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 틱톡 중단 막는 조치 강구”

입력 2025-01-17 15:18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틱톡 CEO, 트럼프 취임식도 참석

▲4월 15일(현지시간) 뉴욕에서 도널드 트럼프의 비자금 관련 재판이 열리는 가운데 법원 앞에서 한 남성이 ‘틱톡을 자유롭게 하라’라는 문구의  팻말을 들고 있다. 뉴욕(미국)/AP뉴시스
▲4월 15일(현지시간) 뉴욕에서 도널드 트럼프의 비자금 관련 재판이 열리는 가운데 법원 앞에서 한 남성이 ‘틱톡을 자유롭게 하라’라는 문구의 팻말을 들고 있다. 뉴욕(미국)/AP뉴시스

도널드 트럼프 2기 미 행정부 백악관 국가안보보좌관으로 지명된 마이크 왈츠 연방 하원의원(공화·플로리다)이 16일(현지시간) 트럼프 당선인이 틱톡 서비스 존속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고 밝히면서 틱톡의 구제 가능성이 커지고 있다.

왈츠 지명자는 폭스뉴스 인터뷰에서 “틱톡 중단을 막기 위한 조치를 강구할 것”이라며 “트럼프 당선인은 틱톡을 유지하는 시간을 벌 수 있다”고 말했다.

매각에 중대한 진전이 있을 경우 매각 시한을 최대 90일 연장할 수 있도록 한 조항을 언급하며 트럼프 당선인이 해당 조항을 사용할 수 있음을 시사했다.

이어 “중국 정부에 의한 데이터 수집은 위협이지만, 틱톡 자체는 훌륭한 플랫폼”이라고 강조했다.

트럼프 당선인도 첫 집권 당시에는 안보 위협을 이유로 틱톡 금지에 나섰지만, 최근에는 틱톡 옹호로 전환했다. 대선 기간에도 트럼프 당선인은 조 바이든 행정부가 주도하는 틱톡 금지법에 반대하는 입장을 표명했고, 본인 선거 운동에도 틱톡을 활용했다.

20일에 열리는 대통령 취임식에 추쇼우즈 틱톡 최고경영자(CEO)를 초청한 사실도 알려졌다. 추CEO는 일론 머스크 테슬라 CEO 등 미국 빅테크 경영자들과 함께 취임식에 자리할 예정이다.

추CEO는 지난해 12월 16일에는 플로리다주 팜비치 마러라고 리조트를 찾아 틱톡 퇴출을 막아달라는 의견을 전달하기도 했다.

미 의회 내에서도 틱톡 퇴출을 유예해야 한다는 의견이 퍼지는 가운데 틱톡은 트럼프 당선인과 밀착하며 반전의 가능성을 끝까지 놓지 않고 있다.

미 정치 전문매체 폴리티코에 따르면 틱톡은 트럼프 당선인 선거 과정에 도움을 준 인플루언서를 초청한 파티에 5만 달러(약 7287만 원)를 지출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단독 삼성전자, 차세대 RGB 마이크로 LED TV 연내 출시한다
  • 취업만 되면 어디든 다니겠다는 취준생들…"원하는 연봉은 3400만 원" [데이터클립]
  • "밴댕이 소갈딱지"…속 좁은 그 생선을 아시나요? [레저로그인]
  • 불확실성 커지는 요즘…금테크로 안전자산 투자해볼까 [경제한줌]
  • “시계 부품회사에서 로봇까지”... 엡손 84년간 ‘성공 신화’ 살펴보니 [르포]
  • 넷플릭스 ‘중증외상센터’는 허구일까? [해시태그]
  • "1년 동안 기다렸는데"…'파피 플레이타임 4', 혹평 쏟아진 '진짜 이유' [이슈크래커]
  • 트럼프, 시진핑과 통화 무산...관세전쟁 장기화 조짐에 ‘트럼플레이션’ 위기감
  • 오늘의 상승종목

  • 02.05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52,144,000
    • -1.39%
    • 이더리움
    • 4,304,000
    • +1.89%
    • 비트코인 캐시
    • 515,500
    • +0.88%
    • 리플
    • 3,916
    • -0.51%
    • 솔라나
    • 318,100
    • -0.84%
    • 에이다
    • 1,168
    • +1.39%
    • 이오스
    • 965
    • +6.16%
    • 트론
    • 351
    • +2.33%
    • 스텔라루멘
    • 532
    • +0%
    • 비트코인에스브이
    • 63,550
    • +0.63%
    • 체인링크
    • 30,420
    • -1.71%
    • 샌드박스
    • 625
    • +2.8%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