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1월 23일, 한국 국회의원회관과 서울드래곤시티 호텔에서는 중국 수출에 있어 영향력을 가진 중국검험검역과학연구원 종합검측센터의 한국 대표처가 중국위생허가(CFDA) 인증 획득을 위한 성공 전략을 발표하는 ‘대중국 수출전략 포럼 2018’이 열렸다.
이번 포럼에서는 이미 중국에 진출한 한국 기업들도 수출 업무에 있어 가장 큰 어려움을 느끼는 중국위생허가 획득 성공을 위한 전략에 관한 내용이 주를 이루었다.
특히 2019년을 맞아 변화된 중국 내 위생허가 관할 기관의 조직개편과 정책 변화를 다루어 중국 진출 예정인 한국 기업들의 관심이 집중되었다.
중국위생허가 획득에 있어 영향력을 가진 검사기관 CAIQTEST가 발표한 내용은 대중국 수출에 필요한 인증과 통관, 정책, 유통과 관련된 법령과 전략 등이다. 특히 CFDA->NMPA 명칭 변경과 일반화장품의 사후관리제로의 변경 등을 강조했다.
이번 변화로 기존 CFDA가 담당해 온 화장품, 의약품, 의료기기 등에 대한 수출 위생허가증 발급은 NMPA(국가약품관리국)이, 건강식품의 위생허가증 발급은 특수식품검사청이 담당하도록 변경된다. 또 CFDA는 국가질검감독관리총국(AQSIQ)과 국가공상총충국(SAIC), 3개 기관이 합병되어 국가시장감독관리총국(SAMA)으로 새롭게 설립된다.
기존 사전허가제로 이루어졌던 일반 화장품의 수출은 사후관리제로 변경되어 기존보다 30% 이상 빠른 속도로 수출이 이루어질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CAIQTEST 국제부본부장인 위에펀펑은 “한국의 우수한 제품을 중국 시장에 소개하기 위해 다양한 서비스를 준비하고 있다. 보다 원활한 수출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중국 기관과의 소통에 특히 더 주의를 기울여 주길 바란다”고 전했다.
발표 자료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CAIQTEST 한국 공식 홈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