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대 학장들 "의대정원 동결...2027학년도 이후 추계위서 결정해야"

입력 2025-02-24 16:00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이주호, 의대 학장들 만나 ‘의대 교육 정상화·의대생 복귀 방안’ 논의

▲이주호 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 (연합뉴스)
▲이주호 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 (연합뉴스)

의과대학 학장들이 정부에 내년도 의대 정원을 증원 전 수준인 3058명으로 동결하고, 2027학년도 이후 정원은 추계위원회에서 결정해야 한다고 요구했다.

이주호 부총리 겸 교육부장관은 24일 서울역 회의실에서 열린 의대 학장들과 간담회에서 이 같은 의견을 청취하고 올해 의대 교육 정상화와 의대생들의 복귀 방안에 대해 논의했다.

이번 간담회는 지난 17일 의대 학장 협의체인 한국의과대학·의학전문대학원협회(KAMC)가 정부에 보낸 협조 요청 공문을 바탕으로 이뤄졌다. KAMC는 교육부와 의대를 운영 중인 각 대학에 2026학년도 의대 정원을 증원 전인 3508명으로 동결해야 한다고 요청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와 함께 교육부는 이달 중 올해 의대 1학년 7500명을 동시에 교육할 방안에 대해 발표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올해 1학년은 지난해 휴학생 3000여 명에 신입생 4500여 명을 더한 7500여 명이 한번에 수업을 받아야 한다. 이에 의료계에서는 정부가 의대 교육 정상화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고 주장해 왔다.

이날 교육부는 의대 학장들이 내년도 의대 정원을 2024학년도 정원 수준인 3058명으로 재설정해야 한다고 주장했다고 밝혔다. 학장들은 2027학년도 이후 총 정원은 의료계와 합의해 구성한 추계위에서 결정해야 한다는 의견이다.

아울러 의대 교육의 질을 유지, 향상하기 위해 의학교육 관련 제도, 행정, 재정에 대한 교육부의 전폭적인 지원책을 구체화해달라는 요구도 나왔다.

교육부는 학장들에게 “학생 복귀와 의대 정상화를 위해 정부 차원에서 최선을 다할 예정인 바, 학장들도 학생 상담 등을 통해 적극적으로 소통하며 학생들이 복귀하도록 노력해 주실 것을 요청했다”고 밝혔다.

또 교육부는 현재 운영 중인 의대 학생 보호·신고센터로 복귀를 희망하는 학생들의 민원과 문의가 많이 들어오고 있어, 학장들에게 학생들이 마음 편히 학업에 복귀할 수 있도록 학습권 보호에 만전을 기해달라고 당부했다고 덧붙였다.

이 부총리는 “지난 1년간 학생 복귀와 의대 교육을 위해 애써주신 의대 학장님들께 감사드린다”며 “오늘 학장님들께서 주신 말씀을 바탕으로 올해는 학생들이 복귀하고 의대가 정상화될 수 있도록 정부도 대학과 함께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흥행 돌풍' 예고한 K리그, 올해 400만 관중 돌파할까 [이슈크래커]
  • 가발 쓴 탈덕수용소ㆍ신상 털린 뻑가…'사이버 렉카', 몰락은 이제 시작? [이슈크래커]
  • 무시하지 말라던 ‘추성훈 아조씨’의 유튜브 떡상기 [요즘, 이거]
  • 기업들이 골프 마케팅하는 이유 [골프더보기]
  • 고물가에 싼 것만 찾는다…유통가 ‘초저가’ 전성시대[韓 과소소비사회 진입하나]
  • “불황 모르는 덕후 소비”…덕분에 웃는 홍대·용산 복합몰[르포]
  • [우크라 전쟁 발발 3년] 종전협상 ‘중대 분수령’...우크라 운명 어디로
  • 현대차 관세 위기에 떠오르는 ‘GM 동맹’…새로운 돌파구 될까
  • 오늘의 상승종목

  • 02.24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39,817,000
    • -1.16%
    • 이더리움
    • 3,920,000
    • -4.99%
    • 비트코인 캐시
    • 457,000
    • -5.73%
    • 리플
    • 3,601
    • -4.81%
    • 솔라나
    • 229,300
    • -8.94%
    • 에이다
    • 1,070
    • -6.47%
    • 이오스
    • 897
    • -6.27%
    • 트론
    • 360
    • +0.84%
    • 스텔라루멘
    • 464
    • -5.11%
    • 비트코인에스브이
    • 51,900
    • -7.57%
    • 체인링크
    • 24,330
    • -7.53%
    • 샌드박스
    • 484
    • -6.92%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