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경수 “한 번의 선언으로 민주당 정체성 바꿀 수 없다”

입력 2025-02-19 16:44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김경수 전 경남도지사가 13일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와의 회동에서 발언하고 있다. 사진=고이란 기자 photoeran@
▲김경수 전 경남도지사가 13일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와의 회동에서 발언하고 있다. 사진=고이란 기자 photoeran@

친노(친노무현)·친문(친문재인) 적자이자 대권 잠룡인 김경수 전 경남도지사가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를 겨냥해 “민주당의 정체성을 하루 아침에 바꿀 수는 없다”고 했다.

김 전 지사는 19일 오후 자신의 SNS에 “탄핵 이후 민주당이 만들어 나갈 대한민국이 어떤 방향으로 나아가야 할지에 대해선 당내외의 폭넓은 합의가 있어야 한다”고 글을 올렸다.

앞서 이재명 대표는 전날(18일) 야권 성향의 유튜브 ‘새날’에 출연해 “우리는 진보가 아니라, 사실 중도·보수 정도의 포지션을 실제로 갖고 있다”며 “진보 진영은 새롭게 구축돼야 한다”고 주장한 바 있는데, 이 같은 발언을 겨냥한 것으로 보인다.

김 전 지사는 “저는 이미 이 대표와의 지난 만남에서 당의 정체성과 관련한 중요한 의사결정은 당내 민주적 절차를 밟아야 한다고 말씀드렸다”며 “한 번의 선언으로 민주당의 정체성을 바꿀 수는 없다”고 했다.

그는 “우리 민주당에 대해 김대중 대통령은 ‘중산층과 서민을 위한 중도개혁정당’이라고 했고, 노무현 대통령이 서거 직전까지 붙들고 있었고 그 고민을 담아 미완성으로 세상에 나오게 된 책이 ‘진보의 미래’”라고 했다.

이어 “우리는 중산층과 서민을 위한 유능한 민주개혁 정당이 되기 위해 노력해왔다. 강령에도 ‘정의로운 나라’, ‘사회경제적 양극화와 불평등을 극복하는 통합 국가’를 지향하고 있다. 민주당은 늘 경제적·사회적 약자와 함께하는 정당이기도 했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탄핵과 조기 대선을 코 앞에 두고, 지금 보수냐, 진보냐 나누고 이념논쟁을 하는 것이 적절한지 의문이 든다”며 “유럽의 보수정당이 취하는 정책이 우리나라에서는 대단히 진보적인 정책이 되는 것이 현실이다. 진보, 보수의 구분은 시기와 장소에 따라 상대적인 것”이라고 했다.

김 전 지사는 “이제는 이런 이념 논쟁에서 벗어나야 한다”며 “우리 당의 정체성을 지키면서 중도보수층 국민들의 지지까지 끌어안을 수 있는 그런 유능한 민주당이 되어야 할 것”이라고 부연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안전자산에 '뭉칫돈'…요구불예금 회전율 5년 만에 최고
  • ‘항암백신’ 연구개발 성과 내는 국내 바이오 업계
  • 김동선의 한화, 8700억 자금조달 난관...아워홈 인수 차질 없나
  • 그래미상 싹쓸이한 켄드릭 라마…'외힙 원탑'의 클래식카 컬렉션 [셀럽의카]
  • 기약 없는 ‘반도체 특별법’…“골든타임 놓치면 미래 없다” [반도체 ‘린치핀’ 韓의 위기]
  • ‘나솔사계’ 22기 옥순·경수, 2세 언급에 얼어붙은 분위기…17기 현숙·상철 근황은?
  • ○○법사ㆍ○○아씨 넘쳐나는데…요즘 '무당집', 왜 예약이 힘들까? [이슈크래커]
  • 새 학기 전 내 아이 안경 맞춰줄까…‘서울 어린이 눈건강 지킴이 사업’ 신청방법은 [경제한줌]
  • 오늘의 상승종목

  • 02.21 09:59 실시간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45,345,000
    • +0.78%
    • 이더리움
    • 4,048,000
    • -0.39%
    • 비트코인 캐시
    • 481,200
    • -0.58%
    • 리플
    • 3,963
    • -2.1%
    • 솔라나
    • 258,400
    • +2.05%
    • 에이다
    • 1,180
    • +1.72%
    • 이오스
    • 952
    • -0.1%
    • 트론
    • 366
    • +1.39%
    • 스텔라루멘
    • 506
    • -0.2%
    • 비트코인에스브이
    • 56,700
    • -0.35%
    • 체인링크
    • 26,870
    • -0.59%
    • 샌드박스
    • 549
    • -0.18%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