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주택 착공·준공 전년 대비 늘었다…거래량도 16% 증가

입력 2025-02-05 06:00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미분양주택 7만173가구…증가세 지속

▲2024년 전국 주택건설실적 현황. (자료제공=국토교통부)
▲2024년 전국 주택건설실적 현황. (자료제공=국토교통부)

지난해 전국 주택 경기가 2023년 대비 소폭 회복한 것으로 나타났다. 인허가 물량은 2023년과 비슷했고, 착공과 분양, 준공 물량은 전년 대비 증가했다. 전국 주택 거래량 역시 전년 대비 약 16% 늘었다.

5일 국토교통부가 발표한 ‘2024년 12월 주택통계’에 따르면 주택 공급지표 중 전국의 주택 인허가 물량은 지난해 누계(1~12월) 42만8244가구로 전년 동기 대비 0.1% 감소했다. 다만 지난해 12월만 보면 전월 대비 447.3% 증가한 15만5123가구로 나타났다.

주택 착공은 지난해 누적 30만5331가구로 전년 동기 대비 26.1% 증가했다. 아파트 착공 물량은 전년 대비 36.0% 증가한 27만1514가구, 비아파트는 같은 기간 20.6% 줄어든 3만3817가구였다.

지난해 분양 물량은 총 23만1048가구로 전년 동기 대비 20.1% 증가했다. 수도권(전년 대비 13.5% 증가)과 지방(29.7% 증가) 모두 분양 물량이 늘었다. 준공 물량 역시 지난해에는 2023년 대비 3.2% 증가한 44만9835가구로 집계됐다.

지난해 전국 주택 거래량(신고일 기준)은 64만2576건으로 2023년 대비 15.8% 증가했다. 수도권(27.0%)과 지방(7.1%) 모두 전년 대비 거래량이 늘었다. 지난해 서울 주택 거래 중 아파트 거래는 5만8282건으로 전년 대비 59.9% 증가했다. 지난해 주택 전월세 거래량(신고일 기준)은 266만 건 규모로 지난해보다 2.0% 줄었다.

미분양 주택은 지난해 12월 말 기준 전국에서 7만173가구로 집계됐다. 이는 전월 대비 7.7%(5027가구) 증가한 규모다. 수도권에선 2503가구, 지방에선 2524가구가 각각 늘었다. 준공 후 미분양 물량은 2만1480가구로 전월 대비 15.2% 증가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단독 삼성전자, 차세대 RGB 마이크로 LED TV 연내 출시한다
  • 단독 금융당국 ‘스왑뱅크’ 논의 본격화…주금공 유력 검토
  • [날씨] 입춘 지나도 이어지는 살얼음 추위…전북ㆍ제주선 폭설
  • 이재용·올트먼·손정의 회동 마쳤다…스타게이트 참여에 ‘촉각’
  • 오늘(5일) 롤 패치 업데이트 서버 점검 실시…언제까지?
  • "예상보다 빠르고 깊은 캐즘" 공급과잉 시달리는 배터리 핵심광물
  • "투자도 잘하네"…'피겨 퀸' 김연아가 사는 마크힐스는 [왁자집껄]
  • '세기의 사랑' 앗아간 사망까지…독감만큼 무서운 '이것' [이슈크래커]
  • 오늘의 상승종목

  • 02.04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54,149,000
    • -2.57%
    • 이더리움
    • 4,310,000
    • -4.18%
    • 비트코인 캐시
    • 519,500
    • -6.31%
    • 리플
    • 3,996
    • -5.13%
    • 솔라나
    • 326,000
    • -3.41%
    • 에이다
    • 1,172
    • -7.5%
    • 이오스
    • 969
    • -3.87%
    • 트론
    • 354
    • -1.12%
    • 스텔라루멘
    • 538
    • -6.92%
    • 비트코인에스브이
    • 64,750
    • -3.86%
    • 체인링크
    • 31,560
    • -6.52%
    • 샌드박스
    • 633
    • -6.22%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