소속으로 출마할 경우 경쟁력은 확연히 떨어졌다. 6자 가상대결에서 민주당 소속 문 전 대표는 34.4%를 얻은 데 반해 무소속 반 전 총장은 20%가 붕괴되면서 18.3%로 폭락했다. 국민의당 소속인 안 전 대표는 11.2%, 새누리당 소속 황교한 대통령권한대행은 9.5%, 바른정당 소속의 유 의원은 5.2%로 집계됐다.

이번 조사의 표본오차는 95% 신뢰 수준에서 ±1.9%포인트다. 더 자세한 내용은 중앙선거여론조사공정심의위원회 인터넷 홈페이지를 참고하면 된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플레이브가 방송 못 나온다고?"…때아닌 버추얼 아이돌 논란, 왜? [이슈크래커]
  • '김새론 사망'에 악플러들 비판…"악플 문제, 제도장치 마련해야"[이슈크래커]
  • 금 뜨자 주목받는 은…"아직 저렴한 가격"
  • 단독 ‘백약이 무효’ 작년 상반기 보험사기액 6028억…올해 최대치 경신 전망
  • 상승 재료 소진한 비트코인…9만6000달러 선에서 횡보 [Bit코인]
  • [날씨] 다시 찾아온 '추위'…아침 최저 -8도
  • 트럼프 “러·우 둘다 싸움 멈추길 원해…푸틴과 매우 곧 만날 것”
  • 월세 내기 빠듯한 청년들 위한 ‘청년월세 한시 특별지원’ 제도, 신청 자격은? [경제한줌]
  • 오늘의 상승종목

  • 02.17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45,539,000
    • -0.45%
    • 이더리움
    • 4,237,000
    • +4.33%
    • 비트코인 캐시
    • 501,500
    • +0.2%
    • 리플
    • 4,075
    • -0.8%
    • 솔라나
    • 276,600
    • -3.59%
    • 에이다
    • 1,240
    • +6.62%
    • 이오스
    • 976
    • +1.99%
    • 트론
    • 368
    • +1.1%
    • 스텔라루멘
    • 518
    • +0%
    • 비트코인에스브이
    • 60,400
    • +1.34%
    • 체인링크
    • 29,500
    • +3.33%
    • 샌드박스
    • 613
    • +2.85%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