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합] 뉴욕증시, 멕시코 관세 유예에 한숨 돌려…나스닥 1.20%↓

입력 2025-02-04 07:59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멕시코·캐나다 관세 한 달 유예키로
연준 인사“시급한 조정 필요성 없다”

▲30일(현지시간)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트레이더들이 일하고 있다. 뉴욕(미국)/AFP연합뉴스
▲30일(현지시간)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트레이더들이 일하고 있다. 뉴욕(미국)/AFP연합뉴스

뉴욕증시가 3일(현지시간) 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의 관세 정책을 소화하면서 롤러코스터 장세를 보였다.

이날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다우지수는 전장보다 122.35포인트(0.27%) 내린 4만4422.31에 장을 마감했다. S&P500지수는 전장 대비 45.86포인트(0.76%) 밀린 5994.67에, 나스닥종합지수는 235.49포인트(1.20%) 떨어진 1만9391.96에 거래를 끝냈다.

이날 오전에는 트럼프 대통령의 캐나다, 멕시코, 중국에 대한 관세 인상 조치로 인해 미국 경제와 기업 수익이 영향을 받을 것이라는 우려에 매도세가 선행됐다. 다만 이후 트럼프 대통령이 멕시코에 대한 25%의 관세 인상을 한 달 유예하기로 했다고 밝히면서 하락 폭을 줄였다.

앞서 트럼프 대통령은 1일 불법 이민 대책 부족, 합성 마약 펜타닐 유입, 무역 적자 등을 이유로 캐나다와 멕시코에 각각 25%, 중국에는 10%의 관세를 부과하는 행정명령에 서명했다. 관세는 4일부로 적용될 예정이었다. 관세 인상이 경제와 물가, 기업 실적에 미칠 영향을 우려해 투자자들의 위험 회피 심리가 강화됐다.

다만 이후 미국과 멕시코가 관세 조치를 유예하는 데 합의하면서 증시의 하락 폭이 축소됐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자신의 소셜미디어에서 클라우디아 셰인바움 멕시코 대통령과 통화한 사실을 밝히면서 “멕시코산 제품에 대해 4일부터 부과하기로 했던 25% 관세 조치의 발동을 한 달 동안 유예하기로 합의했다”고 밝혔다. 멕시코는 대신 양국 국경에 1만 명의 멕시코 군인을 파견하기로 했다. 이들은 펜타닐과 불법 이민자 유입을 박기 위해 특별히 임명된다.

멕시코에 대한 관세 부과 유예는 관세가 트럼프 대통령의 협상 도구가 될 수 있으며 투자자들이 초기에 과민 반응해선 안 된다는 일부 투자자들의 낙관적 견해를 강화했다고 CNBC는 짚었다.

티에르 위즈먼 맥쿼리 글로벌 외환 및 금리 전략가는 “우리가 착각하고 있었다고 해도 캐나다와 멕시코 등 미국의 동맹국에 대한 영구 관세는 없을 것이라고 생각한다”며 “양보는 문제를 처리하는 쉬운 방법이고, 트럼프는 거래를 좋아하기 때문이다”고 말했다. 이어 “2018년과 마찬가지로 정치권과 시장의 압력도 양측이 양보하도록 압박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장 마감 이후 쥐스탱 트뤼도 캐나다 총리와도 두 번째 전화 통화를 하고 캐나다에 대한 관세 또한 30일간 보류하기로 합의했다. 트뤼도 총리는 소셜미디어 X(엑스·옛 트위터)에서 “국경 안보에 대한 추가 협력을 약속했다”며 “우리가 함께 일하는 동안 제안된 관세는 최소 30일 동안 중단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날 발표된 경제 지표는 견조했다. 미국 공급관리협회(ISM)에 따르면 1월 제조업 구매관리자지수(PMI)는 50.9로, 27개월 만에 확장 국면에 돌입했다. PMI는 50을 기준으로 그 이상은 경기 확장을, 미만은 경기 위축을 나타낸다. S&P글로벌도 1월 미국 제조업 PMI 확정치가 51.2를 기록했다고 발표했다.

연방준비제도(Fed·연준) 인사들은 추가 금리 조정에 대해 조심스러운 태도를 나타냈다. 수전 콜린스 보스턴 연방준비은행 총재는 “금리 조정의 시급한 필요성은 없어 보인다”며 “불확실한 미국의 경제 전망 가운데 금리 인하 속도를 늦추는 것을 지지한다”고 말했다.

래피얼 보스틱 미국 애틀랜타 연방준비은행 총재는 “지난해 이뤄진 100bp(1bp=0.01%포인트) 금리 인하가 갖는 경제적 측면의 의미를 보고 싶다”며 “데이터에 따라 당분간 기다려야 할 수도 있다”고 내다봤다.

시카고상품거래소(CME) 페드워치툴에 따르면 연방 기금금리 선물시장에서 연준이 3월까지 기준금리를 25bp 내릴 확률은 13.5%로 반영됐다.

업종별로는 임의소비재, 재료, 기술주가 약세를 보였다. 반면 필수소비재, 에너지, 유틸리티 분야는 상승했다.

시카고옵션거래소(CBOE) 변동성 지수(VIX)는 전장 대비 2.19포인트(13.33%) 상승한 18.62를 기록했다.

국제유가는 상승했다. 이날 뉴욕상업거래소에서 근월물인 3월 인도분 서부텍사스산 원유(WTI)는 전장 대비 0.63달러(0.87%) 오른 배럴당 73.16달러에 장을 마감했다. 런던ICE선물거래소의 브렌트유 4월물 가격은 전장보다 0.29달러(0.38%) 뛴 75.96달러에 거래를 끝냈다. 미국의 관세 부과 조치가 미국 내 유가에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우려에 매수세가 유입됐다. 다만 이후 미국과 멕시코가 관세 조치를 유예하는 데 합의했다는 소식이 전해지면서 관세 조치 시행에 대한 경계감이 완화됐다. 트럼프 대통령은 캐나다와도 관세 발동을 30일간 보류하기로 합의했다.

국제 금값은 반등했다. 뉴욕상품거래소(COMEX)에서 거래의 중심인 4월물은 전주 주말 대비 22.1달러(0.8%) 오른 온스당 2857.1달러에 거래를 마쳤다.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 정책 불확실성으로 인해 상대적으로 안전자산으로 여겨지는 금 선물이 강세를 보였다.

채권시장에서 미국 국채 수익률은 투자자들이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정책에 대한 영향을 저울질하면서 혼조세를 보였다. 10년 만기 국채 수익률은 3bp 하락한 4.535%를, 2년 만기 국채 수익률은 2bp 상승한 4.255%를 기록했다.

미국 달러화 가치는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 정책을 소화하면서 하락했다. 주요 6개국 통화 대비 달러 가치를 나타내는 달러인덱스는 0.5% 하락한 108.96을 나타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트럼프, 멕시코 이어 캐나다 25% 관세도 한 달 유예
  • 현대차 노조까지 확전 가능성…통상임금 소송전 본격화
  • 비트코인, 관세 유예 합의에 껑충…10만 달러 복귀 [Bit코인]
  • 켄코아에어로스페이스, 스페이스X 등 고객사 확보…“밀려드는 주문에 美 현지 증설”
  • 시즌 마지막 경기…'최강야구' 대학 올스타 잠실 직관전 결과는?
  • 오픈AI, 신규 상표 등록 신청…로봇ㆍ양자컴퓨터 포함
  • 이주은 치어리더 대만행, 계약금 4억?…그들을 막을 수 없는 이유 [해시태그]
  • 중국 ‘딥시크’, AI 성능은 인정받았지만…“그래서 데이터 유출 우려는요?” [이슈크래커]
  • 오늘의 상승종목

  • 02.04 13:56 실시간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55,447,000
    • +3.05%
    • 이더리움
    • 4,344,000
    • +8.44%
    • 비트코인 캐시
    • 529,000
    • +10.67%
    • 리플
    • 4,157
    • +18.43%
    • 솔라나
    • 330,300
    • +6.51%
    • 에이다
    • 1,210
    • +17.7%
    • 이오스
    • 959
    • +11.64%
    • 트론
    • 350
    • +2.34%
    • 스텔라루멘
    • 556
    • +12.32%
    • 비트코인에스브이
    • 64,650
    • +12.34%
    • 체인링크
    • 32,220
    • +15.36%
    • 샌드박스
    • 646
    • +16.82%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