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기정통부, AI 글로벌 컨퍼런스 개최…AI 기업 총출동

입력 2025-03-25 14:00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사진제공=과학기술)
(사진제공=과학기술)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정보통신산업진흥원은 25일 서울 롯데호텔에서 ‘인공지능(AI) 글로벌 컨퍼런스’를 개최했다고 밝혔다.

정부는 AI 혁신의 두 축인 AI 컴퓨팅 인프라와 AI 모델 경쟁력 확보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민관 협력을 통해 이를 강화하기 위해 노력해왔다.

이번에 개최된 컨퍼런스는 정부 정책의 연장선에서 마련됐으며, 글로벌과 국내 AI 기업이 한곳에 모여 전략적 협력을 모색하고 AI 컴퓨팅 인프라와 AI 모델의 시너지를 극대화할 방안을 논의하기 위한 혁신의 장이 됐다.

이번 행사는 오픈AI, AWS, 마이크로소프트, 퍼플렉시티, LG AI연구원, 리벨리온, 퓨리오사AI 등 AI 분야 국내외 주요기업들이 대거 참여했으며, “컴퓨팅 인프라와 AI 모델 : 혁신의 주도권을 잡아라”라는 주제 아래 전문가들의 다채로운 발표와 토론이 진행됐다.

오프닝 세션으로 엔비디아 코리아 정소영 대표가 지난주 미국 산호세에서 개최된 ‘엔비디아 GTC 2025’ 주요 내용을 리뷰하고 AMD Keith Strier 수석 부사장이 실시간 영상으로 “The Next Wave of Sovereign AI”를 주제로 발표를 진행하여 국내외 참관객들의 높은 관심을 받았다.

기조연설은 오픈AI 제이슨 권 최고전략책임자(CSO)가 실시간 영상으로 진행했다. 그는 “인프라는 운명(Infrastructure is Destiny)”이라는 주제로 AI 컴퓨팅 인프라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AI 모델의 성능을 극대화하기 위해 강력한 인프라 구축이 필수적이라고 역설했다.

'AI컴퓨팅 인프라와 AI 모델의 시너지, 한계를 뛰어넘다'라는 주제로 진행한 전문가 패널토의에는 카이스트 오혜연 교수(국가인공지능위원회 분과위원장)가 좌장을 맡았으며 패널토의 참석자들은 기업에서의 경험을 토대로 AI컴퓨팅 인프라 확충 및 효율적인 AI 모델 개발의 중요성에 대해 심도있게 논의했다. 아울러 이어지는 세션에서는 AI 반도체, 데이터센터(DC), AI 모델 및 서비스 등 세 가지 주제로 나누어 람다, 텐서웨이브, LG AI연구원, 네이버클라우드, 업스테이지 등 국내외 관련 16개 기업들의 발표가 진행됐다.

이날 행사에서 유상임 장관은 “오늘 컨퍼런스에 논의된 내용을 잘 반영해 AI 컴퓨팅 인프라의 신속 확충, 글로벌 Top 수준의 AI 모델 개발 집중 지원 등 대한민국이 AI 3대 강국으로 도약할 수 있도록 모든 노력을 다하겠다”라고 밝혔다.

#AI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살얼음판 韓 경제] ‘마의 구간’ 마주한 韓 경제…1분기 경제성장률 전운 감돌아
  • 선고 이틀 앞, 尹 '침묵'..."대통령이 제도 신뢰 높여야"
  • 챗GPT 인기요청 '지브리 스타일', 이제는 불가?
  • 2025 벚꽃 만개시기는?
  • "엄마 식당 한 번 와주세요"…효녀들 호소에 구청장도 출동한 이유 [이슈크래커]
  • [인터뷰] '폭싹 속았수다' 아이유 "'살민 살아진다', 가장 중요한 대사"
  • LCK 개막하는데…'제우스 이적 ㆍ구마유시 기용'으로 몸살 앓는 T1 [이슈크래커]
  • 창원NC파크 구조물 사고, 당장 경기를 중단했어야 할까? [해시태그]

댓글

0 / 300
  • 이투데이 정치대학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TV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 컬피 유튜브 채널
  • 오늘의 상승종목

  • 04.02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25,614,000
    • +0.59%
    • 이더리움
    • 2,778,000
    • +0.14%
    • 비트코인 캐시
    • 452,900
    • -2.54%
    • 리플
    • 3,128
    • -1.79%
    • 솔라나
    • 186,600
    • -1.84%
    • 에이다
    • 1,008
    • +0.6%
    • 이오스
    • 1,177
    • +15.85%
    • 트론
    • 354
    • +1.72%
    • 스텔라루멘
    • 397
    • -1.73%
    • 비트코인에스브이
    • 46,830
    • -1.93%
    • 체인링크
    • 20,060
    • -3.19%
    • 샌드박스
    • 400
    • -1.96%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