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헌재 대한 국민 불신 확산…尹 탄핵 심판 불공정 비판"
권영세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장은 6일 "반도체 특별법과 국가기간 전력망 확충법을 비롯한 '미래 먹거리 4법'을 2월 국회에서 반드시 통과시켜야 한다"고 강조했다. '미래 먹거리 4법'은 두 법안을 포함해 고준위방폐장법, 해상풍력법 등 4개의 법안을 말한다.
권 비대위원장은 이날 국회에서 열린 비상대책위원회의에서 "대한민국이 AI 3대 강국으로 나아가려면 위기와 기회가 교차하는 지금이 그 어느 때보다 중요하다"며 이같이 말했다.
그는 "어제 우리 당 비대위는 경제활력 민생특위, AI 3대 강국 도약 특위와 함께 전력 인프라 현장을 둘러보고 전문가 간담회를 가졌다"며 "전력 없이는 AI 혁명도 없고 나아가 대한민국의 미래 먹거리도 없다는 말을 실감할 수 있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국가의 모든 자원을 총동원해서 한 걸음이라도 앞서가야 한다"고 했다.
권 비대위원장은 "이틀 전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이 샘 올트먼 오픈 AI CEO, 손정의 소프트뱅크 그룹 회장과 회동해서 한·미·일 AI 삼각 동맹을 맺었다"며 "이처럼 기업들이 앞장서고 있는데 정치가 발목을 잡아서는 안 된다. 야당의 대승적이고 초당적인 협력을 촉구한다"고 밝혔다.
권 비대위원장은 "헌법재판소에 대한 국민 불신이 확대되고 있다"며 "주권자의 뜻을 어기고 새로운 헌법 분쟁을 만들어내고 있는 건 다른 누구도 아닌 헌재임을 깨달아야 한다"고 비판했다.
그는 "1월 31일 국회 국민동의청원에 접수된 문형배 헌재소장 권한대행 탄핵안은 이틀 만에 5만 명 동의를 넘겨 법제사법위원회에 정식 회부됐고 오늘 아침까지 청원 동의 국민이 10만 명을 넘었다"고 말했다. 최근 여론조사 결과를 들어 "가장 신뢰받아야 할 헌재를 국민 절반이 불공정하다고 생각한다"고도 지적했다.
이어 "무엇보다 대통령 탄핵 심판 일정을 누가 봐도 무리하게 밀어붙이고 있고, 대통령 변호인단의 증인·증거 신청은 대거 묵살하고 증인 신문 시간도 과도하게 제한하는 등 심리 진행이 불공정하고 편파적이라는 비판을 받는다"고 주장했다.
권 비대위원장은 또 "전체 판사의 10%도 되지 않는 우리법연구회 출신이 이미 헌법재판관 8명 가운데 3명을 차지하고 있는데, 또 우리법연구회 출신 마 후보자 임명을 강행하려 한 것"이라며 "이러니 국민이 믿을 수 있겠나"라고 꼬집었다.
아울러 "한덕수 권한대행에 대한 탄핵 심판이 기각되면 최상목 권한대행이 마 후보자 임명을 보류한 것에 대해서는 판단할 이유 자체가 사라지게 된다"며 "어느 재판이 더 시급하고 중요한지 뻔히 알 수 있는데 헌재는 이를 철저히 외면하고 있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