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오롱글로벌, 지난해 수주액 4조2000억 달성…“외연 확장 가속”

입력 2025-02-13 13:12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코오롱글로벌 과천 사옥 전경. (사진제공=코오롱글로벌)
▲코오롱글로벌 과천 사옥 전경. (사진제공=코오롱글로벌)

코오롱글로벌은 지난해 건설 부문에서 신규 수주 4조 원을 돌파하면서 역대 최고 수주실적을 달성했다고 13일 밝혔다.

지난해 코오롱글로벌은 건설 경기 불황 속에서도 수주 성과를 대폭 확대했다. 건축 부문 약 2조3000억 원, 인프라 부문 1조9000억 원 등 총 4조2000억 원 규모를 신규 수주했다. 이는 전년 대비 1조 원 이상 증가한 것으로, 지난 2022년 세운 최고 수주액 3조6569억 원도 넘어섰다.

특히 코오롱글로벌은 지난해 1168억 원 규모 부산 하단1구역 마수걸이 수주를 시작으로 도시정비 부문에서만 총 6657억 원의 수주 실적을 쌓았다. 또 서울시 모아타운 1호 사업장인 번동 1~10구역(2060가구)을 시작으로 면목역 3의1~3구역(702가구), 천호 1~2구역(385가구) 등 모아타운 사업도 추진하면서 서울시 내 하늘채 브랜드타운을 확장하고 있다.

산업건설(민간건축 및 플랜트) 등 비주택 부문도 강화했다. 지난해 대한항공 신엔진정비공장, 머크 바이오시설 공사, 정읍바이오매스 발전소 공사 등 비주택 부문에서 2조3000억 원 이상 수주했다. 지난 2021년 8000억 원 수준이었던 비주택 부문 신규 수주 규모와 비교하면 3배 가까이 늘어난 셈이다.

신규 수주에 힘입어 코오롱글로벌의 수주 잔고 역시 최고 기록을 세웠다. 코오롱글로벌의 수주 잔고는 13조8000억 원 수준으로 전년 매출액 기준 5년 치 이상의 일감을 확보했다.

신규 수주 호조, 비주택 강화 등의 영향으로 조직 효율화 및 채용 확대에도 속도를 내고 있다. 지난해 12월 코오롱글로벌은 수주경쟁력 제고에 중점을 두고 하이테크사업실을 신설하고 산업건설 수주와 공사관리 기능을 강화했다.

코오롱글로벌은 민간, 기업, 공공 등 발주처별 성격에 맞춰 조직을 세분화해 정교한 수주 네트워크 시스템을 구축한다는 전략이다.

코오롱글로벌 관계자는 “지난해 힘든 여건 속에서도 도시정비, 비주택 등 다양한 부문에서 양질의 신규 수주를 이뤄냈다”며 “역대 최대 수주잔고를 바탕으로 안정적인 매출 확보 및 지속 성장을 이어갈 것”이라고 말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이젠 자유로운 부동산 파티?!"…토지거래허가구역 해제, 왜? [왁자집껄]
  • 중세의 낭만은 빼고 현실감은 가득 채운 오픈 월드 RPG ‘킹덤컴:딜리버런스2’ [딥인더게임]
  • '나솔' 24기 영식, "나는 옥순바라기"…역대급 돌진에 시청자도 경악 "레전드"
  • 尹측 "중대 결심" 마지막 변론서 재판부에 경고…尹 직접 신문은 제지
  • "아이브ㆍ라이즈 동생 그룹이 벌써?"…엔터 업계 '카니발 효과'가 뭐길래 [이슈크래커]
  • 비트코인, 미 증시 하락에도 상승…"ETF 승인 기대감 유효" [Bit코인]
  • "장원영 조문 요청, 강요 아닌 부탁…아빠의 마음이었다"
  • 모두 지드래곤이 되면 좋겠지만…아이돌이 론칭한 브랜드, 결말은? [솔드아웃]
  • 오늘의 상승종목

  • 02.13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45,441,000
    • -0.09%
    • 이더리움
    • 4,058,000
    • +2.29%
    • 비트코인 캐시
    • 505,000
    • +0.8%
    • 리플
    • 3,701
    • +1.23%
    • 솔라나
    • 292,300
    • -1.78%
    • 에이다
    • 1,182
    • +0.08%
    • 이오스
    • 975
    • +1.99%
    • 트론
    • 364
    • -0.82%
    • 스텔라루멘
    • 494
    • +2.92%
    • 비트코인에스브이
    • 59,450
    • +0.08%
    • 체인링크
    • 28,440
    • +1.39%
    • 샌드박스
    • 593
    • +2.24%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