닛산·혼다, 합병 협상 무산…세계 3위 자동차 기업 탄생 불발

입력 2025-02-05 16:21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혼다 자회사 제안에 닛산 반발
닛산 구조조정안도 불만 키워
협상 재개 여부 등은 추후 검토

▲우치다 마코토 닛산 사장(왼쪽)과 미베 도시히로 혼다 사장이 지난해 12월 23일 도쿄에서 경영통합 관련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도쿄/로이터연합뉴스
▲우치다 마코토 닛산 사장(왼쪽)과 미베 도시히로 혼다 사장이 지난해 12월 23일 도쿄에서 경영통합 관련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도쿄/로이터연합뉴스
닛산과 혼다가 5일 합병 협상을 중단한다고 발표했다. 이로써 세계 3위 자동차 기업 탄생이 불발됐다.

일본 니혼게이자이신문(닛케이)에 따르면 닛산은 이날 이사회를 소집해 혼다의 자회사가 되는 제안을 부결하고 혼다와의 경영통합을 위한 양해각서(MOU)를 철회하기로 결정했다. 다시 통합 협의를 진행할지, 전기차(EV) 등 일부 협업만 계속할지는 추후 검토할 예정이다.

닛케이는 “양측은 지주회사 방식으로 협의를 진행했지만, 통합 비율 등의 조건에서 합의에 이르지 못했다”면서 “특히 혼다가 닛산을 자회사로 만드는 방안을 제안했지만, 닛산 내부에서 강한 반발이 일어나 협의 종료를 결정했다“고 전했다.

앞서 일본 2위 자동차 제조사 혼다와 3위 닛산은 지난해 12월 23일 각각 이사회를 열어 경영통합을 위한 본격 협상을 시작한다고 발표했다. 양사는 올해 6월 계약을 맺고 2026년 8월 상장회사로 새로 설립할 지주회사 산하에 들어가는 형태로 경영통합을 추진하기로 했다. 이와 함께 닛산이 최대 주주인 미쓰비시자동차도 이에 합류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오기도 했다.

그러나 양사는 발표 후 좀처럼 합의점을 찾지 못했다. 혼다는 경영통합 협의 조건으로, 경영난에 빠진 닛산이 회생 계획을 수립할 수 있는지를 전제로 삼았다. 이에 닛산은 작년 11월 비용 절감을 위해 근로자 9000명을 해고하고, 공장 생산 규모를 20% 줄이겠다고 밝혔다. 그러나 지역별로 구조조정에 대한 반발이 강하게 나타나면서 시행이 지연됐다.

여기에 지주회사의 통합 비율을 둘러싸고도 이견을 좁히지 못했다. 혼다의 기업가치는 470억 달러(약 68조 원)로 닛산의 약 5배다. 혼다는 닛산의 재건에 시간이 걸릴 것으로 판단하고, 닛산을 자회사로 삼아 혼다 주도로 회생을 추진하는 방안을 제시했다. 그러나 대등한 경영통합을 원하는 닛산 내부에서 반발이 커졌다. 결국 통합 협의가 중단, 세계 3위 자동차기업 탄생이 어그러졌다.

더군다나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폭탄 관세’ 위협으로 글로벌 무역전쟁 전운이 짙은 상황에서 이번 합병 결렬로 양사의 사업 불확실성은 한층 커지게 됐다. 특히 경영난을 겪고 있는 닛산은 외부의 도움 없이 기존 자동차업체는 물론 중국 비야디(BYD), 미국 테슬라 등 전기차를 중심으로 한 신흥 강자와의 경쟁을 어떻게 헤쳐나갈 수 있을지 우려가 크다고 닛케이는 지적했다.

한편 이번 합병 불발 소식에 이날 도쿄증시에서 혼다 주가는 8% 넘게 급등하고, 닛산 주가는 5% 가까이 급락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단독 삼성전자, 차세대 RGB 마이크로 LED TV 연내 출시한다
  • 취업만 되면 어디든 다니겠다는 취준생들…"원하는 연봉은 3400만 원" [데이터클립]
  • "밴댕이 소갈딱지"…속 좁은 그 생선을 아시나요? [레저로그인]
  • 불확실성 커지는 요즘…금테크로 안전자산 투자해볼까 [경제한줌]
  • “시계 부품회사에서 로봇까지”... 엡손 84년간 ‘성공 신화’ 살펴보니 [르포]
  • 넷플릭스 ‘중증외상센터’는 허구일까? [해시태그]
  • "1년 동안 기다렸는데"…'파피 플레이타임 4', 혹평 쏟아진 '진짜 이유' [이슈크래커]
  • 트럼프, 시진핑과 통화 무산...관세전쟁 장기화 조짐에 ‘트럼플레이션’ 위기감
  • 오늘의 상승종목

  • 02.05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52,001,000
    • -1.65%
    • 이더리움
    • 4,307,000
    • +1.56%
    • 비트코인 캐시
    • 514,000
    • +0.19%
    • 리플
    • 3,914
    • -1.11%
    • 솔라나
    • 317,800
    • -1.4%
    • 에이다
    • 1,169
    • +0.95%
    • 이오스
    • 960
    • +5.26%
    • 트론
    • 352
    • +2.62%
    • 스텔라루멘
    • 530
    • -0.75%
    • 비트코인에스브이
    • 63,550
    • +0.87%
    • 체인링크
    • 30,430
    • -1.52%
    • 샌드박스
    • 623
    • +2.13%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