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은행들의 자산건전성이 소폭 개선된 것으로 나타났다.
22일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올해 6월말 기준 국내은행의 BIS자기자본비율(바젤Ⅱ기준)이 11.36%로 3월말(11.20%)에 비해 0.16%p 상승했다고 밝혔다.
이는 올 2분기 은행들이 3조4000억원의 당기순이익을 달성, 자기자본이 전분기말 대비 1.0%(1조3000억원) 증가한 반면, 위험가중자산은 전분기말 대비 0.5%(5조5000억원) 감소했기 때문이다.
자기자본의 구조 측면에서도 증자 등을 통한 자본확충으로 기본자본이 3.5%(3조4000억원) 증가한 반면, 부채성격의 보완자본은 6%(2조1000억원)나 큰 폭으로 감소했다.
은행별로 보면 신한은행(11.53→12.49)이 가장 큰 폭으로 개선됐고, 우리은행(10.05→10.39)과 국민은행(12.32→12.45), 기업은행(10.48→10.49) 등이 상승했다.
반면 하나은행(10.39→10.08)과 농협(10.32→10.15), 수협(11.91→11.43), 외환은행(10.09→10.04)이 하락했으며, 부산은행(11.03→10.76), , 대구은행(10.00→10.74), 전북은행(12.67→12.49) 대부분 지방은행들도 BIS비율이 하락했다.
금감원은 "BIS비율이 하락한 은행들은 대부분 자산 성장에 따른 위험가중자산의 증가세에 비해 자기자본 증가세가 낮았기 때문"이라며 "외형 확대에 비해 당기순이익이 저조하거나 기 발행 후순위채권의 자본인정분 감소 등이 주요 원인으로 나타났다"고 분석했다.
하지만 국내은행의 전체 BIS비율은 미국(12.36%), 영국(12.45%) 등 주요 선진국 은행보다는 다소 낮은 수준이나 자본적정성 1등급 기준(10%)을 상회하고 있어 양호한 수준이라고 평가했다.
다만 금감원은 "향후 경제여건 악화 등에 대비해 금융시장 및 은행의 자본적정성 동향을 면밀히 모니터링하는 한편, 은행의 안정적인 자본적정성 유지를 위해 외형확대 보다는 리스크 관리 중심의 내실경영에 주력토록 지도해 나갈 예정"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