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엑스 도심공항터미널 부지에 프라임 오피스 들어선다

입력 2025-01-23 08:31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코엑스 개발계획 조감도. (사진제공=서울시)
▲코엑스 개발계획 조감도. (사진제공=서울시)

서울 강남구 코엑스 일대가 국제 비즈니스·교류 중심 공간으로 재탄생한다. 도심공항터미널 부지에 프라임 오피스와 전시장이 들어서고 도심 공항서비스도 재개된다.

23일 서울시는 '코엑스 일대 개발계획안'을 마련하고 이날부터 주면 의견 청취를 위한 열람공고를 시행한다고 밝혔다.

대상지 일대는 1980년대 '한국종합무역기지건설 기본계획 수립' 이후 컨벤션센터, 도심공항터미널, 호텔, 백화점, 쇼핑몰, 공연장, 업무시설 등 다양한 인프라를 갖추며 꾸준히 발전해왔다.

서울시는 공항버스 정류장과 예식장 등 현재 이용이 저조한 시설이 있는 도심 공항터미널부지에 프라임 오피스를 도입해 마이스 시설과 연계한 국제업무기능을 강화할 계획이다.

저층부에는 연면적 약 9900㎡의 문화예술 전시장을 도입해 키아프 서울, 프리즈 서울 등 다양한 예술행사와 시너지 창출을 꾀한다.

도심공항터미널 폐업 이후 주민들로부터 운영 재개 요청이 계속됐던 도심 공항서비스 기능은 2029년 완료 예정인 코엑스 리모델링 사업과 연계해 되살린다.

대중교통 이용이 편리하고 보행환경이 양호한 강남권 광역복합환승센터 연접부로 도심 공항 기능을 이전 배치해 국제교류복합지구를 찾는 외국인과 관광객, 시민들의 이용 편의성을 높일 계획이다.

도심 공항서비스에는 국토교통부에서 시행 중인 이지드랍 서비스를 도입할 예정이다.

건물 내외부의 공공성도 높인다. 별마당 도서관과 상업시설이 운영 중인 코엑스 지하에는 강남권 광역복합환승센터와 직접 연결되는 출입구 2개소를 신설해 광역급행철도(GTX), 도시철도, 버스 등 대중교통으로의 접근성을 확대한다.

또 실내·지하 공공보행통로를 개선해 삼성역과 봉은사역 일대 도보 이용 편의성을 높인다.

외부공간은 한강·탄천 수변공간부터 강남권 광역복합환승센터 지상 광장을 거쳐 선정릉까지 자연스럽게 이어지도록 공개공지·공공보행통로를 재편한다.

김창규 서울시 균형발전본부장은 "코엑스 일대 개편을 통해 우리나라 대표 마이스 공간이자 글로벌 업무·상업·문화 기능을 고루 갖춘 마이스 선두주자로서의 위상을 강화할 것"이라고 말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단독 삼성전자, 차세대 RGB 마이크로 LED TV 연내 출시한다
  • 취업만 되면 어디든 다니겠다는 취준생들…"원하는 연봉은 3400만 원" [데이터클립]
  • "밴댕이 소갈딱지"…속 좁은 그 생선을 아시나요? [레저로그인]
  • 불확실성 커지는 요즘…금테크로 안전자산 투자해볼까 [경제한줌]
  • “시계 부품회사에서 로봇까지”... 엡손 84년간 ‘성공 신화’ 살펴보니 [르포]
  • 넷플릭스 ‘중증외상센터’는 허구일까? [해시태그]
  • "1년 동안 기다렸는데"…'파피 플레이타임 4', 혹평 쏟아진 '진짜 이유' [이슈크래커]
  • 트럼프, 시진핑과 통화 무산...관세전쟁 장기화 조짐에 ‘트럼플레이션’ 위기감
  • 오늘의 상승종목

  • 02.05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52,415,000
    • -1.11%
    • 이더리움
    • 4,324,000
    • +2.39%
    • 비트코인 캐시
    • 518,000
    • +1.47%
    • 리플
    • 3,920
    • +0.23%
    • 솔라나
    • 319,300
    • +0.22%
    • 에이다
    • 1,173
    • +3.08%
    • 이오스
    • 962
    • +5.71%
    • 트론
    • 353
    • +3.82%
    • 스텔라루멘
    • 531
    • -0.38%
    • 비트코인에스브이
    • 64,100
    • +2.07%
    • 체인링크
    • 30,640
    • +0.07%
    • 샌드박스
    • 628
    • +3.46%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