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국 텅스텐 관련 소재 수출 통제
구글엔 반독점 조사·캘빈클라인 모기업은 제재 명단에
중국이 4일 미국에서 수입하는 석탄과 액화천연가스(LNG) 등 일부 품목에 추가 관세 부과하고, 구글을 반독점 위반 혐의로 조사에 착수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가 4일 중국산 모든 제품에 10% 추가 관세를 예정대로 발효하자 사실상 맞불 작전에 나선 것으로 풀이된다.
블룸버그통신 등에 따르면 트럼프 행정부는 이날부터 중국산 모든 수입품에 10% 추가 관세를 부과한다. 캐나다와 멕시코와는 전날 별도로 협의해 관세 부과 조치를 1개월 연기하기로 합의했지만, 중국에 대해서는 이날 새벽 0시 1분에 예정대로 추가 관세를 부과하기로 한 것이다.
이에 중국 정부는 같은 날 미국에서 수입하는 석탄과 LNG에는 15%, 원유와 농기계, 대형차 등에 10% 추가 관세를 부과하는 방안을 발표했다. 추가 관세 부과는 오는 10일 발효된다. 이와 함께 텅스텐 관련 소재에 대한 수출 통제 조치도 함께 내려졌다. 사실상 트럼프 정부의 추가 관세에 대한 보복 조치로 풀이된다.
이와 별개로 중국 국가시장감독관리총국은 성명을 내고 미국 대표 빅테크인 구글을 반독점 혐의로 조사할 것이라고 밝혔다. 또한 중국 정부가 처벌 조처를 내릴 수 있는 ‘신뢰할 수 없는 기업명단’에 의류 브랜드 캘빈클라인을 보유한 PVH코퍼레이션과 바이오테크 기업인 일루미나(Illumina)를 올렸다.
일루미나는 최근 인공지능(AI)와 관련해 엔비디아와 파트너십을 맺은 유전자 시퀀싱 회사다. 해당 명단에 오르게 되면 중국 당국은 중국 내 판매와 영업, 투자 등을 제한하거나 금지할 수 있으며, 벌금을 부과할 수도 있다.
블룸버그는 “중국의 맞대응이 미국처럼 광범위하지는 않지만, 중국의 이번 조치는 전문가들은 생각했던 만큼 지도부가 맞대응에 나서는 것을 꺼리지 않는다는 것을 보여준다”고 짚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