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 신정부 출범에 조선 웃고 반도체·자동차 울고…정부 "산업별 대응"

입력 2025-02-05 10:30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최 권한대행, 반도체·배터리·조선·자동차·철강 등 5대 협회와 대응방향 모색
배터리·철강은 우려와 기회 상존…협회 중심 모니터링 강화

▲최상목 대통령 권한대행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4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국무회의를 주재하며 발언하고 있다.  (연합뉴스)
▲최상목 대통령 권한대행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4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국무회의를 주재하며 발언하고 있다. (연합뉴스)

도널드 트럼프 미국 신정부 출범으로 우리 조선 산업은 수주 확대가 예상되는 등 성장이 기대되지만, 반도체와 자동차 산업은 관세 부과에 따른 수요 둔화 및 수출 통제 등으로 가시밭길이 예고된다. 배터리와 철강 산업 역시 위협요인이 적지 않지만 기회요인도 상존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최상목 대통령 권한대행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5일 정부서울청사에서 국정현안관계장관회의 겸 경제관계장관회의 겸 산업경쟁력강화 관계장관회의를 열고, 미 신정부 출범에 따른 반도체·배터리·조선·자동차·철강 산업별 영향과 대응방향을 논의했다.

이날 회의에는 반도체산업협회와 배터리산업협회, 조선해양플랜트협회, 자동차협회, 철강협회 등이 자리했다.

▲HD한국조선해양이 지난해 인도한 초대형 액화천연가스(LNG) 이중연료 추진 컨테이너 운반선의 시운전 모습. (사진제공=HD한국조선해양)
▲HD한국조선해양이 지난해 인도한 초대형 액화천연가스(LNG) 이중연료 추진 컨테이너 운반선의 시운전 모습. (사진제공=HD한국조선해양)

먼저, 조선 산업을 보면 지난해 1098만CGT(표준선 환산톤수)를 수주했으며, 현재 수주 잔량은 3716만CGT로 약 4년치 일감을 확보한 상태다.

우리 기업은 중국의 공격적 수주에 대응해 고부가선 위주의 선별수주 전략을 유지하고 있지만, 고부가, 저탄소 선박 등 주력 선종 분야에서 중국과 격차가 축소되며 기술경쟁이 본격화하고 있다.

기대되는 점은 미국 신정부 출범으로 미 해양 경쟁력 강화에 따라 수익성 높은 전투함의 유지보수운영(MRO·Maintenance Repair and Operation) 수주 확대 및 신조 수주 가능성이 예상된다.

이에 정부의 범부처 협의체를 통한 전방위적 협력에 발맞춰 한-미 조선협력의 효율적 대응을 위한 민·관 협의체를 구성해야 하며 정부는 이를 지원한다는 계획이다.

반도체의 경우 대중 고율 관세 및 보편 관세 등 관세 인상은 정보기술(IT) 완제품의 가격 인상으로 이어져 글로벌 수요 둔화가 예상된다. 특히 '딥시크' 인공지능(AI) 모델 출시를 계기로 중국 견제를 위해 저사양 AI 칩 등 레거시 칩과 장비로 수출통제가 확대될 가능성이 크다.

이에 정부는 미국 정부, 의회 및 업계와의 소통을 강화하여 양국 산업의 안정적인 협력 관계 유지 및 미국 내 한국 산업에 대한 긍정적 인식을 높이는 것이 중요하다고 판단, 협회를 중심으로 미 주요 기관과의 교류를 통한 상황 모니터링, 각종 조치 사전 효과 분석 등 적극적으로 대응한다는 방침이다.

▲울산 북구 현대자동차 울산공장 야적장에 차량들이 출고를 기다리고 있다. (뉴시스)
▲울산 북구 현대자동차 울산공장 야적장에 차량들이 출고를 기다리고 있다. (뉴시스)

자동차 산업은 무역적자 개선, 제조업 및 일자리 확대 등을 위해 관세 부과 중심 보호무역주의 정책 가능성으로 전망이 밝지 않다. 미국의 보편관세 도입 시 50%를 넘는 한국의 높은 대미 수출 편중도로 수출물량 유지에 차질을 빚고 수익성이 악화될 우려가 크다.

또한 멕시코산 관세 부과 시 현지 공장 대미 완성차 수출 감소·수익성 악화 및 부품공급 차질로 미국 내 완성차 가격경쟁력 하락도 예상된다. 특히 인플레이셔감축법(IRA) 정책 폐기·축소로 전기차 보조금 폐지 가능성이 예상돼 미 현지투자를 이미 시행한 완성차·배터리 기업의 기대수익 감소도 우려스럽다.

정부는 대미 투자 확대 등 현지화 노력을 강화하고 아세안 등 타지역으로 투자·수출을 다변화해 위기를 돌파한다는 계획이다. 또한, 전문가 TF를 구성해 시나리오별 상황에 선제 대응하고, 대미 자동차 무역수지 흑자국의 자동차협회들과 협력한다. 이와 함께 멕시코산 관세부과 관련 생산지 변경, 판로 확대 등 해당국·글로벌 위탁생산(OEM)들의 대응과정을 모니터링해 대응할 예정이다.

▲LG에너지솔루션 전력망용 에너지저장장치(ESS) 배터리 컨테이너 제품. (사진제공=LG에너지솔루션)
▲LG에너지솔루션 전력망용 에너지저장장치(ESS) 배터리 컨테이너 제품. (사진제공=LG에너지솔루션)

배터리와 철강 산업은 우려와 기대가 상존한다.

배터리 산업은 트럼프 2기의 통상·안보 정책에 따라 위협 요인도 있지만, 미국 현지에 생산 체제를 구축 중인 우리 업계에게는 기회가 될 수 있다.

중국산 배터리 제품 관세 인상 시 우리 업계의 가격경쟁력이 올라가고, 중국 공급망을 대체할 수 있는 핵심 역할로 부상할 수 있다는 기대다.

다만, 미국의 대중 견제 시 핵심광물에 대한 수출통제 강화로 흑연 등 대중국 공급망 탈피가 어려운 품목의 수급 차질은 우려된다.

정부는 협회와 배터리 3사 중심으로 대미 아웃리치 활동 전개하고, 미 행정부와 의회에 영향력 있는 전문가를 섭외해 한미 배터리 동맹 필요성 등을 담은 분석보고서 발간하는 등 한미 배터리 협력 중요성을 전파한다는 계획이다.

철강의 경우 철강 수입 장벽 강화 정책 시행 시 공급망 차질 우려되며 한국에 부여한 연간 263만 톤 무관세 쿼터 축소 시 현지에 있는 현대기아차, 삼성, LG 기업에 대한 소재 공급에 차질이 예상된다.

다만, 캐나다와 멕시코 등 주요 수입국 대상으로 관세가 부과될 경우 미국 내수 및 수입 가격 상승으로 이어져 대미 수출을 통한 수익 향상이 기대된다.

정부는 협회와 업계, 전문가 등과 민관 TF를 운영 중으로 철강 수요산업별 행정명령을 분석해 한국 철강제품의 미 제조업 부흥을 위한 기여방안 논리 등을 담은 대응전략을 수립한다.

또한, 상반기 대미 아웃리치를 추진하고 국내 생태계 강화를 위한 제도 및 정책 발굴도 실시한다.

최 권한대행은 "미국 신정부의 관세정책, 중국 기업의 딥시크 출시 등 우리 경제에 상당한 영향을 미치는 변수가 계속 등장하고 있어 우리 산업을 둘러싼 방정식이 점차 복잡해지고 있다"라며 "이에 대응해 정부 차원의 지원도 아낌없이, 속도감 있게 추진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이어 "우리 산업의 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한 노력은 국회의 협조가 뒷받침돼야만 결실을 거둘 수 있다"라며 "업계가 필요로 하는 '반도체특별법'과 전력‧에너지 관련 법안을 조속히 처리해 주길 다시 한번 요청한다"고 덧붙였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단독 삼성전자, 차세대 RGB 마이크로 LED TV 연내 출시한다
  • 단독 금융당국 ‘스왑뱅크’ 논의 본격화…주금공 유력 검토
  • [날씨] 입춘 지나도 이어지는 살얼음 추위…전북ㆍ제주선 폭설
  • 이재용·올트먼·손정의 회동 마쳤다…스타게이트 참여에 ‘촉각’
  • 오늘(5일) 롤 패치 업데이트 서버 점검 실시…언제까지?
  • "예상보다 빠르고 깊은 캐즘" 공급과잉 시달리는 배터리 핵심광물
  • "투자도 잘하네"…'피겨 퀸' 김연아가 사는 마크힐스는 [왁자집껄]
  • '세기의 사랑' 앗아간 사망까지…독감만큼 무서운 '이것' [이슈크래커]
  • 오늘의 상승종목

  • 02.05 12:55 실시간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53,394,000
    • -2.17%
    • 이더리움
    • 4,261,000
    • -2.38%
    • 비트코인 캐시
    • 520,000
    • -2.44%
    • 리플
    • 3,918
    • -7.2%
    • 솔라나
    • 324,500
    • -3.02%
    • 에이다
    • 1,178
    • -4.23%
    • 이오스
    • 965
    • -0.52%
    • 트론
    • 352
    • +0%
    • 스텔라루멘
    • 535
    • -5.14%
    • 비트코인에스브이
    • 64,200
    • -2.21%
    • 체인링크
    • 31,270
    • -3.61%
    • 샌드박스
    • 627
    • -3.98%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