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G디스플레이, 작년 온실가스 100만 톤 감축…지속가능경영보고서 발간

입력 2021-07-22 09:00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2012년부터 발간 시작해 10번째 보고서…다양한 지속가능경영 활동 및 성과 공개

(사진제공=LG디스플레이)
(사진제공=LG디스플레이)

LG디스플레이가 회사의 지속가능경영 활동 및 성과와 ESG(환경ㆍ사회ㆍ지배구조) 관련 정보를 담은 ‘2020-2021 지속가능경영 보고서’를 발간했다.

LG디스플레이는 회사의 경제ㆍ환경ㆍ사회적 성과를 투자자와 고객을 비롯한 국내ㆍ외 이해관계자들에게 알리고, 회사의 지속가능경영 이슈에 대한 의견을 청취하고자 2012년부터 매년 지속가능경영보고서를 발간해 오고 있다.

올해로 10번째 발간된 보고서에서는 △지속가능경영 체계 △제품가치 혁신 △환경영향 최소화 △안전한 일터 △임직원 성장 및 행복 △지속가능한 공급망 등을 포함해 총 11가지 핵심 이슈를 중심으로 다양한 활동과 성과들을 담았다.

특히 글로벌 화두인 ESG 경영을 강조하고 성과 및 콘텐츠를 보다 쉽게 활용할 수 있도록 ‘ESG 팩트북(ESG Factbook)’ 섹션을 별도로 구성했다.

또한 TCFD(기후변화 재무정보공개 태스크포스), SASB(미국 지속가능성 회계기준위원회) 등 글로벌 ESG 정보공개 가이드라인을 적극적으로 반영해 비재무정보 공시의 투명성과 진정성을 더했다.

LG디스플레이는 환경 분야에서 2019년 대비 온실가스는 100만 톤을 감축하고, 취수량 대비 재이용수 사용률 197%, 폐유리 재활용률 100%를 달성했다.

사회 분야에선 최고안전환경책임자(CSEO) 신설, 4대 안전 관리 혁신대책 실행 등을 통한 세계 최고 수준의 안전하고 건강한 사업장 구현, 다양한 복지와 인재육성을 통한 임직원의 성장 및 행복 추구 등 다양한 활동을 추진했다.

지배구조 분야는 기업 경영의 투명성 및 공정성 제고에 주력하고 있다. 이를 위해 ESG 위원회와 내부거래위원회를 신설하고, UNGC(유엔글로벌콤팩트), RBA(책임감 있는 산업연합) 등 글로벌 이니셔티브 가입 등의 활동을 펼쳤다.

LG디스플레이 정호영 사장은 “사업적 성과뿐 아니라 환경, 사회적 책임, 지배구조 등 ESG 전 영역에 걸쳐 이해관계자의 기대에 부합하고 사회에 대한 기여를 높여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국내보다 낫다"…해외주식에 눈 돌리는 대학생 개미들 [데이터클립]
  • "웃기려다가 나락"…'피식대학'→'노빠꾸 탁재훈'이 보여준 웹예능의 퇴보 [이슈크래커]
  • K-푸드, 수출 주역으로 '우뚝'…10대 전략산업 넘본다 [K-푸드+ 10대 수출 전략산업②]
  • "서울 집값·전세 계속 오른다"…지방은 기대 난망 [하반기 부동산시장 전망①]
  • 테더 공급량 감소에 '유동성 축소' 위기…FTX, 채권 상환 초읽기 外 [글로벌 코인마켓]
  • 피겨 이해인 "미성년 성추행 사실 아냐…부모님 반대로 헤어진 후 다시 만나"
  • 단독 “1나노 공정 준비 착착”…삼성전자, ‘시놉시스’와 1나노 IP 협업 진행 중
  • 셔틀버스 ‘만원’, 접수창구 순조로워…‘무기한 휴진’ 세브란스병원 [가보니]
  • 오늘의 상승종목

  • 06.27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85,562,000
    • -1.51%
    • 이더리움
    • 4,751,000
    • -0.61%
    • 비트코인 캐시
    • 523,000
    • -1.97%
    • 리플
    • 656
    • -1.8%
    • 솔라나
    • 191,100
    • -1.39%
    • 에이다
    • 533
    • -2.91%
    • 이오스
    • 800
    • -1.6%
    • 트론
    • 174
    • +0.58%
    • 스텔라루멘
    • 126
    • -1.56%
    • 비트코인에스브이
    • 61,450
    • -3.53%
    • 체인링크
    • 19,180
    • -4.39%
    • 샌드박스
    • 463
    • -2.11%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