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우정국, 중국·홍콩 소포 배송 중단
중국, 엔비디아·구글 이어 인텔 반독점 조사 검토
4일(현지시간) 미국 정치 전문매체 폴리티코에 따르면 미국 정부는 중국 상품에 대한 관세 부과를 발표한 후 트럼프 대통령과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이 곧 통화할 예정이라고 알렸다.
그러나 저녁이 되도록 양국 정상 간 통화는 이뤄지지 않았고 끝내 무산됐다. 이후 캐롤라인 레빗 백악관 대변인은 기자단에 “통화 시점에 대한 업데이트가 없다”고 알려왔다.
트럼프 대통령은 기자들과 만난 자리에서 “적절한 시기에 그와 대화할 것이다. 서두르지 않겠다”며 한발 물러났다. 나아가 “중국에 대한 관세는 이제 시작일 뿐”이라며 “합의하지 못한다면 관세는 매우 커질 것”이라고 경고했다. 중국 정부가 발표한 보복 관세에 대해선 “괜찮다”는 말만 반복했다. 이번 통화 지연은 양국이 가까운 미래에 합의에 도달하지 못할 수도 있다는 신호라고 폴리티코는 짚었다.
이런 가운데 중국산 수입품에 대한 10% 관세가 이날 발효하면서 의류, 장난감, 컴퓨터, 휴대폰 등 각종 물품의 가격이 도미노처럼 인상될 전망이라고 AP통신은 보도했다.
미국에서 판매되는 중국산 상품의 양과 종류가 워낙 다양해서 양국의 관세 분쟁이 계속될 경우 인플레이션이 재점화할 가능성이 크다. 관세는 일반적으로 저렴한 의류, 신발, 장난감, 냄비와 프라이팬과 같은 주방용품뿐만 아니라 가전제품, 가구, 자동차 부품 등 고가의 품목에 대한 소비자 가격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미국소비자기술협회 무역 그룹에 따르면 2023년 기준 중국은 미국 스마트폰 수입의 78%, 노트북 및 태블릿 수입의 79%를 차지했다.
관세로 인해 소비자 가격이 얼마나 오를지는 불분명하지만 경제학자들은 제2차 미·중 무역 전쟁이 트럼프 대통령의 첫 임기 때보다 훨씬 더 큰 비용을 초래할 것으로 보고 있다. 빌 클린턴 전 행정부에서 상무부 차관을 지낸 윌리엄 라인쉬 전략국제문제연구소(CSIS) 국제경제석좌는 “트럼프 행정부 1기 때 무역팀은 미국 소비자에 대한 영향을 피하거나 최소한 지연시키기 위해 관세 부과 대상 목록을 신중히 작성했다”며 “월마트 진열대에 오를 제품이 아닌 품목을 타깃으로 삼은 덕분에 충격을 완화할 수 있었다”고 분석했다.
미·중 양국의 신경전도 계속됐다. 미국 우정국은 중국과 홍콩에서 발송되는 소포 배송 서비스를 추후 공지가 있을 때까지 중단한다고 밝혔다. 기업이 800달러(약 116만 원) 미만의 소포를 미국 소비자에게 직접 배송하는 경우 관세를 내지 않아도 되는 허점을 틀어막기 위한 움직임으로 풀이된다. 소포 배송 중단도 물가 상승세를 가속화할 우려가 있다.
영국 파이낸셜타임스(FT)에 따르면 중국은 지난해 12월 엔비디아, 이날 구글에 대한 반독점 조사를 시작한 데 이어 인텔도 겨냥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