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달 5대 은행 주담대 2.2조↑…전방위 억제책에 일단 주춤했지만

입력 2024-09-18 09:05 수정 2024-09-18 09:26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5월 국내은행 원화대출 연체율이 두 달 연속 상승흐름을 이어가고 있다. 금융감독원 16일 발표한 '2024년 5월말 국내은행의 원화대출 연체율 현황'에 따르면 은행 대출 연체율은 0.51%로 전월(0.48%)보다 0.03%포인트 상승했다. 은행 연체율은 2월 0.51%로 4년 9개월만에 최고치를 기록한 뒤 3월 분기 말 상·매각으로 하락했다가 4월 반등한 뒤 두 달째 상승세다. 5월 신규 연체 발생액은 2조7000억원으로 전월(2조6000억원)대비 1000억원 증가했다. 연체채권 정리 규모는 2조원으로 전월대비 5000억원 증가했다. 이날 서울 시내 시중은행의 현금자동입출금기 모습. 조현호 기자 hyunho@ (이투데이DB)
▲5월 국내은행 원화대출 연체율이 두 달 연속 상승흐름을 이어가고 있다. 금융감독원 16일 발표한 '2024년 5월말 국내은행의 원화대출 연체율 현황'에 따르면 은행 대출 연체율은 0.51%로 전월(0.48%)보다 0.03%포인트 상승했다. 은행 연체율은 2월 0.51%로 4년 9개월만에 최고치를 기록한 뒤 3월 분기 말 상·매각으로 하락했다가 4월 반등한 뒤 두 달째 상승세다. 5월 신규 연체 발생액은 2조7000억원으로 전월(2조6000억원)대비 1000억원 증가했다. 연체채권 정리 규모는 2조원으로 전월대비 5000억원 증가했다. 이날 서울 시내 시중은행의 현금자동입출금기 모습. 조현호 기자 hyunho@ (이투데이DB)

이달 들어 5대 은행 주담대 2.2조 원↑
'역대 최대' 8월보다 둔화
금융당국 가계대출 관리 기조에 은행권 대출 억제 조치 영향
다만, 둔화 추세 단정짓기에는 일러

고공행진했던 가계대출이 이달 들어 주춤한 모양새다. 정부의 전방위적인 가계대출 관리 기조에 맞춰 은행권이 대출 문턱을 높인 데 따른 것으로 풀이된다. 하지만 이달부터 적용된 2단계 스트레스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 규제나 1주택자 주택담보대출까지 막은 은행권 자체 조치에도 불구, 이달 들어 주간 기준으로는 주담대 증가 폭이 커지는 것으로 나타나 가계대출 증가세가 본격적으로 둔화하고 있다고 보기에는 이르다는 평가다.

18일 금융권에 따르면 5대 은행(KB국민·신한·하나·우리·NH농협)의 지난 12일 기준 주담대(전세자금대출 포함) 잔액은 570조8388억 원으로, 8월 말(568조6616억 원)보다 2조1772억 원 증가했다. 월간 최대 증가 폭을 기록했던 8월(8조9115억 원)보다는 증가세는 둔화했다.

이달부터 2단계 스트레스 DSR이 시행된 데다 지난 7월부터 가계대출 금리를 줄인상한 은행권이 잇따라 조건부 전세자금대출 중단, 주담대 한도·만기 축소 등 강력한 억제 조치를 쏟아낸 것이 시차를 두고 나타나고 있다는 분석이다.

신용대출도 같은 기간 1043억 원(103조4562억 원→103조5605억 원) 증가에 그쳤다. 5대 은행 전체 가계대출 증가 폭은 같은 기간 2조690억 원(725조3642억 원→727조4332억 원)으로 집계됐다.

다만 주간 기준으로 보면 주담대 증가세는 가팔라졌다. 이들 은행의 지난 5일까지 주담대 증가 폭은 8835억 원이었는데 6일부터 12일까지는 1조2937억 원으로 커졌다.

1영업일당 증가 폭이 소폭 확대된 데다(2209억 원→2587억 원) 5대 은행이 지난주에만 정책대출 약 4949억 원어치를 유동화해 장부에서 털어냈다는 점까지 고려하면 주담대 증가세가 쉽사리 잡히지 않는 모습이다.

특히 서울 등 수도권에 주담대가 쏠리는 현상은 오히려 더 심해졌다. 이달 9일 기준 5대 은행 주택구입 목적 주담대 신규 취급액의 69.6%(2조1322억 원)가 수도권(서울·인천·경기) 주택과 관련된 대출이었다. 이 비중은 2021년 8월(수도권 5조136억 원/전체 6조9837억 원=71.8%) 이후 최대 기록이다.

▲서울 아파트값이 22주 연속 올랐다. 23일 한국부동산원 '8월 셋째 주(19일 기준) 주간 아파트가격 동향'에 따르면 이번 주 서울 아파트 매매가격은 전주보다 0.28% 증가해 22주 연속 상승했다. 서초구(0.59%)가 반포·잠원동 한강변 선호단지 위주로 가장 높은 상승률을 기록했다. 금호·행당동 역세권 대단지 위주로 오른 성동구(0.57%)가 그 뒤를 이었고 송파구(0.48%), 마포구(0.37%), 용산구(0.32%), 강남구(0.39%), 동작구(0.34%), 광진구(0.31%) 등의 순으로 상승률이 높았다. 사진은 이날 서울의 아파트 단지 모습. 고이란 기자 photoeran@ (이투데이DB)
▲서울 아파트값이 22주 연속 올랐다. 23일 한국부동산원 '8월 셋째 주(19일 기준) 주간 아파트가격 동향'에 따르면 이번 주 서울 아파트 매매가격은 전주보다 0.28% 증가해 22주 연속 상승했다. 서초구(0.59%)가 반포·잠원동 한강변 선호단지 위주로 가장 높은 상승률을 기록했다. 금호·행당동 역세권 대단지 위주로 오른 성동구(0.57%)가 그 뒤를 이었고 송파구(0.48%), 마포구(0.37%), 용산구(0.32%), 강남구(0.39%), 동작구(0.34%), 광진구(0.31%) 등의 순으로 상승률이 높았다. 사진은 이날 서울의 아파트 단지 모습. 고이란 기자 photoeran@ (이투데이DB)

실제로 주택 거래량은 7월에도 큰 폭으로 늘었다. 주담대는 통상 주택 거래 시점으로부터 두세달 시차를 두고 집행된다. 한국부동산원에 따르면 7월 전국 아파트 매매(신고일 기준)는 5만4732건으로 6월(4만3300건)보다 26.4% 늘었다. 특히 서울지역 아파트 매매는 6월(6150건)보다 54.8% 뛴 9518건으로 집계됐다.

주담대는 주택 거래 시점으로부터 약 두세 달의 시차를 두고 실제 집행되고 은행권 통계에도 반영된다. 따라서 만약 7월 또는 8월에 서울 주택 거래가 정점이었다고 해도, 이와 관련된 주담대 증가세는 10∼11월까지 이어질 수 있다.

금융권 안팎에서는 9월 가계대출 증가 폭이 8월보다는 둔화할 것으로 보고 있다. 김병환 금융위원장은 지난 12일 “이달 들어 첫 5영업일 기준 가계대출이 은행권 기준 1조1000억 원 늘었는데, 이는 전달 같은 기간에 비해 증가 폭이 절반 정도 수준”이라며 대출 규제 효과가 나타나고 있다고 자평했다.

박민철 한국은행 시장총괄팀 차장도 지난 11일 가계대출 흐름에 대해 “9월 이후 정부의 (가계대출 관리) 대책 효과가 가시화할 것으로 기대되고, 은행권의 가계대출 관리 노력도 이어지고 있다”며 “휴가 자금, 주식 저가 매수 등의 8월 일시적 요인도 사라지면 9월에는 가계대출 증가 폭이 8월보다는 축소될 것으로 본다”고 예상했다.

다만 가계대출 증가세 둔화가 장기 추세로 이어질 수 있을지는 불확실성이 큰 상황이다. 주택 가격 상승 기대, 이사철 수요, 정책금리 인하 전망 등 가계대출과 관련한 불안 요인이 남아있어서다.

한은은 최근 발표한 통화신용정책 보고서에서 높은 집값 수준과 정부 공급·거시건전성 정책 효과 등을 근거로 내년 이후 안정을 예상하는 견해와 2단계 스트레스 DSR 규제 등과 상관없이 과열이 이어질 것이라는 전망을 모두 소개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급제동’ 윤석열 정부 부동산 정책…재초환 폐지·공시가격 합리화 계획 ‘안갯속’
  • 제주항공, 무안참사 동일 기종 랜딩기어 이상으로 회항
  • 역대 국내 항공기 사고 참사, 어떤 문제점이 비극 불렀나 [이슈크래커]
  • 현직 대통령 체포영장 청구에…尹 측 “서부지법에 의견서 제출 예정”
  • 헌재 “6인체제 선고 가능 여부 논의 속도 내는 중…韓 직무정지도 유효”
  • 코스닥 1년만에 21% 추락…시총·거래대금·거래량 나란히 감소 [2024 증시 결산]
  • 'KBS 연기대상'도 결방 확정…방송3사 남은 연말 시상식 '올스톱'
  • "예금자 보호한도 1억으로 상향"…내년부터 달라지는 금융제도
  • 오늘의 상승종목

  • 12.30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39,040,000
    • -0.86%
    • 이더리움
    • 5,025,000
    • +0.14%
    • 비트코인 캐시
    • 657,500
    • -0.83%
    • 리플
    • 3,073
    • -4.21%
    • 솔라나
    • 284,200
    • -1.52%
    • 에이다
    • 1,276
    • -2.07%
    • 이오스
    • 1,152
    • -2.29%
    • 트론
    • 377
    • -3.58%
    • 스텔라루멘
    • 494
    • -4.26%
    • 비트코인에스브이
    • 77,400
    • -1.71%
    • 체인링크
    • 30,900
    • -2.83%
    • 샌드박스
    • 810
    • -2.41%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