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대 정시 합격자 5명 중 1명은 삼수 이상...10년새 가장 많아

입력 2025-02-07 11:17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재학생 합격자는 40.3%...전년 대비 소폭 늘어

(뉴시스)
(뉴시스)

올해 서울대 정시 합격자 중 삼수 이상 합격자는 21.0%로 최근 10년 새 가장 많았던 것으로 나타났다. N수생은 전체 10명 중 6명 수준이었다.

7일 종로학원에 따르면 2025학년도 서울대 정시 합격생 중 삼수 이상 합격자는 330명(21.0%)으로 2016학년도 이후 최고치를 기록했다.

삼수 이상 정시 합격자 수가 늘어난 것은 의대 입시를 겨냥한 삼수 이상 수험생이 많이 늘어났기 때문인 것으로 추정된다.

임성호 종로학원 대표는 “의대 모집정원 확대로 수능 고득점 반수생, 의대 재학 중인 학생들의 상위권 의대에 재도전하는 경우 증가 등이 영향을 미친 것”이라고 설명했다.

재수생은 전체 36.4%에 해당하는 571명으로 지난해(40.4%, 624명)보다 8.5%(53명) 줄었다. 전체 N수 합격생은 901명으로 57.4%로 집계돼 전년도(922명, 59.7%)보다는 소폭 하락했다.

재학생 합격자는 633명으로 전체의 40.3%였다. 이는 지난해 589명(38.1%)보다 44명(7.5%) 늘어난 규모다.

임 대표는 재학생 합격자가 늘고 재수생은 줄어든 이유에 대해 “의대 증원, 수시 지역인재 전형 대폭 확대, 지난해보다 쉬웠던 수능으로 재학생과 재수생 간 수능 격차가 좁혀진 점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했을 수 있다”며 “재수생들도 학교 내신 상위권의 경우 수시 수능최저등급 확보 등을 통해 수시 지역인재전형 같은 전형에서 합격 인원이 늘었을 수도 있다”고 말했다.

검정고시 합격자는 36명(2.3%)으로 합격자 수 기준으로는 최근 10년 새 최고치를 기록했다. 일반고 합격생은 999명(63.6%)으로 전년도(986명, 63.8%)와 비슷한 수준이었다. 특목자사고 출신은 432명으로 전체 27.5%로 역시 지난해(427명, 27.6%)와 비슷했다.

아울러 서울 소재 학생 합격자는 전체 46.8%(718명)로 전년도(44.7%, 676명)보다 많았던 것으로 나타났다. 서울 소재 합격생 비율이 늘어난 것 또한 의대 증원이 영향을 미친 것으로 풀이된다.

임 대표는 “서울 소재 학생들의 합격이 늘어난 것 또한 지방권 상위권 학생들이 수시 지역인재전형 등에 상당수 합격했던 것이 원인이라고 볼 수 있다”고 밝혔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경쟁국은 자국산업 보호로 바쁜데…기업 옥죌 궁리만 하는 韓 [反기업법, 벼랑끝 제조업]
  • 새벽잠 깨운 충주 지진…"집안 흔들렸다" "한숨도 못 자"
  • 금 사상 최고가 행진에 은행 골드뱅킹 ‘화색’
  • 비트코인, 숨고르기 들어가나…연준 모호한 발언 속 내림세 [Bit코인]
  • 제주공항 오늘 윈드시어 특보…지연·결항 속출
  • ‘이 정도면 짜고 친듯’…식품업계 이번주 잇단 가격 인상 발표, 왜?
  • ‘나솔사계’ 현커 16기 영자ㆍ미스터 배, 살벌한 다툼…결국 제작진까지 투입
  • 구준엽, 故 서희원 사망 심경…"창자가 끊어지는 고통, 유산 권한 장모님께"
  • 오늘의 상승종목

  • 02.07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48,896,000
    • -2.44%
    • 이더리움
    • 4,152,000
    • -6.17%
    • 비트코인 캐시
    • 491,800
    • -5.06%
    • 리플
    • 3,525
    • -7.84%
    • 솔라나
    • 293,800
    • -7%
    • 에이다
    • 1,094
    • -7.83%
    • 이오스
    • 891
    • -6.6%
    • 트론
    • 352
    • +0%
    • 스텔라루멘
    • 492
    • -6.64%
    • 비트코인에스브이
    • 59,250
    • -6.69%
    • 체인링크
    • 28,710
    • -7.09%
    • 샌드박스
    • 577
    • -7.23%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