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응천 “박근혜정부 문건 300여 건, 국정농단 증거…우병우 생산”

입력 2017-07-14 17:17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청와대 압수수색 기를 쓰고 막은 이유”

(뉴시스)
(뉴시스)
더불어민주당 조응천 의원은 14일 청와대가 민정비서실 공간을 재배치하던 과정에서 박근혜정부 당시 민정수석실에서 생산한 문건 등 300여 건을 발견한 것과 관련해 “박근혜 정부 청와대 민정비서관실에서 생산한 문건 300여 건은 모두 우병우가 민정비서관으로 직접 생산했거나, 우병우 민정수석 산하 비서관실에서 생산한 것으로 보인다”고 밝혔다.

조 의원은 이날 자신의 페이스북을 통해 “제목만으로 단정할 수는 없으나 최순실 국정농단과 직·간접으로 관련있는 중요한 증거물로 보인다. 우병우는 2014년 5월부터 2015년 1월까지 민정비서관으로, 2015년 2월부터 2016년 10월까지는 민정수석비서관으로 근무했다”며 이같이 말했다. 조 의원은 문건들의 생산 시기와 우 전 수석이 청와대 민정비서관과 민정수석비서관으로 각각 근무한 시기가 일치한다고 강조했다. 해당 문건들이 우 전 수석과 관련이 있다는 추측이다.

그는 “캐비넷 하나에서 저렇게 중요한 증거가 수백 건 쏟아진 걸 보면 당시 황교안 직무대행이 청와대 압수수색을 왜 그렇게 기를 쓰고 막아냈는지, 문서파쇄기를 수십 대 사들여 밤낮으로 문서를 갈아 없애버리고 청와대 메인서버를 디가우징(강한 자기장으로 하드디스크의 모든 데이터를 삭제하는 기술) 해버렸는지, 또 수십 만 건의 문건을 대통령지정기록물로 지정하여 수십 년 동안 열람을 금지했는지, 박영수 특검의 수사기간 연장을 거부해버렸는지 이해가 되고도 남지 않는가”라고 반문했다.

그러면서 “앞으로 ‘관세청의 면세점 인허가비리사건’ 등 국정농단과 관련있는 사건을 수사함에 있어 서울고등법원장의 영장을 발부받아 대통령지정기록물로 지정된 문건들을 반드시 열람하여야 할 이유가 실증적으로 드러난 훌륭한 사례라고 생각한다”고 덧붙였다.

해당 문건의 주요 내용은 △삼성 경영권 승계 국면을 기회로 활용 △경제민주화 관련 법안 대응 △금산분리원칙 규제 완화 지원 △문화예술계 건전화로 문화융성 기반 정비 △문화체육부 주요 간부 검토, 국실장 전원 검증 △문화부 4대기금 집행부서 인사 분석 △故 김영한 민정수석의 자필 메모 △전교조 국사교과서 조직적 추진 △교육부 외에 애국단체 우익단체 연합적으로 전사들을 조직, 반대선언 공표 등으로 알려졌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플레이브가 방송 못 나온다고?"…때아닌 버추얼 아이돌 논란, 왜? [이슈크래커]
  • '김새론 사망'에 악플러들 비판…"악플 문제, 제도장치 마련해야"[이슈크래커]
  • 금 뜨자 주목받는 은…"아직 저렴한 가격"
  • 단독 ‘백약이 무효’ 작년 상반기 보험사기액 6028억…올해 최대치 경신 전망
  • 상승 재료 소진한 비트코인…9만6000달러 선에서 횡보 [Bit코인]
  • [날씨] 다시 찾아온 '추위'…아침 최저 -8도
  • 트럼프 “러·우 둘다 싸움 멈추길 원해…푸틴과 매우 곧 만날 것”
  • 월세 내기 빠듯한 청년들 위한 ‘청년월세 한시 특별지원’ 제도, 신청 자격은? [경제한줌]
  • 오늘의 상승종목

  • 02.17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45,020,000
    • -1.08%
    • 이더리움
    • 4,098,000
    • +0.79%
    • 비트코인 캐시
    • 495,400
    • -1.12%
    • 리플
    • 4,049
    • -2.5%
    • 솔라나
    • 278,200
    • -4.33%
    • 에이다
    • 1,202
    • +2.91%
    • 이오스
    • 956
    • -0.62%
    • 트론
    • 371
    • +3.06%
    • 스텔라루멘
    • 513
    • -1.35%
    • 비트코인에스브이
    • 60,300
    • +0.42%
    • 체인링크
    • 28,890
    • +1.19%
    • 샌드박스
    • 597
    • +0%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