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페이, 시민안전보험 알림 서비스 ‘동네무료보험’ 개편

입력 2024-07-29 09:15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사진제공=카카오페이)
(사진제공=카카오페이)

카카오페이는 행정안전부와 협력해 ‘동네무료보험’ 서비스 개편을 진행하고 지방자치단체가 가입한 시민안전보험에 대한 정보를 실시간으로 제공한다고 29일 밝혔다.

시민안전보험은 해당 지역에 거주하는 주민이라면 누구나 자동으로 가입되는 보험으로, 일상생활에서 발생할 수 있는 각종 재난 및 사고로부터 피해를 본 시민들의 생활 안정과 복지 향상을 위해 마련됐다.

시민안전보험의 보상을 받을 수 있는 사례로는 △스쿨존 교통사고로 인한 부상 △대중교통 이용 중 상해 후유 장해 △장마철 폭우와 같은 자연재해로 인한 피해 △폭발·화재·붕괴로 인한 상해사고 사망·후유 장해 등이다. 재난 혹은 사고 손해를 입은 시민을 위해 각 지방자치단체가 가입해 보험료 전액을 부담하고 있다.

보험에 가입한 지방자치단체에 주민은 별도 가입 절차 없이 누구나 자동으로 보험 혜택을 받을 수 있으며, 개인 보험 가입 여부와 상관없이 보험 혜택을 받을 수 있어 중복 보장도 가능하다.

카카오페이는 이번 서비스 개편을 통해 업계 유일하게 행안부와 API 연동을 진행해 실시간으로 시민안전보험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게 됐다. 보장 내용 및 청구 방법을 사용자가 이해하기 쉽도록 개편하고, 청구를 위한 접수센터 전화번호 및 지방자치단체 홈페이지도 확인할 수 있어 이용 편의성을 높였다.

동네무료보험 서비스를 실행하면 사용자의 거주 지역을 기반으로 ‘내 동네무료보험’이 자동으로 나타나고, ‘더보기’ 를 눌러 자세한 시민안전보험 가입 내역을 살펴볼 수 있다. 사용자는 보장 내역과 최대 보장 금액을 파악할 수 있고, ‘청구방법’ 탭을 통해 보험금 청구방법과 구비서류도 확인할 수 있다.

문의사항이 있으면 청구처로 바로 전화 연결도 가능하다. 거주지 외 다른 지역의 가입 내역 및 보장 내역도 확인할 수 있어, 지역별로 보장하는 항목과 금액 등의 차이도 파악할 수 있다. ‘보장 내역’ 하단에는 어려운 용어의 이해를 돕기 위한 ‘용어 사전’도 제공하고 있다.

카카오페이는 사용자를 비롯해 더 많은 국민이 시민안전보험의 존재를 인지하고 실질적인 보험 혜택을 받을 수 있도록 동네무료보험 서비스를 통해 정확한 정보를 계속 제공해 나갈 예정이다.

회사 관계자는 “더 많은 국민이 시민안전보험의 혜택을 인지하고 누릴 수 있도록 행안부와 협력해 서비스를 개편했다”며 “이후에도 서비스를 고도화해 생활 금융 플랫폼으로 사회적 책임을 다하기 위해 노력할 것”이라고 말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尹 탄핵사건, 4일 오전 11시 생중계 선고…역대 최장 심리 기록
  • 장제원 전 의원 사망…강동구 오피스텔서 발견
  • ‘14명 아빠’ 일론 머스크, 또 한국 때린 이유 [해시태그]
  • "벚꽃 축제 가볼까 했더니"…여의도 벚꽃길, 무사히 걸을 수 있나요? [이슈크래커]
  • 김수현, 카톡 공개에 되레 역풍?…'김수현 방지법' 청원도 등장
  • [트럼프 상호관세 D-1] ‘기울어진 운동장’ 안 통했다…韓 IT업계 촉각
  • "신혼부부의 희망?"…'미리내집'을 아시나요 [왁자집껄]
  • "지브리 풍 이렇게 인기인데"…웹3, 애니메이션으로 돌파구 찾을까 [블록렌즈]
  • 오늘의 상승종목

  • 04.01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26,843,000
    • +3.15%
    • 이더리움
    • 2,850,000
    • +4.97%
    • 비트코인 캐시
    • 461,300
    • +2.13%
    • 리플
    • 3,194
    • +2.57%
    • 솔라나
    • 188,200
    • +0.43%
    • 에이다
    • 1,015
    • +3.26%
    • 이오스
    • 1,021
    • +10.86%
    • 트론
    • 352
    • -1.4%
    • 스텔라루멘
    • 406
    • +3.05%
    • 비트코인에스브이
    • 47,930
    • +1.98%
    • 체인링크
    • 21,180
    • +4.64%
    • 샌드박스
    • 412
    • +1.98%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