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기관 대출행태에 고삐가 풀린 것은 아닌지 우려되고 있다. 미국 연준(Fed)의 금리인상 속도 가속화와 함께 시장금리 상승 우려로 대출자들의 부담이 커지면서 신용위험이 크게 증가한 반면, 금융기관의 대출태도는 되레 완화하고 있어서다.
![(한국은행)](https://img.etoday.co.kr/pto_db/2018/07/20180705113111_1227770_433_360.jpg)
반면 신용위험은 2분기중 27을 보였다. 이는 2016년 3분기(27) 이후 가장 높은 수준이다. 3분기엔 30까지 치솟을 것으로 전망했다.
대출행태서베이를 바탕으로 하는 이 지수는 100과 -100사이 값을 가지며 양(+)이면 완화 내지 증가라고 응답한 기관수가 강화 내지 감소라고 답한 기관수보다 많음을 의미하는 것이다. 음(-)이면 그 반대 의미를 갖는다.
특히 중소기업과 가계주택 대출에 대한 대출태도 완화가 컸다. 중기부문의 경우 2분기 실적은 7로 당초 전망치 -10에서 크게 완화됐다. 3분기 전망치도 13이었다. 가계주택부문의 경우도 2분기 실적은 -20이었다. 당초 전망치 -30과 비교하면 크게 완화한 수준이다. 3분기 전망치는 -3까지 회복됐다.
관련 뉴스
가계 일반대출부문도 2분기 실적은 -3, 3분기 전망은 7로 완화되고 있었다. 2분기 실적치 기준 역시 2015년 3분기(-3) 이후 가장 완화된 것이다.
![(한국은행)](https://img.etoday.co.kr/pto_db/2018/07/20180705113134_1227771_600_247.jpg)
김주현 한은 은행분석팀장은 “대출태도는 대기업에 대해서는 거의 변화가 없었지만 중기와 가계대출의 완화폭이 컸다”며 “중기는 정부의 생산적 금융정책 즉, 예대율 규제와 관련해 중기 신용대출 관련 인센티브를 제공키로 한 영향이 크다. 가계주택대출은 정부가 그동안 강화대책을 쏟아내면서 더 이상 강화할 대책이 없을 것이라는 인식과 함께 강화된 대출태도를 유지하는 선에서 답한 것”이라고 전했다.
그는 또 “대출금리 상승에 따라 차주들이 겪게 될 채무상환 부담이 커질 수 있다는 인식에 신용위험은 높아졌다”며 “은행들이 꼼꼼히 따져 대출에 나설 것으로 보인다. 당국도 모니터링을 강화하고 대출금리 상승에 각별히 관심을 갖고 있다는 점에서 위험에 빠지거나 시스템리스크 등으로 확산할 가능성은 없다고 본다”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