엔에이치기공, AL단열내풍압셔터 미네랄울 충진 준불연 단열 시험성적서 취득

입력 2024-08-02 09:47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산업용 셔터(도어) 전문기업 NH기공㈜이 미네랄울 충진 AL단열내풍압셔터 준불연 단열 시험성적서를 국내 최초로 취득했다고 밝혔다.

일정규모 이상의 건축물에는 마감재로 방화에 지장이 없는 재료 즉 불연 준불연재료를 사용하도록 규정하고 있습니다. 이중 외벽에 사용하는 마감재료에 관한 내용은[건축법시행령 제61조 제2항], [국토교통부령 제24조 제5, 6, 7항]이 2019년 8월에 법령이 개정되어 현재 시행 중이다.

[국토교통부고시 제2022-52호] 제2조(건축물의 열 손실방지 등) ① 건축물을 건축하거나 대수선, 용도변경 및 건축물대장의 기재 내용을 변경하는 경우에는 다음 각호의 기준에 의한 열 손실방지 등의 에너지이용 합리화를 위한 조치를 하여야 한다.

건축물의 화재나 에너지절약 설계기준 두 가지 기준을 충족하기 위해서는 슬라트 내부에 우레탄충진으로는 준불연 성능을 만족하기 어려워 불에 타지않는 미네랄울을 충진하여 열관류율 1.029 W/(㎡.K)/기밀성 1등급 성능에 단열시험 성적서를 취득하게 되었다.

내풍압셔터는 45m/s의 풍속 및 비바람 속에서도 변형이나 손상없이 견딜 수 있어 일반 셔터 설치가 어렵고 개구부가 크거나 강한 현장, 해안가, 발전소 등에 주로 설치된다. 베어링 타입에 슬라이딩 윈드락 장치를 적용하여 슬라트가 레일을 이탈하지 않도록 잡아주는 역할을 하고 있어서 강한 풍압에 견딜 수 있도록 제작됐다.

특히 내풍압셔터의 재질인 알루미늄은 무게가 가볍고 부식이 없어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어 여러 환경에 적용되고 있다. 슬라이딩 윈드락 장착형 내풍압셔터는 폭 12M까지 설치할 수 있기 때문에 대형물류센터 등의 물류비 및 건축비 절감 효과를 낼 수 있고, 셔터박스 안에 설치되어 작은 공간에도 설치가 가능한 것이 특징이다.

내풍압 단열셔터의 경우 슬라트 내부에 우레탄 충진재를 채워 넣었으며, 태풍 등으로 풍압이 강할 경우 포스트를 추가 설치해 셔터를 보호할 수 있다. 또한, 불소수지 코팅으로 다양한 색상으로 제작할 수 있으며, 옵션 추가 시 투시창을 사용해 채광 효과도 극대화할 수 있다.

박상하 대표는 “준불연 재질의 단열성적서 취득으로 AL단열내풍압셔터의 사용 범위가 넓어질 것으로 판단되어 매우 기쁘게 생각한다.”라고 전하며, “항상 고객의 요구사항을 귀담아듣고 빠른 검토와 반영으로 고객의 신뢰를 얻기 위해 최선을 다하며, 품질과 납기에서 경쟁사 보다 앞선 실행력을 바탕으로 좋은 제품을 저렴하게 공급할 수 있도록 지속해서 노력하겠다”라고 밝혔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트럼프, 관세 행정명령 서명…중국 10%, 캐나다·멕시코 25%
  • "이 감성 못 잃어"…젠지 선택받은 브랜드들의 정체 [솔드아웃]
  • 알고리즘 정복…칠 가이(Chill guy) 밈 활용법 [해시태그]
  • GDㆍ준수도 탐낸 '차들의 연예인' 사이버트럭을 둘러싼 '말·말·말' [셀럽의카]
  • 1인 가구는 뭐 먹고 사나…최근 5년간 외식물가 23.1% 상승
  • 홍장원·여인형 이번주 증인 출석…‘정치인 체포’ 진실공방 벌어지나
  • 다꾸 넘어 신꾸ㆍ백꾸.…‘별다꾸’ 탑승한 패션업계
  • 이재용 사법리스크 해소될까...‘부당합병 의혹’ 등 3일 항소심 선고
  • 오늘의 상승종목

  • 01.31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56,474,000
    • +0.01%
    • 이더리움
    • 4,875,000
    • -3.25%
    • 비트코인 캐시
    • 627,500
    • -4.42%
    • 리플
    • 4,537
    • -2.64%
    • 솔라나
    • 332,400
    • -6.13%
    • 에이다
    • 1,389
    • -4.21%
    • 이오스
    • 1,145
    • -7.44%
    • 트론
    • 379
    • -3.07%
    • 스텔라루멘
    • 610
    • -4.54%
    • 비트코인에스브이
    • 72,750
    • -4.02%
    • 체인링크
    • 35,600
    • -9.23%
    • 샌드박스
    • 750
    • -7.41%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