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BM 리더십 우리에게 오고 있어
마하2 개발 필요성도 생겨
![(출처=경계현 사장 인스타그램)](https://img.etoday.co.kr/pto_db/2024/03/20240329111625_2005929_1200_1063.png)
미국서 5개 도시를 돌며 고객들을 만난 경계현 삼성전자 사장이 고대역폭메모리(HBM) 주도권 확보에 대한 자신감을 보였다. 또 AI 반도체 '마하-1'을 이어 '마하-2' 개발에도 빠르게 나설 것임을 밝혔다.
경 사장은 29일 자신의 SNS(소셜네트워크서비스) 계정에 이 같은 내용의 게시물을 올렸다. 테슬라 사이버트럭에 탑승한 영상을 함께 올린 경사장은 "4일 동안 5개 도시를 돌면서 고객들을 만났다"며 "테슬라에서는 고맙게도 사이버트럭을 시승할 수 있는 기회를 줬다"고 썼다.
이어 "생각보다 안락했고, 생각보다 가속력이 대단했다"며 "10개의 카메라로 주변을 인식하는 능력이 훌륭해 보였고, 짧은 회전 반경과 큰 와이퍼가 인상적이었다"고 소감을 밝혔다.
경 사장은 또 "인공지능(AI) 어플리케이션에서 고용랑 HBM는 경쟁력"이라며 "HBM3와 HBM3E 12H를 고객들이 더 찾는 이유"라고 적었다. 그러면서 "전담팀을 꾸미고, 팀은 정성을 다해 품질과 생산성을 높히고 있다. 이들의 노력으로 HBM의 리더십이 우리에게로 오고 있다"고 강조했다.
관련 뉴스
그는 이어 "로직 파워를 줄이고 성능을 높여야 다양한 응용에서AI의 지능을 키울 수 있다"며 "고객들이 GAA 2나노를 원하는 이유"라고 설명했다. 경 사장은 "성공적인 기술 개발을 통해 이들이 2나노 제품개발로 이어지도록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마지막으로 경 사장은 "'마하-1'에 대한 고객들의 관심 또한 증가하고 있다"며 "일부 고객들은 1T 파라미터(parameter, 매개변수)이상의 큰 어플리케이션에 마하를 쓰고 싶어한다. 생각보다 더 빠르게 마하-2의 개발이 필요한 이유가 생긴 것이다. 준비를 해야겠다"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