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의 투자전략] 국내 증시, 반도체주 중심 상승 출발…방산주 단기 유의

입력 2025-03-21 09:00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본 기사는 (2025-03-21 08:45)에 Channel5를 통해 소개 되었습니다.

전문가는 21일 국내 주식 시장이 마이크론 호실적의 영향을 받아 외국인의 대형 반도체주 순매수 기조가 지속하며 상승 출발할 것으로 전망했다.

이성훈 키움증권 연구원은 "간밤 뉴욕 증시에서 장 마감 후 발표된 마이크론 실적은 매출액과 주당순이익(EPS) 모두 어닝 서프라이즈를 기록하고 3분기 매출액도 86억~90억 달러를 제시하며 시장 기대치를 웃도는 가이던스를 발표했다"고 말했다.

인공지능(AI) 제품 수요 증가에 힘입어 디램, 낸드플래시 수요 증가 예상, 3분기 기록적인 분기 매출 증가 예상 등 향후 긍정적 전망 발언이 이어지며 시간 외에서 2~3%대 상승했다.

전날 국내 증시는 3월 FOMC에서의 파월 연준의장의 비둘기파적 발언, 양적 긴축 속도 조절 시사 등이 증시에 우호적으로 작용한 가운데 반도체를 중심으로 한 외국인 순매수 기조가 지속하며 코스피는 상승 마감했다. 다만 코스닥 시장 내 대형 바이오 종목 내 차익 시현 매물이 출회되며 코스닥은 하락 마감했다.

이 연구원은 "최근 국내 증시 흐름은 31일 공매도 재개를 앞두고 선제적으로 자금 이동이 나타나고 있다고 판단된다"며 "실제 공매도 선행 지표로 해석되는 대차거래잔고는 3월 이후 코스피와 코스닥 각각 14%, 22% 상승했다"고 말했다.

이어 "밸류에이션 부담이 높은 업종에서 낙폭과대 가치주 업종으로 자금 로테이션이 이루어지고 있다는 점도 특징적"이라고 짚었다. 26개 업종별 3월 이후 수익률을 살펴보면 철강(18.5%), 비철/목재(11.0%), 반도체(10.3%), 필수소비재(7.1%) 등은 양호한 흐름을 보였다.

반면 밸류에이션 부담이 높고 공매도 압력이 높은 IT가전(-5.2%), 건강관리(-0.8%), 디스플레이(-0.1%) 등은 부진한 흐름을 연출했다. 이 연구원은 "공매도 재개를 앞두고 밸류에이션 부담이 높았던 업종을 중심으로 한 주가 변동성 확대에 대비해야 할 필요가 있다"고 조언했다.

그러면서 "전날 한화에어로스페이스 3조6000억 원 유상증자 건으로 국내 증시 내 주도주 역할을 했던 방산주의 단기 센티먼트도 약화할 수 있음에 유의할 필요가 있다"며 "이 경우 현재 반도체 중심으로 외국인 수급 쏠림이 지속하는 가운데 이날 국내 증시에서 기존 주도주에서 대형 반도체주로의 수급 쏠림이 가속화될 수 있는지에 주목해볼 수 있다"고 분석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르포] ‘AGV’가 부품 95% 배달…미래 모빌리티의 요람 ‘HMGMA’
  • '연금 사수' 앞장서는 86세대, 실상은 '가장 부유한 세대'
  • 213시간 만에 잡힌 산청 산불...경북 재발화 우려에 주민대피령
  • ‘정산지연’ 명품 플랫폼 발란, 결제서비스 잠정 중단
  • 박찬대 “내달 1일까지 마은혁 미임명 시 중대 결심”
  • '그알' 교사 명재완, 왜 하늘이를 죽였나…반복된 우울증 '이것'일 가능성 높아
  • 지드래곤 측, 콘서트 70여분 지연에 재차 사과…"돌풍에 의한 안전상 이유"
  • 창원NC파크서 '구조물 추락 사고'…관람객 1명 중환자실 치료
  • 오늘의 상승종목

  • 03.28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24,550,000
    • +0.19%
    • 이더리움
    • 2,750,000
    • -1.65%
    • 비트코인 캐시
    • 459,600
    • +0.79%
    • 리플
    • 3,247
    • +3.61%
    • 솔라나
    • 188,200
    • -0.21%
    • 에이다
    • 1,019
    • +0.69%
    • 이오스
    • 883
    • +6%
    • 트론
    • 346
    • -1.14%
    • 스텔라루멘
    • 403
    • +1%
    • 비트코인에스브이
    • 48,190
    • +0.35%
    • 체인링크
    • 20,550
    • -0.53%
    • 샌드박스
    • 412
    • +0.49%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