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번 연구는 2015년부터 2017년까지 프랑스 530개 병원에서 총 5050명의 크론병 환자를 대상으로 했다. 오리지널의약품 투약군이 2551명, 램시마 투약균이 2499명이다. 대다수의 환자들(71.4%)은 이전에 어떤 바이오 의약품에도 노출된 경험이 없었다. 환자 코호트는 대체로 균형있게 선정됐지만 램시마 적용군의 환자들이 조금 더 질병 정도가 심한 편이었다.
1차 평가 변수(primary outcome)는 사망, 크론병 관련 수술, 모든 원인에 의한 입원, 그리고 타 바이오의약품에 대한 상환금(reimbursement)을 포함했다.
동등성은 CT-P13 투여 그룹과 오리지널의약품 투여 그룹에서 양측 95% 신뢰구간의 상관관계(CI), 다변량 Cox 모델 위험비 분석 (multivariable marginal Cox model)기법으로 분석했다.
복합 평가변수(composite endpoint)는 오리지널의약품군(1147명)과 CT-P13군(952명)으로 각 군 당 838명, 719명이 입원했다. 일차종결점의 다변수 분석에 따르면 램시마는 오리지널의약품과 동등한 결과를 보였다.(HR 0.92) 안전성과 관련한 결과에서도 심각한 감염, 결핵, 고형암 또는 혈액암이 발생할 위험 역시 두 제품간의 차이는 관찰되지 않았다.
6, 12, 18개월 간 일차종결점의 누적발생률을 비교했을 때 레미케이드는 29.6%, 43.1%, 51.5%로 나타났으며, 램시마는 28.6%, 41.6%, 50.1%의 수치를 기록했다.
주목할 만한 점은 레미케이드는 사립병원에서 더 많이 처방됐다(33.9% vs 30.9%). 반면 램시마는 대학병원 처방률이 높았다(21.6% vs 43.6%).
연구진은 "램시마와 오리지널 의약품을 투여 받은 환자 두 그룹 간의 유사한 효능과 안전성을 보인다"고 설명했다. 이는 램시마가 크론병과 류머티스관절염, 강직성 척추염과 같은 염증질환에 치료제로 사용되는 레미케이드를 대체할 수 있다는 것이다. 연구진은 "비용절감을 가능하게 하는 바이오시밀러의 사용 증가는 차후 경제적 이익을 기대하게 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