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항 혼잡도 완화‧국내 외국인 정보 관리 기대

앞으로 대한민국에 입국하는 외국인은 PC나 스마트폰으로 입국신고서를 제출할 수 있다.
법무부는 외국인이 제출하는 입국신고서를 온라인(전자) 방식으로 제출할 수 있도록 하는 ‘전자입국 신고’ 제도를 시행한다고 24일 밝혔다.
그동안 국내에 입국하려는 외국인은 종이로 된 입국신고서를 기내나 공항에서 수기로 작성해 입국심사관에게 직접 제출해야 했다.
입국심사관은 제출받은 입국신고서의 기재 사항을 확인하고, 일일이 직접 스캔해야 하는 등 입국심사 시간이 길어지는 불편이 있었다.
관련 뉴스
이에 법무부는 지난해부터 전자입국 신고 시스템을 개발하고, 법적 근거를 마련해 이날부터 본격 시행하기로 했다.
입국신고 대상은 주로 관광객 등 우리나라에 90일 이하 단기 체류 목적으로 입국하는 외국인이다. 그밖에 장기체류 목적으로 입국하는 외국인도 아직 국내에서 외국인등록을 마치지 않은 상태라면 공항에서 입국신고가 필요하다.
유효한 전자여행허가(K-ETA) 허가서 소지자, 국내 외국인 등록을 마친 외국인, 단체(전자) 사증 소지자, 항공기 승무원 등은 입국신고서를 제출하지 않아도 된다.
전자입국 신고서는 PC 또는 스마트폰에서 전자입국 신고 홈페이지에 접속해 대한민국 도착 3일 전부터 입국심사를 받기 전까지 작성·제출할 수 있다.
가령 3월31일에 도착하는 경우 3월29일부터 31일 입국 심사 전까지 신고서를 낼 수 있다. 제출 후 72시간 이내에 입국하지 않으면 신고서는 무효 처리된다.
전자입국 신고 홈페이지는 영어, 중국어, 일본어, 태국어, 베트남어, 러시아어 버전으로 운영 중이다. 신고서 제출자에게는 전자입국 신고서 발급번호와 만료일시가 기재된 이메일이 전송된다.
법무부는 제도 시행 초기 입국자의 혼란을 최소화하기 위해 올해에는 종이로 된 입국신고서를 병행해 운영할 예정이다.
법무부 관계자는 “공항 혼잡도가 완화돼 외국인 관광객 유치 확대가 기대된다”며 “외국인 입국자 정보를 보다 체계적으로 관리할 수 있어 안전한 국경관리에도 기여할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