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성 기술 활용해 어선이 응답기 끄더라도 추적 가능
“미국, 한국 등과 더불어 태평양 섬나라 지원 이니셔티브 착수”
![▲남중국해 휘트선암초 인근에 중국 어선들이 무리지어 있다. AP뉴시스](https://img.etoday.co.kr/pto_db/2022/05/20220522160607_1755215_1200_663.jpg)
쿼드 4개국인 미국과 일본, 호주, 인도는 오는 24일 도쿄에서 열리는 정상회의에서 불법조업을 억제하기 위한 해상 계획을 발표할 예정이라고 21일(현지시간) 영국 파이낸셜타임스(FT)가 보도했다.
중국은 현재 인도·태평양 해역에서 이뤄지는 불법조업의 95%를 차지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이날 총선에서 이겨 새롭게 호주 총리가 된 앤서니 알바니즈 노동당 대표와 함께 쿼드 4개국 정상이 불법조업 추적 시스템 구축을 골자로 하는 새 이니셔티브를 내놓는다고 FT는 설명했다.
새 이니셔티브는 위성 기술을 활용해 싱가포르와 기타 지역에 있는 기존 감시센터를 서로 연결해 인도양과 동남아시아 해역, 남태평양에서 이뤄지는 불법조업을 실시간으로 추적하는 것이 핵심이다.
특히 어선들이 일반적으로 선박을 추적하는 데 사용되는 응답기를 끄더라도 미국과 파트너 국가들이 불법조업을 모니터링 할 수 있다고 FT는 강조했다.
관련 뉴스
한 당국자는 “처음으로 다함께 불법조업을 추적할 수 있는 시스템에 연결할 수 있는 글로벌 역량을 제공할 것”이라고 말했다.
싱크탱크 전략국제문제연구소(CSIS)의 찰스 에델 호주 석좌는 “중국은 세계 최대 불법조업 가해국이 됐다. 전 세계 어류자원을 극적으로 고갈시켰고 많은 국가의 전통적인 생계를 훼손했다”며 “그런 활동을 추적하고 식별하며 억제하기 위한 조치는 이 지역에 환경과 안보 혜택을 제공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미국은 새 이니셔티브를 태평양의 여러 작은 섬나라들이 중국에 대한 의존도를 줄일 수 있도록 하는 광범위한 전략의 일부로 간주하고 있다.
한 미국 국무부 관리는 “인도·태평양 지역 주민이 미국과 우리의 파트너, 동맹들이 2차 세계대전 이후 평화와 안보 유지를 위한 파트너였음을 알아주기를 바란다”며 “미국은 중국에 대항하기 위해 이 지역에서의 관계를 심화하고 싶다”고 말했다.
다른 미국 관리는 “미국과 한국, 일본, 호주, 뉴질랜드, 영국, 프랑스가 태평양 섬나라들을 돕고자 ‘태평양의 파트너’로 불리는 이니셔티브를 조만간 시작할 것”이라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