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한정 의원 “보이스피싱 신고 창구 일원화…피해자 신속 구제해야”

입력 2021-10-01 09:21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김한정 더불어민주당 의원
▲김한정 더불어민주당 의원

국회 정무위원회 소속 김한정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1일 기관별로 흩어져있는 보이스피싱 신고 창구를 일원화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피해자 구제가 신속하게 이뤄져야 한다는 이유에서다.

현재 보이스피싱 및 스미싱 신고처는 경찰청 사이버수사대, 금감원의 개인정보노출자 사고예방시스템, 한국인터넷진흥원(KISA)의 인터넷 침해사고 대응지원센터, 한국정보통신진흥협회(KAIT)의 m-safer(명의도용 방지서비스)와 각 금융기관 고객센터다.

피해자는 경찰 및 금감원, 금융사 고객센터 신고 이후에도 스미싱 신고는 KISA가 운영하는 콜센터에 신고해야 한다. 또한 소액결제와 비대면 계좌개설에 활용되는 인터넷 및 알뜰폰 신규 가입 등을 막기 위해서는 KAIT가 운영하는 명의도용방지 서비스를 이용해야 한다.

김 의원은 “오픈뱅킹이 활성화되면서 금융사기 대응에 있어 신속성이 가장 중요해졌으나, 현재의 피해자 대응 방식은 과거에 머물러 있어 피해를 키우고 있다”고 말했다.

김 의원에 따르면 경찰이나 금융감독원에 보이스피싱 신고를 해도 각 금융사 고객센터에 직접 전화해 조치하지 않으면 피해를 막을 수 없다. 오픈뱅킹 서비스로 금융사기범은 각기 다른 금융사의 계좌들을 넘나들며 빠르게 피해자의 예금을 인출해 나가는데, 피해자는 각각의 금융사에 일일이 전화해 신고해야 해 피해 규모가 커질 수밖에 없다.

실제로 2019년 12월 오픈뱅킹 서비스가 시작된 후 2020년 보이스피싱 피해 금액은 7000억 원을 넘겼다. 2018년(4040억 원)과 2019년(6398억 원)에 비해 증가한 규모다.

김 의원은 “보이스피싱으로 악명이 높았던 대만의 경우 2004년부터 정부차원의 통합 콜센터인 ‘165 사기 전화 신고센터’를 운영해 신고를 받은 즉시 계좌동결 조치 및 추적수사를 진행하고 있다”며 “관계기관이 모두 참여하는 통합 신고센터 설치해 금융사기 피해를 최소화 할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플레이브가 방송 못 나온다고?"…때아닌 버추얼 아이돌 논란, 왜? [이슈크래커]
  • '김새론 사망'에 악플러들 비판…"악플 문제, 제도장치 마련해야"[이슈크래커]
  • 금 뜨자 주목받는 은…"아직 저렴한 가격"
  • 단독 ‘백약이 무효’ 작년 상반기 보험사기액 6028억…올해 최대치 경신 전망
  • 상승 재료 소진한 비트코인…9만6000달러 선에서 횡보 [Bit코인]
  • [날씨] 다시 찾아온 '추위'…아침 최저 -8도
  • 트럼프 “러·우 둘다 싸움 멈추길 원해…푸틴과 매우 곧 만날 것”
  • 월세 내기 빠듯한 청년들 위한 ‘청년월세 한시 특별지원’ 제도, 신청 자격은? [경제한줌]
  • 오늘의 상승종목

  • 02.17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45,001,000
    • -0.83%
    • 이더리움
    • 4,174,000
    • +2.61%
    • 비트코인 캐시
    • 501,000
    • +0.5%
    • 리플
    • 4,031
    • -2.49%
    • 솔라나
    • 279,000
    • -3.39%
    • 에이다
    • 1,222
    • +4.8%
    • 이오스
    • 970
    • +0.83%
    • 트론
    • 370
    • +2.21%
    • 스텔라루멘
    • 514
    • -0.77%
    • 비트코인에스브이
    • 60,350
    • +1.17%
    • 체인링크
    • 29,330
    • +2.7%
    • 샌드박스
    • 611
    • +2.69%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