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게임콘텐츠 제작지원은 글로벌 게임시장을 개척해 나갈 국내 우수 게임의 상용화를 목적으로 △다년도(PC, 콘솔, 크로스플랫폼) △신성장(신기술·모바일·아케이드·보드게임) △기능성(지정, 자유) 부문으로 구성된다. 과제는 총 76개 내외, 지원금 규모는 219억 원이다.
‘다년도 게임콘텐츠 제작지원’은 총 107억 원 규모로 △PC △콘솔 △크로스플랫폼(PC·콘솔) 총 3개 분야로 나뉜다. PC는 과제 당 최대 4억 원, 콘솔은 과제 당 1년차 최대 2억 원, 2년 차 최대 4억 원 규모로 지원하며, 두 부문 모두 출시형 선정 시 과제 당 2억 원을 추가 지원한다. 크로스플랫폼(PC·콘솔)은 대형 프로젝트 게임을 대상으로 최대 8억 원을 지원하고, 다음 연도 출시형 선정 시 최대 4억 원 추가 지원한다.
특히 올해는 게임업계의 현장 의견을 반영해, 실제 콘솔 게임 개발 기간을 고려한 지원 체계로 개편했다. 기존 콘솔분야에서 개발형을 1년 확대함으로써 최대 3년 연속 지원이 가능하도록 개선했으며, ‘플랫폼 전환 및 우수 IP 활용 개발형’ 부문을 도입해 최대 3억 원을 지원하는 등 콘솔 게임의 제작 단계별 지원을 강화했다.
‘신성장 게임콘텐츠 제작지원’은 총 94억 원 규모로 △신기술(AI, VR, AR, 클라우드) △모바일(개발형, 도약형) △아케이드 △보드게임 분야로 구성된다. 신기술은 총 30억 원 규모로 AI, VR, AR 기술을 활용한 게임 대상, 과제당 최대 3억 원을 지원한다. 모바일은 총 52억 원 규모로 개발형 과제당 최대 4억 원을 지원한다. 올해는 서비스 중인 게임을 대상으로 최대 2억 원 지원하는 도약형을 신설했다. 아케이드는 과제당 최대 2억 원 보드게임은 과제당 최대 8000만 원을 지원한다.
‘기능성 게임콘텐츠 제작지원’은 총 18억 원 규모로 게임의 재미와 교육, 예방과 치료 등 사회적 기여가 결합한 게임콘텐츠에 대해 과제당 최대 3억 원을 지원한다. 지정 분야는 사회공헌, 시니어, 장애인, 의료 게임콘텐츠 등이 포함되며 자유 분야는 그 외 다양한 목적의 기능성게임 개발 기업이라면 신청할 수 있다.
이번 제작지원에 선정된 게임콘텐츠는 F.G.T(Focus Group Test) 형식으로 국내외 일반 게임이용자와 전문가의 시연 평가를 진행하고, 오류검출 등 출시 전 품질 검수도 함께 지원하여 개발 게임의 퀄리티를 높일 계획이다.
또한, K-게임 글로벌 경쟁력 강화를 위해 본 제작지원 사업과 함께 핵심 해외게임마켓(차이나조이, 게임스컴, 동경게임쇼)을 중심으로, 게임더하기 사업 및 금융 투·융자 연계를 통해 성공적인 사업화 출시 지원에 힘을 더할 것으로 기대된다.
‘게임콘텐츠 제작지원 사업설명회’는 오는 14일 광화문 CKL기업지원센터에서 열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