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친윤 간택 받자?”...여권 잠룡 조직표 쟁탈전

입력 2025-02-05 15:43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홍준표, ‘원조 친윤계’ 소통 늘려
오세훈 토론회 집결하는 지도부
친윤계, 당내 경선서 중요 역할
한동훈, 친한계 모으며 등판 임박

▲오세훈 서울시장(왼쪽)과 홍준표 대구광역시장이 6일 강원도청에서 열린 '8회 중앙지방협력회의'에 참석해 회의 시작 전 대화하고 있다. 2024.11.6. (연합뉴스)
▲오세훈 서울시장(왼쪽)과 홍준표 대구광역시장이 6일 강원도청에서 열린 '8회 중앙지방협력회의'에 참석해 회의 시작 전 대화하고 있다. 2024.11.6. (연합뉴스)

설 연휴 이후 국민의힘 대권 주자들의 움직임이 빨라졌다. 당 지도부는 조기대선 가능성에 선을 긋고 있지만, “탄핵이 선고된 뒤 대선 준비에 돌입하면 늦다”는 주장이 힘을 받으면서다. “당내 경선에서 이기려면 친윤(친윤석열)계 의원들을 잡아야 한다”는 말이 심심찮게 들리면서 물밑 쟁탈전에 돌입했다는 해석이 나온다.

5일 본지 취재를 종합하면 여당 대권 주자들은 당내 의원들과 접점을 넓히는 중이다. 홍준표 대구시장은 ‘원조 윤핵관’(윤석열 대통령 핵심 관계자)으로 불렸던 장제원 전 국민의힘 의원과 적극적으로 소통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홍 시장 측에 따르면 장 의원은 홍 시장이 자유한국당(국민의힘 전신) 대표였던 시기 수석대변인을 맡는 등 인연이 깊은 것으로 전해졌다.

국민의힘 관계자는 “원조 친윤인 장 전 의원이 움직이는 모습을 보이면 다른 친윤계 의원들도 동요할 것”이라고 말했다. 최근 여권에선 대권 주자별로 지원하는 의원들 명단이 돌기도 했다. 일각에선 ‘신(新)친윤’으로 떠올랐던 박성민 의원 등의 선택이 중요할 것이란 말까지 나왔다.

오세훈 서울시장은 다음 주인 12일 국회를 찾아 ‘87체제 극복을 위한 지방분권 개헌 토론회’를 연다. 친윤계 중진인 윤재옥 의원이 개회사를 맡았다. 권영세 비상대책위원장을 비롯해 권성동 원내대표, 김상훈 정책위의장, 이양수 사무총장 등 당 지도부도 참석한다. 2000년 한나라당(국민의힘 전신)에 입당해 줄곧 당을 지켰던 오 시장은 당내 의원들과 친분이 두터운 것으로 알려져 있다.

현재 국민의힘은 대구·경북(TK)과 부산·울산·경남(PK)에 지역구를 둔 친윤계 의원들이 다수를 차지하고 있다. 친윤계를 등에 업은 후보가 전통적 지지층이 몰린 ‘영남권 조직표’를 얻을 가능성이 크다. 지난달 6일 윤석열 대통령 체포영장 집행 당시 44명의 의원이 대통령 관저 앞에 집결하면서 세를 과시하기도 했다.

▲한동훈 국민의힘 전 대표(왼쪽), 진종오 국민의힘 의원. 진 의원 페이스북 캡쳐.
▲한동훈 국민의힘 전 대표(왼쪽), 진종오 국민의힘 의원. 진 의원 페이스북 캡쳐.

반면 한동훈 전 대표 측은 비상대책위원장과 대표 시절 친분을 쌓았던 친한(친한동훈)계 의원들과 교류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친한계 김상욱 의원은 4일 CBS 라디오에 나와 “조직이 와해됐다고 생각하지 않는다”며 “다들 열심히 또 움직이고 소통하고 있다”고 했다. 원·내외 10명 이상의 인사들이 소통하고 있다고도 밝혔다. 한 친한계 인사는 “저희도 의원들과 소통하며 재등판 준비를 하고 있다”며 “2월 말부터는 움직임이 있을 것”이라고 전했다.

정치권의 또 다른 관심사는 조기대선이 열린다면 시행될 당내 경선 룰이다. 국민의힘 출신 신인규 변호사는 3일 YTN 라디오에서 “지금까지 국민의힘은 한동훈 대표 선출을 제외하고는 모든 게 당심 위주로 진행됐다”라면서 “(경선룰이) 당심으로 갈 가능성이 매우 높다고 본다”고 말했다. 여권 관계자도 “이번에는 당심 비율이 더 높게 반영되지 않을까 싶다”라고 관측했다. 지난 대선 때 국민의힘 대선 경선룰은 당심 50%, 민심 50%였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단독 삼성전자, 차세대 RGB 마이크로 LED TV 연내 출시한다
  • 취업만 되면 어디든 다니겠다는 취준생들…"원하는 연봉은 3400만 원" [데이터클립]
  • "밴댕이 소갈딱지"…속 좁은 그 생선을 아시나요? [레저로그인]
  • 불확실성 커지는 요즘…금테크로 안전자산 투자해볼까 [경제한줌]
  • “시계 부품회사에서 로봇까지”... 엡손 84년간 ‘성공 신화’ 살펴보니 [르포]
  • 넷플릭스 ‘중증외상센터’는 허구일까? [해시태그]
  • "1년 동안 기다렸는데"…'파피 플레이타임 4', 혹평 쏟아진 '진짜 이유' [이슈크래커]
  • 트럼프, 시진핑과 통화 무산...관세전쟁 장기화 조짐에 ‘트럼플레이션’ 위기감
  • 오늘의 상승종목

  • 02.05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53,402,000
    • -0.89%
    • 이더리움
    • 4,378,000
    • +0.18%
    • 비트코인 캐시
    • 523,000
    • +0.1%
    • 리플
    • 3,946
    • -3.17%
    • 솔라나
    • 320,100
    • -2.97%
    • 에이다
    • 1,200
    • +1.69%
    • 이오스
    • 959
    • +1.37%
    • 트론
    • 352
    • +0.86%
    • 스텔라루멘
    • 535
    • -2.01%
    • 비트코인에스브이
    • 64,550
    • -0.62%
    • 체인링크
    • 31,090
    • -2.36%
    • 샌드박스
    • 641
    • +0.79%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