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저탄소 설비 전환 섬유 기업에 최대 1억 원 지원

입력 2025-02-05 11:00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섬유소재 공정 저탄소화 기반조성사업' 공고

▲'섬유소재 공정 저탄소화 기반조성사업' 주요 지원 설비. (자료제공=산업통상자원부)
▲'섬유소재 공정 저탄소화 기반조성사업' 주요 지원 설비. (자료제공=산업통상자원부)

정부가 탄소 다배출 노후설비 교체를 희망하는 섬유 기업에 최대 1억 원의 전환 자금을 지원한다.

산업통상자원부는 6일부터 국내 섬유업계의 저탄소 전환을 촉진하기 위한 '2025년도 섬유소재 공정 저탄소화 기반조성사업'의 참여기업을 모집한다고 5일 밝혔다.

섬유산업은 철강, 석유화학, 시멘트 등과 함께 탄소 배출이 많은 업종으로 원단제조 및 염색 과정에서 전체 공정의 절반 이상 탄소가 배출된다.

특히 국내 섬유업계는 10인 미만 영세기업 비중 88.6%로 대다수를 차지해 저탄소 전환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이에 산업부는 지난해부터 저전력모터, 폐수열교환기 등 저탄소설비 교체를 지원하고 있다.

유럽연합(EU)은 섬유제품에 대해 2027년부터 디지털제품여권(DPP·DigitalProduct Passport) 규제를 도입한다. 글로벌 섬유·패션 바이어들도 공급망 기업에 대한 탄소 산정·감축 요구를 강화하고 있다. 정부는 이에 대응하기 위해 올해부터 전력량계, 유량계 등 에너지 사용량을 측정하기 위한 설비까지 지원 범위를 확대한다.

산업부는 이번 사업을 통해 중소·중견기업은 70%, 대기업은 50%까지 설치비용을 지원할 예정이다. 올해 22개사 이상을 지원해 온실가스 8932톤을 저감한다는 목표다.

선정된 업체는 탄소감축 전문가 컨설팅을 받을 수 있고, 탄소감축효과가 상위 30%에 해당하는 경우 '탄소감축 확인서'도 발급받는다.

자세한 내용은 산업부 홈페이지(www.motie.go.kr)와 한국섬유수출입협회(www.textra.or.kr)에서 확인할 수 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단독 삼성전자, 차세대 RGB 마이크로 LED TV 연내 출시한다
  • 취업만 되면 어디든 다니겠다는 취준생들…"원하는 연봉은 3400만 원" [데이터클립]
  • "밴댕이 소갈딱지"…속 좁은 그 생선을 아시나요? [레저로그인]
  • 불확실성 커지는 요즘…금테크로 안전자산 투자해볼까 [경제한줌]
  • “시계 부품회사에서 로봇까지”... 엡손 84년간 ‘성공 신화’ 살펴보니 [르포]
  • 넷플릭스 ‘중증외상센터’는 허구일까? [해시태그]
  • "1년 동안 기다렸는데"…'파피 플레이타임 4', 혹평 쏟아진 '진짜 이유' [이슈크래커]
  • 트럼프, 시진핑과 통화 무산...관세전쟁 장기화 조짐에 ‘트럼플레이션’ 위기감
  • 오늘의 상승종목

  • 02.05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53,068,000
    • -1.56%
    • 이더리움
    • 4,371,000
    • +0.71%
    • 비트코인 캐시
    • 525,000
    • +0.86%
    • 리플
    • 3,972
    • -2.53%
    • 솔라나
    • 321,600
    • -1.74%
    • 에이다
    • 1,199
    • +1.78%
    • 이오스
    • 978
    • +4.04%
    • 트론
    • 353
    • +0.86%
    • 스텔라루멘
    • 540
    • -1.64%
    • 비트코인에스브이
    • 64,650
    • +0.08%
    • 체인링크
    • 31,270
    • -2.8%
    • 샌드박스
    • 640
    • +0.95%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