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주열 한은 총재 “코로나 변이 확산, 금융권 리스크 관리 당부”

입력 2022-01-04 09:59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범금융권 신년사 "금융부문의 디지털 경쟁력 확보도 주요 과제"

(한국은행)
(한국은행)
이주열 한국은행 총재가 올해도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변이 확산 등 대외 리스크 우려가 커지고 있다며 금융권에 철저한 리스크 관리를 당부했다.

이주열 총재는 4일 범금융권 신년사를 통해 "코로나 변이 확산은 경제회복의 가장 큰 위협 요인"이라며 "글로벌 인플레 압력 증대와 이에 따른 주요국 통화정책 정상화, 중국이 경제성장 둔화 가능성 등 대외 리스크 우려가 커지고 있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팬데믹 이후 부채누증, 자산 불평등과 같은 우리 경제의 구조적 취약성이 한층 심화됐으며, 친환경·디지털 경제로의 전환은 그 방향과 속도를 가늠하기조차 힘든 상황"이라고 했다.

그는 또 "경기회복과 함께 전반적인 차주의 채무상환능력은 개선되겠으나 금융완화조치의 정상화 과정에서 과도한 레버리지와 업황 부진에 직면하고 있는 일부 가계 및 자영업자를 중심으로 신용위험이 확대될 가능성이 있다"고 경고했다.

이어 "대외 불확실성이 매우 높은 상황에서 이러한 내부 취약 요인은 금융시스템의 약한 고리로 작용할 수 있다"고 우려했다.

이 총재는 "이를 극복하고 포스트 팬데믹 시대에 새롭게 전개되는 ‘넥스트 노멀’로 가기 위해서는 금융의 역할이 그 어느 때보다 중요하다"며 철저한 리스크 관리를 주문했다.

그는 "금융이 혁신 촉매로서 포스트 팬데믹 시대의 친환경ㆍ디지털 경제로의 전환을 이끌 첨단기술산업 분야의 투자 활력 제고에 앞장서야 할 것”이라고 언급했다.

아울러 "금융산업에서도 디지털기술과의 융합이 활발히 이뤄지고 있다"며 "금융부문의 디지털 경쟁력 확보는 미래금융의 필요조건인 동시에 안정적 금융시스템 구축과도 직결되는 중요한 과제라는 점을 유념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켄드릭 라마, 슈퍼볼 하프타임 공연의 역사를 쓰다 [이슈크래커]
  • 딥시크 금지되면 끝?…일상 훔쳐본다는 '차이나테크 포비아' 솔솔 [이슈크래커]
  • 한국인 10명 중 2명 "가까운 일본, 아무 때나 간다" [데이터클립]
  • 故 김새론, 오늘(19일) 발인…유족ㆍ친구 눈물 속 영면
  • “中 반도체 굴기, 한국 턱밑까지 쫓아왔다” [반도체 ‘린치핀’ 韓의 위기]
  • "LIV 골프는 게임체인저?"…MZ들을 위한 새로운 골프의 세계 [골프더보기]
  • 가족여행 계획하고 있다면…‘근로자 휴양콘도 지원사업’으로 저렴하게! [경제한줌]
  • 단독 대법원도 ‘테라‧루나’ 증권성 인정 안해…신현성 재산몰수 재항고 기각
  • 오늘의 상승종목

  • 02.19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43,701,000
    • +0.39%
    • 이더리움
    • 4,062,000
    • +1.65%
    • 비트코인 캐시
    • 478,800
    • +0.78%
    • 리플
    • 3,995
    • +4.91%
    • 솔라나
    • 249,000
    • -1.19%
    • 에이다
    • 1,133
    • +0.35%
    • 이오스
    • 937
    • +2.52%
    • 트론
    • 362
    • +1.97%
    • 스텔라루멘
    • 500
    • +3.31%
    • 비트코인에스브이
    • 56,250
    • -0.09%
    • 체인링크
    • 26,630
    • +0.04%
    • 샌드박스
    • 539
    • +0.75%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