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 관세 전쟁, 인플레이션보다 ‘경제 성장 감소’ 2차적 파급효과 우려”

입력 2025-02-14 08:07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10일(현지시간) 행정명령에 서명하고 있다. 워싱턴D.C./UPI연합뉴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10일(현지시간) 행정명령에 서명하고 있다. 워싱턴D.C./UPI연합뉴스

미국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전쟁 시작으로 인플레이션 재부각 우려가 커지는 가운데 일방관세가 아닌 대칭적 보복관세 전쟁으로 퍼질 가능성이 제기됐다.

14일 iM증권은 "보복관세 전쟁이 캐나다, 멕시코 등으로 확산될 경우 성장과 물가의 반응은 더욱 확대될 수 있다"며 이같이 밝혔다.

일방관세 부과는 미국 내 소비자와 생산자가 지불하는 가격의 인플레이션 유발하지만, 미국 무역수지는 흑자 전환되며 미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의 통화긴축 여건이 마련될 수 있다.

반면 대칭적 보복관세는 글로벌 무역수요 감소로 인플레이션 확대와 산출량 감소를 동시에 유발한다. 이 경우 통화정책은 긴축(인플레 완화)과 완화(산출량·고용에 미치는 부정적 영향 감소) 사이의 딜레마에 봉착하게 된다.

김명실 iM증권 연구원은 "트럼프는 이미 관세로 전 세계를 위협 중이며 정도가 심화할수록 교역국 정부도 즉각적으로 보복에 나설 것이다. 이는 향후 미국 관세 및 보복 물결은 소비자 비용을 증가시키는 것과 동시에 경제 성장 감소, 수출 부문 위축, 공급망 중단과 같은 2차적 파급효과를 가져올 수 있다"고 짚었다.

iM증권에 따르면 미국이 10% 보편관세 부과하고, 글로벌 국가의 10% 보복관세가 시행될 경우 글로벌 성장률 0.8%p(포인트) 내외 감소가 예상된다. 중국 60% 관세 부과, 중국의 60% 보복관세 시행 시 성장률 감소폭은 1.7%p 내외로 확대될 것으로 관측된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전쟁 끝나가는데…현대차, 14만원에 판 ‘러 공장’ 어쩌나
  • 美 증시 상승에도 웃지 못한 비트코인…약세 국면 진입 [Bit코인]
  • 티웨이, 대명소노 품에 안기나…긴장감 높아지는 항공업계
  • 故 김새론, 오늘(19일) 발인…유족ㆍ친구 눈물 속 영면
  • “中 반도체 굴기, 한국 턱밑까지 쫓아왔다” [반도체 ‘린치핀’ 韓의 위기]
  • 소상공인 카페 매출 10% 급감 vs 스타벅스 사상 최대 실적 [소비재 시장 양극화]
  • [상보] 우크라 종전 가속화…트럼프 “아마도 이달 내 푸틴 만날 것”
  • 이하늬 60억 냈는데…연예계 세무조사, '먼지 하나' 안 나온 사람은? [이슈크래커]
  • 오늘의 상승종목

  • 02.19 09:53 실시간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43,432,000
    • -0.41%
    • 이더리움
    • 4,018,000
    • -2.19%
    • 비트코인 캐시
    • 474,600
    • -2.39%
    • 리플
    • 3,826
    • -3.87%
    • 솔라나
    • 254,600
    • -4.47%
    • 에이다
    • 1,131
    • -5.36%
    • 이오스
    • 924
    • -3.14%
    • 트론
    • 364
    • +1.39%
    • 스텔라루멘
    • 488
    • -2.4%
    • 비트코인에스브이
    • 56,200
    • -5.07%
    • 체인링크
    • 26,740
    • -6.08%
    • 샌드박스
    • 536
    • -9%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