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제공=CJ제일제당)](https://img.etoday.co.kr/pto_db/2017/08/20170804042509_1108259_550_366.jpg)
CJ제일제당은 4일 2분기 연결기준 영업이익이 1644억 원으로 전분기대비 14.59%, 전년동기대비 21.94%씩 떨어졌다고 공시했다. 같은 기간 매출액은 3조9089억 원으로 전분기대비 1.10%, 전년동기대비 8.29%씩 늘었으나 순이익은 431억 원으로 각각 52.60%, 40.01%씩 감소했다.
사업부문별로 식품사업은 주력 가공식품 판매 호조와 신제품군의 글로벌 확대로 매출액이 지난해보다 13.2% 늘어난 7133억 원을 벌었다. 하지만 원당과 대두 가격 상승 및 전략성 경비 증가 영향으로 영업이익은 35.8% 떨어진 542억 원을 기록했다. 이에 영업이익률은 4.6%로 지난해보다 3%포인트 낮아졌다. 회사 관계자는 “최근 원당가격이 하향 안정세를 보이고 있어 하반기부터는 식품사업의 수익성이 개선될 것으로 예상된다”라고 설명했다.
바이오부문 매출은 주요 제품인 L-메치오닌 판가 하락에도 대부분의 아미노산 판매량이 늘며 전년비 2.9% 증가한 4692억 원을 기록했다. CJ제일제당의 L-메치오닌과 핵산 판매량은 모두 지난해보다 20% 이상의 성장률을 기록했다. 바이오부문 영업이익은 지난해보다 10.4% 늘어난 329억 원을 달성했다. 고수익 제품인 핵산 및 발린의 판매량이 지난해와 비교하면 증가했고, 트립토판의 글로벌 판가가 상승해 수익성이 개선됐다.
전체 매출의 약 70% 이상이 해외에서 발생하는 생물자원부문의 매출액은 5446억 원으로 전년비 4.4% 증가했다. 전체 사료 판가가 약 7%가량 하락했지만 인도네시아와 베트남 등 주요 진출국가의 사료 판매량이 전년 대비 두 자리 수 이상 늘며 성장성을 유지했다. 회사는 하반기에 베트남 축산 시장이 회복세에 접어들고 인도네시아 지역 사료 판가가 인상될 여지가 있어 수익성이 회복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관련 뉴스
회사 관계자는 “미국과 중국 시장에서의 본격 성장과 베트남 등 동남아 신규 시장 공략을 통해 해외 식품 매출 증가에 박차를 가할 계획”이라며 “바이오 사업의 제품 포트폴리오 확대를 지속해 수익성을 높이고, 생물자원의 해외 사업 경쟁력도 강화한다”고 밝혔다. 특히 전 사업부문의 R&D 역량이 집중된 통합연구시설을 기반으로 R&D 경쟁력을 더욱 강화해 글로벌 시장에서 통하는 혁신 기술, 혁신 제품 개발을 지속할 계획이라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