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P “수출 중심 한국 경제, 美 관세 리스크 직면…‘긍정적’ 전망 한 곳도 없어”

입력 2025-03-27 11:32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부산항 신선대부두에 수출입 화물이  쌓여 있다. (연합뉴스)
▲부산항 신선대부두에 수출입 화물이 쌓여 있다. (연합뉴스)

글로벌 신용평가사 스탠다드앤푸어스(S&P) 글로벌은 27일 '남한 : 무역 부담에 직면한 수출 중심 경제' 보고서를 통해 "미국의 관세 및 정책 변화가 한국 기업에 상당한 부담으로 작용할 가능성이 크다"고 밝혔다.

한국의 대미 무역흑자가 크게 늘어남에 따라 자동차, 산업기계, 반도체 제조업체가 미국의 관세 부과로 인한 영향을 받을 수 있다는 것이다. 특히 S&P는 이들 업종이 대미 수출 상위 품목에 올라있다는 점을 이유로 들며 최대 리스크에 노출된 것으로 봤다.

지난해 기준 대한민국은 대미 무역흑자 700억 달러를 기록했다. 이는 미국의 관세 부과 가능성을 높이고, 그로 인해 국내 기업의 실적 부담이 커질 수 있는 지점이다.

박준홍 S&P 상무는 “미국의 전기차 지원 정책 축소는 국내 기업에도 타격을 줄 수 있다. 이는 전기차 보급 속도를 둔화시키고 전기차 밸류체인에 속한 한국 기업들, 특히 미국 내 투자를 확대해 온 이차전지 제조업체들에게 큰 부담이 될 수 있다”고 했다.

S&P가 신용등급을 평가 중인 국내 전체 기업 중 13%가 '부정적' 신용등급 전망을 받고 있으며, 긍정적 전망을 받는 기업은 단 한 곳도 없다.

철강과 석유화학 산업은 각각 중국발 공급과잉, 전반적인 생산 캐파(CAPA) 과잉 상황에 직면해 있으며, 수요부진의 영향을 받고 있다.

박 상무는 "관세 및 기타 정책 변화로 인한 성장 둔화 등 간접적인 영향은 철강과 석유화학과 같이 글로벌 수요에 민감한 국내 산업에 부정적인 요인"이라며 "한국의 국내총생산(GDP)에서 수출이 차지하는 비중은 3분의 1에 달한다"고 설명했다.

김제열 S&P 이사는 “미국의 새 행정부가 출범하기 전부터 한국 기업들은 이미 수요부진과 시장상황 악화로 어려움을 겪고 있었다. 일부 기업들의 경우 공격적인 투자로 인해 어려움이 가중되고 있다”고 했다.

다만 하이테크 반도체 산업은 인공지능(AI) 수요 증가에 힘입어 관세 부담을 상당 부분 해소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르포] ‘AGV’가 부품 95% 배달…미래 모빌리티의 요람 ‘HMGMA’
  • '연금 사수' 앞장서는 86세대, 실상은 '가장 부유한 세대'
  • 213시간 만에 잡힌 산청 산불...경북 재발화 우려에 주민대피령
  • ‘정산지연’ 명품 플랫폼 발란, 결제서비스 잠정 중단
  • 박찬대 “내달 1일까지 마은혁 미임명 시 중대 결심”
  • '그알' 교사 명재완, 왜 하늘이를 죽였나…반복된 우울증 '이것'일 가능성 높아
  • 지드래곤 측, 콘서트 70여분 지연에 재차 사과…"돌풍에 의한 안전상 이유"
  • 창원NC파크서 '구조물 추락 사고'…관람객 1명 중환자실 치료
  • 오늘의 상승종목

  • 03.28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24,288,000
    • -0.31%
    • 이더리움
    • 2,748,000
    • -1.86%
    • 비트코인 캐시
    • 459,600
    • +0.63%
    • 리플
    • 3,265
    • +2.71%
    • 솔라나
    • 188,000
    • -0.42%
    • 에이다
    • 1,019
    • -0.49%
    • 이오스
    • 869
    • +3.45%
    • 트론
    • 347
    • -0.57%
    • 스텔라루멘
    • 404
    • +0.75%
    • 비트코인에스브이
    • 48,270
    • -0.06%
    • 체인링크
    • 20,490
    • -1.25%
    • 샌드박스
    • 410
    • -0.49%
* 24시간 변동률 기준